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떡

덤프버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파일:떡종류 틀.png
}}} 떡의 종류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seogwipo.grandculture.net/GC046P03438_l.jpg
파일:bingcake2b.png
완성된 빙떡
소로 들어가는 무채
1. 개요
2. 만드는 법
3. 관련 블로그



1. 개요[편집]


제주도 전통음식. 말아놓은 모습이 멍석 같다고 하여 멍석떡이라고도 하고, 홀아방떡, 전기떡이라고도 부른다.

메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지진 숙채(무나물볶음)를 말아 넣어 만든다.

제사음식으로도 많이 쓰고 경조사때도 만들어 먹는다. 이때 빙떡을 만들어 부조하고는 했다. 1990년대 초까지 제주도 시골에선 경조사가 있을 경우 다함께 준비하고는 했다. 당시까지만 해도 마을 사람들의 도움 없인 경조사를 치를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잔치만 해도 동네잔치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 만들기도 쉽고 재료도 구하기 쉬우며 양도 많기 때문이다. 부조받은 빙떡은 조금 떼어 집 밖에 던져 잡신이 집에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

이 상당히 밍밍하다 보니 빙떡에 대한 호불호는 극과 극으로 갈리는 것이 보통이다. 미성년자에게 주면 99%의 확률로 "이게 뭐야?"라는 반응을 보인다. 반면 성인들은 "호오... 이거 별미네"라는 반응을 보일 것이다. 이러하기에 노인들은 '빙떡이 맛있어지면 어른이 된 거다.'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안 먹는다고 혼나는 애들 입장에선 그저 고문일 뿐이기도 하다. 토속 음식 중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음식을 먹을 때 자주 있는 일들이다. 올드독맛있는 제주일기 웹툰에서도 빙떡의 맛에 대해 표현되어 있다.

사실 요즘 세대는 육지와 생활수준 격차가 없어서 빙떡을 맛없게 여기는 거고, 옛 제주도민 입장에서는 이것이 맛있는 잔치음식인 것이 맞다. 예전의 제주도에는 쌀과 소금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도민들 대부분이 생된장으로 간한 깡조밥을 주식으로 먹었다. 조를 넣은 쌀밥이 아닌 100% 조로만 지은 깡조밥은 이북식 강냉이죽만큼이나 식감과 풍미가 나빠서 도통 먹기가 힘들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서귀포 매일시장 횟집이나 동문시장이나 제주시오일장에서 좌판에서 즉석으로 만들어 판매하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간장에도 찍어먹기도 하지만, 전통적으로는 소금으로 간해서 구워낸 옥돔과 같이 먹는데 이렇게 먹으면 옥돔보다 빙떡이 먼저 사라지는 일이 생긴다.

비슷한 음식으로 강원도에는 총떡이라고 불리는 메밀 전병이 있다. 빙떡과의 차이점이라면, 빙떡은 속에 무숙채를 넣는 반면 총떡은 김치로 만든 소를 넣고 익혀서 매콤한 맛이 난다.

2. 만드는 법[편집]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들어도 만드는 법은 간단하다.

  1. 빙철(번철. 손뚜껑)에 돼지기름을 두르고 메밀반죽을 20cm정도 크기로 얇게 부친다. 부친 전은 꺼내 대나무 차롱에 펼쳐 식힌다.
  2. 양념해둔 삶은 무채를 메밀전 위에 올린다.
  3. 멍석말듯 둘둘 만다. 양옆으로 약간의 공간을 남겨두며 다 만 다음엔 양쪽 끝을 살짝 눌러 모양을 잡아준다.

여기에 꿩고기나 닭고기, 오리고기를 삶은것을 넣으면 더욱 더 맛있어진다. 이전에 한림공원에서 꿩빙떡을 팔았었다고.

빙떡의 소는 보통 무르지 않게 살짝 삶은 무에 잘게 썬 실파를 뿌린 후 소금, 참깨, 참기름을 뿌려 만든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팥이나 콩나물을 넣는 경우도 있다. 열량이 매우 낮다. 포만감도 오래 가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상당히 좋다.

집집마다 양념하는 것이 다른데, 아예 양념을 하지 않고 무채를 그냥 데치기만 해서 빙떡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3. 관련 블로그[편집]


사과 빙떡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0:11:21에 나무위키 빙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