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43

최근 편집일시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구 750A번 시절
3.2. 현 743번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1.1. 구 750A번 시절
4.1.2. 743번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출발]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서부면허시험장)
[도착]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월드컵파크7단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교대역 10번 출구)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45
막차
22:00
막차
23:45
평일배차
5~14분
주말배차
토요일 6~10분 / 공휴일 7~11분
운수사명
신촌교통
인가대수
20대(예비 1대)[1]
노선
(→ 서부면허시험장 → 월드컵파크3단지 → 상암DMC홍보관.YTN → 월드컵파크5단지 →/월드컵파크7단지 ←)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금화터널 - 서대문역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상도터널.노량진동 - 상도터널 - 상도역 - 숭실대입구역 - 총신대 - 남성역 - 이수역 - 내방역 - 서리풀터널 - 서초역 → 서울교대사거리 → 교대역 → 대법원앞(서초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신촌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7.6km다.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편집]



3.1. 구 750A번 시절[편집]


  • 구 142-1번 도시형버스(수색 - 서울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일부 구간을 직선화했고, 번호가 750번으로 바뀌었고 유성운수가 공동배차에 참여하였다.

  • 2007년 8월 1일부터 신촌교통 차량은 자사 차고지인 덕은동차고지를 기점으로 바꾸게 되었다. 이 때부터 노선번호 옆에 750신촌, 750유성으로 회사명을 달고 다니기 시작하였다.

  • 2008년 8월 1일부터 아예 노선이 둘로 나뉘면서 신촌교통 소속은 750A, 유성운수 소속은 750B가 되었다.

  • 2019년 7월 29일에 평일과 동일한 5~14분이었던 토요일/공휴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각각 6~10분/7~11분으로 조정되었다.(단, 1일 총 운행횟수에 대한 변동은 없음) 관련 공문


3.2. 현 743번[편집]


  • 2023년 5월 13일을 기해 750A번이 덕은동종점 - 상암동 구간 단축, 상암공영차고지 - 월드컵파크7단지 - 서부면허시험장 - 월드컵파크3단지 - 월드컵파크2단지 - 월드컵파크5단지 구간 변경, 숭실대입구역 - 서울대학교 구간에서 숭실대입구역 - 교대역 구간으로 변경, 번호도 743번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막차시각도 21:30에서 22:00으로 30분 늦춰졌다. 그리고 유성운수가 공동배차에서 철수했다.


4. 특징[편집]


  • 모래내시장 - 숭실대학교 구간이 751번과 유사하다. 하지만 751번은 연대정문 - 경찰청 구간은 이대역을 경유하고, 한강대교 - 숭실대학교 구간은 노량진/장승배기로 우회하여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데 이 버스는 이대후문을 경유하는 것은 물론 상도터널을 통과하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상암동으로 갈 때는 이 버스와 750번, 751번, 754번 네 개 노선은 도로 구조상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정차하지 못한다. 따라서 갈월동 정류소에 내려 4호선 서울역 출구를 통해 횡단하거나, 숭례문으로 진입하는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서 이동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노선 변경 이후 대법원 건너편 외에는 휴식할 공간이 없어서 서리풀터널을 나오자마자 대법원 건너편(서초역 4번출구 마을버스 정류소 인근)에서 쉰다. 공중화장실이 여기에 있기 때문이다. 이때 서초역으로 갈 사람들은 하차하고, 교대역으로 갈 사람은 휴식시간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라고 말한다. 이 휴식장소가 2021년 5월 11일부터는 서리풀문화광장(ID:22-608)이라는 정식 정류소로 인가되었다. 그 당시에는 742번이 단축되기 전 잠깐 휴식을 취한 적이 있었다.

  • 상도역부터 내방역까지는 7호선과 완전히 겹친다. 하지만 7호선 역간 거리는 긴 편이고 도로 상의 시내버스로는 오랫동안 당시 752번 단독이었던 사당동 구간에서 이 노선은 752번이 7613번, 7613번이 752번으로 바뀌면서 다른 버스의 과부하도 해소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4.1.1. 구 750A번 시절[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50A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1,632명
-
2014년
11,530명
▽ 102
2015년
11,321명
▽ 209
2016년
10,905명
▽ 416
2017년
10,470명
▽ 435
2018년
10,226명
▽ 244
2019년
10,092명
▽ 134
2020년
7,352명
▽ 2,740
2021년
7,429명
△ 77
2022년
8,877명
△ 1,448
※ 하차 인원 미포함


4.1.2. 743번[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3년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A], 남영역[2], 용산역[B]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교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A],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이수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삼각지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도역, 숭실대입구역, 남성역, 이수역, 내방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3]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서울역[A], 용산역[B]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서울역[A]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A],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B]


6. 둘러보기[편집]




[1] 토요일 16대 / 공휴일 14대 운행[A] A B C D E 교대역 방향만 정차[2]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 5분 거리.[B] A B C 신용산역 하차.[3] 상도터널.노량진동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