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광산구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광산구 갑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동구
[[서구(광주광역시)/정치|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시청
서구]]
파일:남구(광주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
북구
파일:광산구 CI.svg
광산구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광산구 CI.svg 광주광역시 광산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광산구 갑광산구1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어룡동, 동곡동, 평동, 본량동, 삼도동
광산구2신흥동, 우산동, 월곡1동, 월곡2동, 운남동
광산구 을광산구3첨단1동, 첨단2동
광산구4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광산구5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1.1. 구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산구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예정)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4석, 구청장 소속 정당
]]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3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재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8석



2. 지역 특징[편집]


민주당계 정당의 성지인 광주광역시에서 젊은 유권자의 비중이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높고, 전국적으로도 손에 꼽을 만큼 평균 연령이 젊은 지역구인지라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세가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강한 지역으로 손꼽힌다. 반대로 말하자면 이 동네의 보수 정당 지지율이 광주광역시에서 제일 낮다는 뜻이다.[1] 다만 광산구는 광주광역시 최대의 공단 밀집 지역이기도 한 만큼 중대선거구가 적용되는 기초의회 선거에서는 진보 정당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민주노동당이 약진하던 시기에는 광산구의회 부의장과 위원장 한 자리씩을 차지한 적이 있었으며, 따라서 친민주당 계열의 지역언론과의 갈등도 꽤나 있었다.[2] 광주광역시의회에서도 비례대표로 당선된 진보 정당 출신들은 광산구를 지역구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그와 별개로, 순수 지역민들과 유지들이 많이 살고 있는 광산 갑(송정지구) 지역과 신도시 거주나 일자리를 위해 온 광산 을(첨단/비아/신창/신가/수완 등) 지역의 정치구도도 꽤나 흥미로운 편이다. 상대적으로 갑 지역구는 지역 유지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반면, 지역 유지의 영향력이 약한 을 지역은 과거 중앙정부에서 일했던 관료 출신 인사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하지만 전반적인 인구 비례로는 을 지역이 갑 지역을 앞서 가기 때문에 구의 전체적인 성향이 지역 유지보다 관료 출신으로 기울고 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비서관 출신의 민형배 후보가 당시 민주당 경선에서 지역 유지였던 유 모 시의원을 이기고, 본선에서는 전 광산구청장이자 국민참여당 타이틀을 달고 나왔던 지역 유지 출신 송병태광산구청장을 이긴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전국적으로 40대 이하 유권자 비율이 손꼽을 정도로 높은 지역이다. 그리하여 선거 때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데, 특히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92.68%: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7.06%)를 보였던 지역이기도 하다.[3] 그리고 10년 후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광주광역시에서 제일 높은 득표율인(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85.52%: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11.75%)를 보였지만[4] 10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얻은 득표율보다 4.7%p 상승한 것과 동시에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사상 최초로 보수 정당 후보가 두 자릿 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광주광역시에서 윤석열 득표율이 제일 낮게 나왔기 때문에 보수 정당에 대한 반감이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심한 지역구인 것은 여전하다고 보는 것이 맞는다. 출구조사 결과 호남에서도 젊은 층은 비교적 몰표 현상이 덜하다고 나왔지만 광주광역시에서 젊은 층이 많은 지역임에도 윤석열의 득표율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이전부터 보수 정당 지지율이 가장 낮았던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에서는 민선 이래 처음으로 보수 정당 소속 후보가 당선된 지역이기도 하다. 바로 가선거구(송정1, 2동, 도산동, 동곡동)에 출마했던 새누리당 박삼용 전 의원. 기사 이에 대해 지역 감정 타파라고 보는 사람도 있는 반면, 토박이 출신의 기초의원이라서 별 의미없다는 의견도 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진보당 구의원이 무려 3명(국강현, 김은정, 김명숙)이나 당선되어 진보당의 약진에 상당히 기여를 한 곳이다. 이로 인해 광산구의회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진보 정당(진보당, 정의당)과 민주당계 정당(더불어민주당) 후보들로만 구성된 기초의회가 되었다. 다만, 광역의원에서 7:3 정도의 스코어가 나오면서 진보당이 지역구 시의원까지 배출하는데는 실패했고, 광산구청장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분석도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광산구 CI.svg 역대 광산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광산구
13대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조홍규 (초선)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조홍규 (재선)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조홍규 (3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전갑길 (초선)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동철 (초선)
광산구 갑광산구 을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동철 (재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이용섭 (초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김동철 (3선)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이용섭 (재선)[5]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권은희 (초선)
20대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동철 (4선)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권은희 (재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용빈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형배 (초선)

파일:광산구 CI.svg 역대 광산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민주당민주당
고재유[6]송병태전갑길민형배
2014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민형배[7]김삼호박병규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고재유 91.68%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양해달 8.31%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송병태 86.02%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승재 13.97%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송병태 100.00%[1]
2006년1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전갑길 36.81%

2위:
[[무소속|
무소속
]]
송병태 27.99%
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상갑 20.13%
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승남 11.85%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민형배 55.04%

2위: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송병태 29.00%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신중태 11.14%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민형배 83.36%

2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오열 16.63%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삼호 75.82%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정현 15.55%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병규 무투표 당선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1] 대구광역시에서 보수 정당 지지가 가장 높은 서구는 정반대라고 볼 수 있다. 이쪽은 반대로 대구광역시에서도 젊은층 유권자가 가장 적은 곳이다.[2] 모 신문의 경우는 한 번 사장이 직접 신문 한 장의 절반을 할애해서 민주노동당을 디스했다. 민주노동당 의원들이 민주당 의원들 실적은 엄청 써주면서 민주노동당 의원들의 실적은 별로 안 써준다는 식으로 항의를 해서란다.[3] 반대로 박근혜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보였던 지역은 경상북도 군위군(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87.22%: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11.99%).[4] 전국 최대 득표율 지역은 전라남도 완도군으로 넘어갔다.[5] 2014.5.7. 의원직 사퇴(광주광역시장 선거 출마).[6] 1998.3.6. 구청장직 사퇴(광주광역시장 경선 출마).[7] 2018.3.7. 구청장직 사퇴(광주광역시장 경선 출마).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광주광역시장[편집]


3.1.1.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해달(梁解達)5,985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8.31%낙선
2고재유(高在維)66,0151위
91.68%당선
선거인 수109,470투표율
67.45%
투표 수73,835
무효표 수1,835

지역(이장동) 출신의 민주당 고재유 후보가 광산구청장에 당선되었다. 광산구청장 재임 후에 곧바로 광주광역시장이 되었다. 지금까지 유일한 민선 광산구청장 출신 광주광역시장이다.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광주광역시장[편집]


3.1.2.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송병태(宋炳泰)63,8111위
86.02%당선
3김승재(金承在)10,3622위
13.97%낙선
선거인 수152,091투표율
49.77%
투표 수75,699
무효표 수1,526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광주광역시장[편집]


3.1.3.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송병태(宋炳泰)68,0031위[주의]
100%당선
선거인 수175,804투표율
42.91%
투표 수75,449
무효표 수7,446

지역(본량동) 출신이며 관선 광산구청장을 지낸 송병태 전 광산구청장이 재선에 성공했다.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광주광역시장[편집]


3.1.4.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상갑(李相鉀)19,3923위
20.13%낙선
3전갑길(全甲吉)35,4601위
36.81%당선
4이승남(李承南)11,4174위
11.85%낙선
6김익주(金益主)3,0795위
3.19%낙선
7송병태(宋炳泰)26,9632위
27.99%낙선
선거인 수208,000투표율
46.88%
투표 수97,521
무효표 수1,210

지역(하남동) 출신이며 광산구 국회의원을 지낸 민주당 전갑길 후보가 무소속 송병태 후보를 제치고 광산구청장에 당선되었다.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광주광역시장[편집]


3.1.5.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창원(朴昌源)5,5484위
4.80%낙선
2민형배(閔馨培)63,5431위
55.04%당선
5신중철(信中哲)12,8613위
11.14%낙선
7송병태(宋炳泰)33,4842위
29.00%낙선
선거인 수242,692투표율
48.23%
투표 수117,056
무효표 수1,620

3.1.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6.1. 광주광역시장[편집]


3.1.6.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민형배(閔馨培)121,4371위
83.36%당선
3박오열(朴吳悅)25,4262위
16.63%낙선
선거인 수285,875투표율
54.62%
투표 수156,159
무효표 수3,296

민선 최초 타 지역(해남군) 출신의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이 재선에 성공했다.

3.1.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광주광역시장[편집]


3.1.7.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삼호(金三鎬)132,4111위
75.82%당선
4이정현(李貞鉉)27,1712위
15.55%낙선
6장성수(長成數)15,0443위
8.61%낙선
선거인 수307,011투표율
57.98%
투표 수178,024
무효표 수3,398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은 광주광역시장에 도전했다 중도 사퇴하고 2년 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산구 을에 출마해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 시절에 광산구시설관리공단 초대 이사장을 지낸 곡성군 출신의 더불어민주당 김삼호 후보가 광산구청장에 당선되었다.

2022년 4월 14일, 김삼호 전 광산구청장이 공직선거법 위반 대법원 확정 판결[8]로 광산구청장직을 상실했다.

3.1.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광주광역시장[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강기정주기환장연주
득표수79,07116,0565,853
득표율74.05%15.03%5.48%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326,410
투표 수108,841
무효표 수2,070
투표율33.34%

8회 지선 광산구 개표 결과
광주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
후보강기정주기환장연주(1위/2위)
득표수
(득표율)
79,071
(74.05%)
16,056
(15.03%)
5,853
(5.48%)
+63,015
(▲59.02)
송정1동76.35%12.49%4.21%▲63.86
송정2동72.78%17.64%4.03%▲55.14
도산동74.16%13.92%4.20%▲60.24
신흥동74.85%14.37%5.21%▲60.48
어룡동73.68%14.68%5.01%▲59.00
우산동75.67%14.26%5.29%▲61.41
월곡1동77.51%11.36%4.57%▲66.15
월곡2동76.40%12.28%5.12%▲64.12
비아동77.87%12.25%4.69%▲65.62
첨단1동71.96%16.72%6.92%▲55.24
첨단2동74.00%14.44%7.19%▲59.56
신가동76.43%12.77%5.20%▲63.66
운남동75.84%12.41%5.31%▲63.43
신창동76.00%12.59%4.92%▲63.41
수완동72.41%17.36%6.27%▲55.05
하남동75.65%14.67%5.08%▲60.98
임곡동79.21%11.56%6.40%▲67.65
동곡동[9]59.54%32.71%2.67%▲26.83
평동74.73%12.71%3.22%▲62.02
삼도동76.81%10.67%3.82%▲66.14
본량동74.14%11.65%5.23%▲62.49
후보강기정주기환장연주
거소·선상투표73.68%17.17%5.26%▲56.51
관외사전투표71.09%18.38%5.47%▲52.71

3.1.8.2. 광산구청장[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병규(朴炳奎)무투표
당선
1위
당선

민선 이래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장으로서는 최초로 더불어민주당 박병규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3.2. 대통령 선거[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송정시
송정시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2,08824024,603114
득표율7.71%0.88%90.94%0.42%
순위2위3위1위4위
선거인 수29,729
투표 수27,537
무효표 수485
투표율92.63%

광산군
광산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2,98037141,679182
득표율6.58%0.82%92.14%0.40%
순위2위3위1위4위
선거인 수50,873
투표 수46,362
무효표 수1,132
투표율91.13%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2,36897,6461,184499
득표율2.31%95.45%1.15%0.48%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16,615
투표 수103,264
무효표 수966
투표율88.55%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2,362127,4251,452
득표율1.79%96.70%1.10%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46,531
투표 수133,257
무효표 수1,491
투표율91.13%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4,418133,3281,981
득표율3.15%95.09%1.4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79,654
투표 수141,084
무효표 수874
투표율78.53%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112,77410,5144,1776,1614,210
득표율80.72%7.52%2.98%4.41%3.01%
순위1위2위5위3위4위
선거인 수214,934
투표 수140,138
무효표 수433
투표율65.20%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5,548204,061
득표율7.06%92.6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72,925
투표 수220,876
무효표 수721
투표율80.93%

18대 대선 광주 광산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548
(7.06%)
204,061
(92.68%)
-188,513
(▼85.62)
80.93%
송정1동7.45%92.38%▼84.9378.62
송정2동9.30%90.41%▼81.1176.82
도산동8.39%91.36%▼82.9778.55
신흥동7.97%91.78%▼83.8176.76
어룡동6.49%93.30%▼86.8179.76
우산동7.46%92.18%▼84.7274.42
월곡1동6.82%92.90%▼86.0877.79
월곡2동6.41%93.40%▼86.9980.72
비아동7.24%92.52%▼85.2875.36
첨단1동8.09%91.71%▼83.6285.34
첨단2동6.41%93.39%▼86.9881.63
신가동5.65%94.20%▼88.5580.28
운남동5.57%94.25%88.6884.37
신창동6.31%93.53%▼87.2281.76
수완동6.51%93.38%▼86.8783.35
하남동6.41%93.39%▼86.9881.66
임곡동7.64%91.48%▼83.8475.12
동곡동7.59%91.61%▼84.0276.76
평동7.02%92.42%▼85.4077.26
삼도동8.60%90.41%▼81.8175.20
본량동7.91%90.68%▼82.7774.41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11.01%88.52%77.51
국내부재자투표15.41%83.72%▼68.31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59,1193,63065,4025,50412,588
득표율64.27%1.46%26.42%2.22%5.08%
순위1위5위2위4위3위
선거인 수302,584
투표 수248,209
무효표 수668
투표율82.03%

19대 대선 광주 광산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9,119
(64.27%)
3,630
(1.46%)
65,402
(26.42%)
5,504
(2.22%)
12,588
(5.08%)
+93,717
(△37.85)
82.03%
송정1동60.03%1.83%31.86%1.89%3.91%△28.1778.52
송정2동56.44%2.03%34.02%2.05%4.89%△22.4279.92
도산동62.09%1.63%29.0%2.11%4.61%△33.0977.87
신흥동57.95%2.33%33.55%1.88%3.99%△24.4074.73
어룡동62.88%1.38%28.39%1.75%5.11%△34.4977.88
우산동60.43%1.76%30.63%1.85%4.73%△29.8074.16
월곡1동61.28%1.50%29.77%1.98%4.85%△31.5179.13
월곡2동62.44%1.23%28.67%1.85%5.07%△33.7777.77
비아동62.22%1.51%29.57%1.91%4.42%△32.6576.55
첨단1동64.31%1.43%25.92%2.63%5.38%△38.3985.52
첨단2동65.46%1.33%24.77%2.26%5.62%△40.6980.37
신가동65.65%1.68%25.48%1.82%4.91%△40.1778.87
운남동65.66%1.08%25.52%1.95%5.22%△40.1482.88
신창동67.42%1.19%23.42%2.08%5.43%△44.081.57
수완동68.22%1.23%23.48%2.23%4.57%44.7482.30
하남동66.79%0.98%24.93%2.12%4.55%△41.8682.52
임곡동56.62%2.41%35.38%1.10%3.52%△21.2476.10
동곡동55.01%1.58%37.96%0.71%3.47%△17.0574.83
평동58.02%1.43%35.36%1.16%2.71%△22.6672.33
삼도동53.69%2.14%38.65%0.97%2.69%△15.0472.99
본량동46.07%3.00%44.05%1.70%2.83%△2.0272.0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54.66%2.09%34.24%3.22%3.38%△20.42
관외사전투표64.11%1.91%23.43%3.51%6.48%△40.68
재외투표74.75%1.62%11.32%2.36%9.83%63.43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224,48430,865
득표율85.52%11.75%
순위1위2위
선거인 수326,650
투표 수264,470
무효표 수1,992
투표율80.96%

제20대 대통령 선거 광주 광산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224,484
(85.52%)
30,865
(11.75%)
193,619
(▲73.77%)
송정1동
86.24%11.14%▲75.10
송정2동
84.44%12.41%▲72.04
도산동
86.74%10.64%▲76.10
신흥동
87.01%10.90%▲76.11
어룡동
87.08%10.19%▲76.90
우산동
85.85%11.37%▲74.47
월곡1동
87.43%9.37%▲77.70
월곡2동
86.91%10.54%▲76.37
비아동
87.79%10.07%▲77.72
첨단1동
83.97%13.38%▲70.59
첨단2동
85.32%11.86%▲73.46
신가동
87.03%10.51%▲76.52
운남동
87.53%9.73%▲77.80
신창동
86.63%10.72%▲75.91
수완동
84.36%13.29%▲71.07
하남동
86.94%10.71%▲76.23
임곡동
88.69%9.13%▲79.56
동곡동
87.61%9.48%▲78.13
평동
88.91%8.63%▲80.28
삼도동
90.66%6.89%▲83.76
본량동
86.68%9.73%▲76.95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76.54%17.64%▲58.90
관외사전투표
81.97%14.71%▲67.25
국외부재자투표
80.82%13.67%▲67.14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광산구 갑[10][A][11]86.86%10.41%▲ 76.45
광산구 을[12][A][13]85.52%11.96%▲73.57

광주 광산구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
신창 5차 호반베르디움87.75%10.02%▲77.73
운남 주공 4단지87.72%8.88%▲78.84
광주 수완 아름마을 3단지85.90%10.94%▲74.96
부영 1단지85.76%11.83%▲73.93
중흥S클래스 리버티85.42%12.17%▲73.25
삼성85.24%10.99%▲74.25
하남 금호타운85.18%10.99%▲74.19
우산 빛여울채84.39%12.30%▲72.09
송정 라인 2차 84.07%12.51%▲71.56
리버힐84.02%11.52%▲72.50
수완 1단지 중흥S클래스82.73%14.11%▲68.62
첨단산업기지 라인 1차80.53%14.32%▲66.21
세계수영선수촌 중흥S클래스 센트럴80.93%16.28%▲64.65
첨단 두산 1차79.98%15.68%▲64.30

3.3. 국회의원 선거[편집]



3.3.1. 광산구 (13대~17대)[편집]




3.3.2. 광산구 갑 / 광산구 을 (18대~현재)[편집]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갑)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용빈김동철(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7,482
(77.77%)
11,570
(13.33%)
+ 55,912
(△64.44)
88,264
(63.40%)
송정1동76.38%14.50%△61.8961.82%
송정2동74.27%17.75%△56.5261.29%
도산동75.94%15.18%△60.7562.00%
신흥동76.29%16.50%△59.7961.49%
어룡동76.67%14.70%△61.9758.96%
우산동78.94%12.77%△66.1756.49%
월곡1동78.33%12.32%△66.0161.72%
월곡2동79.69%11.85%△67.8459.94%
운남동80.62%9.86%△70.7664.42%
동곡동74.16%17.57%△56.5866.73%
평동77.47%14.07%△63.4059.82%
삼도동66.77%24.39%△42.3963.28%
본량동69.15%18.73%△50.4362.10%
후보이용빈김동철격차
거소·선상투표70.83%17.12%△53.70
관외사전투표78.61%11.85%△66.76
재외투표88.23%5.88%△82.3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을)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민형배노승일김용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6,808
(84.05%)
8,606
(7.47%)
7,110
(6.17%)
+ 88,202
(△76.58)
117,137
(64.08%)
비아동85.40%7.17%5.25%△78.2359.16%
첨단1동82.50%8.14%6.72%△74.3666.18%
첨단2동83.72%8.02%5.98%△75.7059.22%
신가동85.84%6.35%5.57%△79.4960.47%
신창동85.27%7.02%5.55%△78.2560.99%
수완동83.90%7.10%6.79%△76.8060.31%
하남동84.36%8.21%5.37%△76.1560.17%
임곡동75.75%15.65%5.89%△60.1062.96%
후보민형배노승일김용재격차
거소·선상투표82.90%5.81%6.90%△76.00
관외사전투표83.90%7.06%6.45%△76.84
재외투표91.93%1.61%1.61%△87.10[14]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445
(2.73%)
120,163
(60.30%)
22,708
(11.39%)
8,913
(4.47%)
15,892
(7.97%)
+ 97,455
(△48.90)
205,436
(63.78%)
송정1동2.65%60.82%9.07%3.52%6.60%△51.7461.84%
송정2동3.56%59.79%8.44%4.37%7.16%△50.4661.29%
도산동2.44%59.66%9.67%3.58%6.84%△49.9962.00%
신흥동3.52%61.91%9.80%3.69%5.94%△52.1061.49%
어룡동2.50%60.42%11.15%3.82%7.04%△49.2758.95%
우산동2.87%62.31%9.70%3.80%6.28%△52.6156.49%
월곡1동2.34%61.88%10.80%3.46%6.76%△51.0761.74%
월곡2동1.99%61.25%11.44%3.64%7.24%△49.8159.94%
비아동2.47%64.30%10.19%4.00%8.22%△54.1159.15%
첨단1동3.30%59.07%12.96%5.13%8.90%△46.1166.19%
첨단2동2.63%61.49%11.81%5.13%7.87%△49.6859.23%
신가동2.33%62.12%11.64%4.26%7.54%△50.4860.47%
운남동2.18%62.54%10.88%3.76%6.91%△51.6764.42%
신창동2.21%60.43%12.44%4.56%9.05%△47.9960.99%
수완동3.10%59.80%12.30%5.71%9.32%△47.5160.31%
하남동2.03%61.87%11.39%4.81%8.30%△50.4860.20%
임곡동2.47%62.56%10.00%4.78%6.41%△52.5662.96%
동곡동3.02%57.61%15.13%3.11%4.70%△42.4766.73%
평동2.32%60.80%8.16%3.62%6.28%△52.6359.89%
삼도동3.17%58.06%7.37%2.40%5.66%△45.7163.28%
본량동3.14%56.29%9.05%4.33%3.54%△45.8762.10%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4.62%51.32%8.37%6.38%4.18%△39.65
관외사전투표3.42%55.94%12.06%4.41%9.37%△43.88
재외투표4.03%46.77%13.70%3.22%20.96%△25.81








[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8] 징역형 집행유예.[9] 주기환 후보의 고향.[10] 광산구 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신흥동, 어룡동, 우산동, 운남동, 동곡동, 월곡1동, 월곡2동, 삼도동, 본량동, 평동.[A] A B 관외투표 제외.[11] 지역구 국회의원 : 이용빈 (더불어민주당, 초선).[12] 광산구 첨단1동, 첨단2동,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13] 지역구 국회의원 :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초선).[14] 재외투표 2위는 노동당 이병훈 후보(3표, 4.83%)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