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00-1

덤프버전 :

||
[ 2~99번 - 펼치기 · 접기 ]

235-1678
91011151617
202223242627
2930313333-136[A]
37[A]38[A]39404142
4344464950[A]51
525455[A]
55-1[C]
55-257
58[A]58-259616263
6768707173[B]77
80818283
83-1[A]
85
86878888-190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1 노선도.png
기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종점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장전역)
종점
첫차05:00기점
첫차06:28
막차22:10막차23:35
평일배차출퇴근 9분 / 평시 14분주말배차토요일 14분 / 공휴일 16분
운수사명해동여객인가대수18대[주말]
노선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동해선송정역 - 송정터널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대동상가 - 대림3차아파트 - 중동역.순복음교회 - 해운대도시철도역 - 동백역 - 동해선벡스코역 - 동해선센텀역 - 과정교 - 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 - 부산경상대학교 - 연산터널 - 연일시장 - (→ 연산역.연산교차로 →/← 연산역 ← 연제자동차매매단지[단독] ←) - 교대역 - 동래역 - 명륜역 - (→ 동래더샵아파트 →/← 온천장아스타아파트 ←) - 온천장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식물원입구 - 금정초등학교 - 부산대학교후문(11-089) → 부산대학교정문(11-081)장전역 → 장전동어린이놀이터 → 부산대학교정문(11-085) → 부산대학교후문(11-088)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3.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편집]


  • 이 노선의 시초는 1991년에 개통된 100번좌석버스이며 100번 노선과 동일했다.

  • 1996년 6월에 송정 - 송정터널 - 해운대신시가지 - 해운대로 변경되었다.

  • 1997년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됨과 동시에 노선번호도 100-1번으로 변경되었다. 해운대신시가지 구간은 북좌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1년 6월 10일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 이후 노선 개편으로 129번이 폐선되자 연산교차로 - 내성교차로 간 버스노선 요구 민원이 제기되었고 과정교(수영4호교)가 개통되며 54번만으로는 부족한 고분로 수요를 분담하기 위하여 과정교와 고분로를 경유하도록 조정되었다.[1]

  • 2012년 8월 1일 181번으로 2대가 넘어가면서 18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4. 특징[편집]



  • 장전3동 지역 주민들 대부분이 구.202번에 의존했었지만 이 노선이 형간전환된 이후 구.202번에 타격을 주었다. 202번도 동래를 경유했지만 부산대, 부곡시장으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100-1번이 수요가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했을 때랑 구.202번의 수요감소가 진행되기 시작되었을 때랑 시기가 맞물렸었다.

  • 기존에는 충렬대로를 따라 운행하던 노선이었고 유일하게 북좌동에서 잇는 노선이어서 당시 꽤 많은 수요를 자랑했다.

  • 금정초등학교, 온천시장, 장전3동 등지에서 오랫동안 운행했던 노선인지라 높은 인지도로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고분로에서 연산교차로 이북 지역으로 운행하며 동래와 부산대를 잇는 유일한 노선으로 출퇴근시간대 구간수요가 상당히 많다.[2] 게다가 고분로(과정교 - 부산경상대학 - 연산터널 - 연산교차로)를 모두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다.[3]

  • 노선변경 직후에는 충렬대로 연선 수요를 잃어버려 노선 승객수가 반토막 나다시피 하였고 운송수입금도 형 노선인 100번에 밀리는 굴욕까지 맛봤다. 게다가 토곡연산터널 쪽에서의 승객유입도 잘 되지 않은데다가 운송수입금이 감소된 여파로 인가대수가 20대에서 18대로 감차[4]가 되어버려 좋은 노선을 망친 결과가 되는 줄 알았으나 점점 고분로 연선 주민들에게 이 노선의 입소문이 퍼지면서 54번과 함께 서로 서브해가며 고분로에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해운대와 연산동을 빠르게 이어주면서 신규 수요가 창출되어 현재는 상당히 안정화되었다.[5] 이는 통계자료에서도 확인되었는데 2016년에 이 노선을 찾는 승객 수는 1일 평균 약 9,900여명이었다. 2017년에는 1일 평균 총 승객 수가 약 10,100여명으로 약 200여명 가량 늘었다. 반면에 형 노선 100번은 노선변경 이후 1일 평균 약 9,000여명에서 6,700여명까지 급감했고 1일 대당 운송수입금도 37~38만원대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 노선도 2018년 6월 통계에서 대당 수입금이 44만원을 기록하였다. 이 부분은 형제 노선 100번고분로 경유 가세로 수요가 분담된 것으로 보여진다.

  • 기종점이 같은 형제 노선인 100번이 있지만 100번의 경우에는 '청강리공영차고지 ◀▶ 동래 ◀▶ 장전역'으로 기재되어 있는 반면 이 노선의 경우에는 행선판에 '청강리공영차고지 ◀▶ 해운대 ◀▶ 부산대'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LED에도 100번은 장전역으로 나오고있지만 100-1번은 부산대학교로 나오고 있다. 기종점이 같고 동일한 회차방식을 이용하니 행선판이랑 LED 체계를 부산대학교 혹은 장전역으로 통일하여 동래시장 연선, 금정구 이용객들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조속히 조치해야 할 것이다.

  • 한편 동일한 회차 방식을 이용하는 77번은 '학장동 ◀▶ 서면 ◀▶ 부산대'로, 110번은 학장동 ◀▶ 구포 ◀▶ 부산대'로, 121번은 '금곡동 ◀▶ 동래역 ◀▶ 부산대'로, 144번은 '반여3동 ◀▶ 동래역 ◀▶ 부산대'로 기재되고 있다.[6]


  • 고분로 노선으로 대폭 변경 후 고분로 구간이 저상버스 운행에 무리가 가자 한때 저상버스를 전량 철수시켰다. 하지만 그런 저상버스도 현재는 문제점들이 상당수 개선되어 출시되었고 그 결과, 철수한지 9년만에 드디어 다시 저상버스가 다니게 되었다.

  • 100번과정로로 노선이 조정되고 181번 증차분으로 인가대수가 감차되어 이제는 100번보다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더욱 좋아졌다. 때문에 기존에 100번을 이용해서 해운대에서 동래 이북지역으로 가던 사람들도 와일드카드 노선으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수요가 늘어났다.

  • 100번, 181번이 동해선 송정역을 가지 않고 141번은 송정 영업소에서 끊겨 연장한 이후에는 회사 소속 입석 노선중 유일하게 동해선 송정역을 경유하게 되었다.[7]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10529.29
2015년10597.57△ 68.28
2016년9911.14▽ 686.43
2017년10093.00△ 181.86
2018년8724.00▽ 1369.00
2019년8406.14▽ 317.86

4.2.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0-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금강로
금강로▲ 장전동어린이놀이터
수림로
금정로
▲ 부산대학교정문
장전로
▲ 부산대학교후문
금강로
식물원입구 ▼▲ 금정초등학교
온천장로125번길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식물원입구
온천장로
온천장 ▼▲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금강공원로중앙대로
롯데백화점동래점 ▼
중앙대로
연제자동차매매단지 ▼▲ 연산역.연산교차로
거제천로고분로
연산역 ▼
월드컵대로
연산교차로 ▼
고분로
동부지청어귀교차로 ▼▲ 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
해운대로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해운대로
APEC로
올림픽교차로 ▼
해운대로
건널목삼거리 ▼▲ 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
우동3로
중동역.순복음교회 ▼▲ 건널목삼거리
대천로
LH뜨란채아파트 ▼▲ 한일아파트
대천로67번길
대림3차아파트 ▼▲ 신성아파트
좌동순환로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동신아파트
좌동로
송정1단지주공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해운대로
내리 ▼▲ 브라보주유소
기장대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44:58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00-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말] 토요일 17대 / 공휴일 15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1] 189번연산동 구간을 갖고 왔다. 동시에 과정교를 건너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지만 2012년 4월 27일부터 307번도 과정교를 건너고 있고 2017년 1월 7일부터는 100번도 과정교를 건너고 있다.[2] 이 노선보다 54번의 배차간격이 더욱 좋지만 54번은 서면으로 가긴 하나 사직운동장과 초읍으로 둘러가는(굴곡 노선) 노선이기때문에 100-1번의 수요가 더욱 많다.[3] 54번은 토곡사거리에서부터 합류하여 고분로를 쭉 따라간다.[4] 2대는 모두 승객이 늘어난 181번으로 이동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가끔씩 15~20분 이상 벌어질때도 있다.[5] 이전에는 수영교차로에서 환승해야만 했다.[6] 다만 LED는 77번, 144번은 부산대학교라고 나오고, 나머지 노선들은 장전역으로 나오고 있다.[7] 1011번은 급행이라 논외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