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덤프버전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관련 틀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 펼치기 · 접기 ]

영국과 아일랜드의 역사 >

파일:ENG_Test.png
{{{#!wiki style="display: inline; float: right; margin:-7px; margin-top: -60px; margin-right: -10px"
파일:IRL_Test.png
[ 펼치기 · 접기 ]
#1d1d1d,#e2e2e2 ||<tablewidth=100%><tablebgcolor=#f43b2e><width=20px><rowbgcolor=#000><colbgcolor=#000> ||<width=20%> [[아일랜드|[[파일:825px-Map_of_Northern_Ireland_within_the_United_Kingdom.svg._2.png|height=50]][br]{{{#FFF {{{-2 아일랜드}}}}}}]] ||<width=15%> [[스코틀랜드|[[파일:스코틀랜드 위치.svg|height=50]][br]{{{#FFF {{{-2 스코틀랜드}}}}}}]] ||<width=15%><-2> [[웨일스|[[파일:웨일스 위치.svg|height=50]][br]{{{#FFF {{{-2 웨일스}}}}}}]] ||<-3>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위치.svg|height=50]][br]{{{#FFF {{{-2 잉글랜드}}}}}}]] || ||<|5><rowbgcolor=#000000> {{{#fff '''고대'''}}} ||<bgcolor=#555555><-7> [[켈트|{{{#fff 켈트족}}}]] || ||<|5><bgcolor=#FF883E><height=230> [[히베르니아|{{{#fff 히베르니아}}}]][br],,,[[게일인|{{{#fff 게일족}}}]],,, ||<|4><bgcolor=#006cb4> [[칼레도니아|{{{#fff 칼레도니아}}}]][br],,,[[픽트족|{{{#fff 픽트족}}}]],,, ||<-5><bgcolor=#00ad36> ,,,[[브리튼인|{{{#fff 브리튼족}}}]],,,[br][[로만 브리튼|{{{#fff 로만 브리튼}}}]][br],,,[[로만 브리튼 이후|{{{#fff 이후}}}]],,, || ||<|5><bgcolor=#00ad36> [[귀네드|{{{#fff 귀네드[br]왕국}}}]] ||<|3><bgcolor=#00ad36> [[더베드 왕국|{{{#fff 더베드[br]왕국}}}]] ||<-3><bgcolor=#ff0000> {{{#FFF [[앵글로색슨족|{{{#fff 앵글족}}}]] / [[앵글로색슨족|{{{#fff 색슨족}}}]] / [[앵글로색슨족|{{{#fff 주트족}}}]]}}} || ||<-2><#ff0000> [[앵글로색슨 7왕국|{{{#FFF 앵글로색슨 7왕국}}}]]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앵글로색슨족|{{{#fff 앵}}}]]}}} [[노섬브리아|{{{#fff 노섬브리아}}}]] | [[머시아|{{{#fff 머시아}}}]] | [[동앵글리아|{{{#fff 동앵글리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앵글로색슨족|{{{#fff 색}}}]]}}} [[웨식스|{{{#fff 웨식스}}}]] | [[에식스|{{{#fff 에식스}}}]] | [[서식스|{{{#fff 서식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앵글로색슨족|{{{#fff 주}}}]]}}} [[켄트 왕국|{{{#fff 켄트}}}]]}}}}}} || ||<#ff0000> [[데인로|{{{#fff 데인로}}}]] ||<#ff0000> [[웨식스|{{{#fff 웨식스}}}]] || ||<|5><height=100> {{{#fff '''중세'''}}} ||<|2><bgcolor=#006cb4><height=100> [[알라퍼 왕국|{{{#fff 알라퍼[br]왕국}}}]] ||<|2><bgcolor=#00ad36><height=100> [[데허이바르스|{{{#fff 데허이[br]바르스}}}]] ||<|3><-3><#ff0000> [[잉글랜드 왕국|{{{#fff 잉글랜드 왕국}}}]][br]{{{-1 [[웨식스|{{{#fff 웨식스 왕조}}}]][br][[노르만 왕조|{{{#fff 노르만 왕조}}}]][br][[플랜태저넷 왕조|{{{#fff 앙주 왕조}}}]][br][[플랜태저넷 왕조|{{{#fff 플랜태저넷 왕조}}}]]}}} || ||<bgcolor=#FF883E><|3> [[아일랜드 영지|{{{#fff,#e5e5e5 아일랜드 영지}}}]] || ||<|5><bgcolor=#006cb4> [[스코틀랜드 왕국|{{{#fff 스코틀랜드[br]왕국}}}]] ||<-2><bgcolor=#00ad36> [[웨일스 공국|{{{#fff 웨일스 공국}}}]] || ||<|2><-5><#ff0000> [[잉글랜드 왕국|{{{#fff 잉글랜드 왕국}}}]][br]{{{-1 [[랭커스터 왕조|{{{#fff 랭커스터 왕조}}}]][br][[요크 왕조|{{{#fff 요크 왕조}}}]] ''[[장미 전쟁|{{{#fff (장미 전쟁)}}}]]''}}} || ||<|3><bgcolor=#FF883E> [[아일랜드 왕국|{{{#fff,#e5e5e5 아일랜드 왕국}}}]] || || {{{#fff '''근[br]세'''}}} ||<-5><:><#ff0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10px 0px -10px; width: 100%; padding: 0px 15px 0px 5px; border-radius: 50px 0px 100px 50px; background: #012169; border-top: 2px solid #FFF; border-left: 2px solid #FFF; border-bottom: 2px solid #FFF; border-right: 2px solid #012169 ; font-size: 0.8em; float: right" [[대영제국#브리튼 제1제국|{{{#FFF 대영 제1제국}}}]]}}} {{{#!wiki style="margin: -23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70deg, #012169 10px, transparent 10px), linear-gradient(270deg, #ffffff 12px, transparent 12px)" {{{-1 [[튜더 왕조|{{{#fff 튜더 왕조}}}]][br][[엘리자베스 1세|{{{#fff 튜더 왕조 - 엘리자베스 시대}}}]][br][[스튜어트 왕조|{{{#fff 스튜어트 왕조}}}]]}}}}}} || ||<|5> {{{#fff '''근[br]대'''}}} ||<-8><height=40><#ff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70deg, #012169 10px, transparent 10px), linear-gradient(270deg, #ffffff 12px, transparent 12px)" [[잉글랜드 연방|{{{#fff 잉글랜드 연방}}}]]}}} || ||<-8><height=40><#ff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70deg, #012169 10px, transparent 10px), linear-gradient(270deg, #ffffff 12px, transparent 12px)" [[잉글랜드 연방|{{{#fff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연방}}}]]}}} || ||<|2><bgcolor=#FF883E> [[아일랜드 왕국|{{{#fff,#e5e5e5 아일랜드 왕국}}}]] ||<bgcolor=#006cb4> [[스코틀랜드 왕국|{{{#fff 스코틀랜드 왕국}}}]] ||<-5><#ff0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70deg, #012169 10px, transparent 10px), linear-gradient(270deg, #ffffff 12px, transparent 12px)" [[잉글랜드 왕국|{{{#fff 잉글랜드 왕국}}}]][br]{{{-1 [[스튜어트 왕조|{{{#fff 스튜어트 왕조}}}]]}}}}}} || ||<-6><bgcolor=#c8102e>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70deg, #012169 10px, transparent 10px), linear-gradient(270deg, #ffffff 12px, transparent 12px)" [[그레이트브리튼 왕국|{{{#fff 그레이트브리튼 왕국}}}]][br]{{{-1 [[하노버 왕조|{{{#fff 하노버 왕조}}}]]}}} {{{-1 [[조지 시대|{{{#fff - 조지 시대}}}]]}}}}}} || ||<-8><bgcolor=#c8102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10px 0px -10px; width: 100%; padding: 0px 15px 0px 5px; border-radius: 50px 0px 100px 50px; background: #012169; border-top: 2px solid #FFF; border-left: 2px solid #FFF; border-bottom: 2px solid #FFF; border-right: 2px solid #012169; font-size: 0.8em; float: right" [[대영제국#브리튼 제2제국|{{{#FFF 대영 제2제국}}}]]}}} {{{#!wiki style="margin: -18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70deg, #012169 10px, transparent 10px), linear-gradient(270deg, #ffffff 12px, transparent 12px)"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fff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br]{{{-1 [[하노버 왕조|{{{#fff 하노버 왕조}}}]] [[빅토리아 시대|{{{#fff - 빅토리아 시대}}}]] [br][[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fff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에드워드 7세|{{{#fff - 에드워드 시대}}}]]}}}}}} || ||<|2> {{{#fff '''현대'''}}} ||<bgcolor=#DB709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8102e; font-size: 0.88em" [[북아일랜드|{{{#FFF 북아일랜드(영국령)}}}]]}}}[br][[아일랜드 공화국|{{{#fff {{{-2 아일랜드 공화국}}}}}}]][br][[아일랜드 자유국|{{{#fff 아일랜드 자유국}}}]] ||<-8><|2><bgcolor=#c8102e> [[영국|{{{#fff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br]{{{-1 [[윈저 왕조|{{{#fff 윈저 왕조}}}]]}}} || ||<bgcolor=#FF883E> [[아일랜드|{{{#fff 아일랜드}}}]] ||













[[영국|
>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1em"
[ 정치 ]⠀
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영국의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영국의 법 집행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영국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역사 ]⠀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영국(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문화 ]⠀

[ 군사 ]⠀



[ 상징 · 역사 ]
[ 사회 · 경제 ]
지리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헤센(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함부르크 · 브레멘(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베스트팔렌 · 라인강 · 라인란트 · 엘베강 · 도나우강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 산맥
사회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Thalys)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함부르크 국제공항
교육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독일 마르크(폐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정치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선거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 vs 러시아군
치안·사법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1. 개요
2. 역사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18년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부터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하기 이전까지의 영국바이마르 공화국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문서이다.


2. 역사[편집]


1918년 베르사유 조약을 체결한 뒤 신생 바이마르 공화국에게 대독 강경책을 고수했던 프랑스와는 다르게 영국은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대독 온건책을 고수하였다. 당시 러시아 혁명을 거치며 공산주의의 영향력이 유럽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자, 영국은 소련을 견제할 반공 파트너로 바이마르 공화국을 선택하였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전쟁배상금 배상이 늦어지면서 프랑스가 1923년 독일의 공업지대인 루르를 무력으로 점령하자, 영국은 프랑스의 루르 점령을 강하게 비난하여 프랑스군을 루르에서 철수시켰다. 영국은 고립주의를 고수하며 로카르노 조약 체결을 지지하였고, 영국과 바이마르 공화국 사이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좋은 편이었다.

그러나 1929년 미국대공황으로 인해 영국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경제는 완전히 박살이 났고 양국의 정치적 불안정성이 일어났다. 특히 독일은 1933년 수권법이 통과되면서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한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7:22:17에 나무위키 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