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411 (r10판)

편집일시 :


파일:태진6411번_뉴슈퍼개선형.png파일:서울6411번개선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회찬 버스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기점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신정동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삼성역 7번 출구)
기점행첫차04:00[A]종점행첫차05:40[A]
막차22:30막차23:55
평일배차8~13분주말배차토요일 10~12분 / 공휴일 12~14분
운수사명한남여객운수인가대수26대(예비 1대)[1][2]
노선신정동차고지 - 신트리아파트 - 고척시장 - 고척중학교 - 동양미래대학.구로성심병원 - 구일역 - (→ 쌍용구로정비센터 → 우리유앤미아파트 →/← 구로역.나인스애비뉴 ← 구로변전소.구로초등학교 ←) - 구로119안전센터 - 고려대구로병원 - 구로시장 - 남구로역 - 대림역 - 대림동우성아파트 - 신풍역 - 보라매역 - 대림초등학교 - 장승배기역 -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 - 노량진역 - 노들역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동작역.국립현충원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학동역 - 강남구청역- 강남구청.강남세무서 - 봉은사역.코엑스북문 → 봉은사역.광동한방병원 → 서울의료원강남분원 → 강남경찰서.면허시험장 → 삼성역 7번 출구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남여객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3.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62-1번 도시형버스(신도림역 - 개포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6411번으로 바뀌었다.

  • 2018년 9월 29일부터 2대가 감차되어 6511번6611번에 각각 1대씩 증차되었다. 이와 동시에 대당 일 운행횟수도 줄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7회/3회/2회 감회되었고, 그로 인해 평일 최대 배차간격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1분 늘어났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19년 8월 16일을 기해 첫차 차내 혼잡도 완화를 목적으로 첫차시각에는 2대가 동시에 출발하게 되었다. 단,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관련 공문

  • 2019년 9월 2일을 기해 22:40이었던 기점 막차시각이 22:30으로 10분 앞당겨졌다.관련 공문


  • 2023년 6월 1일을 기해 구로동 영업소에서 신정동 본사로 이전했다.

  • 2023년 6월 3일을 기해 신도림역 - 구로시장 구간이 단축, 신정동 - 구로시장 구간으로 변경, 남구로역 - 대방역 구간에서 남구로역 - 동작구청 구간과 학동역 - 개포동 구간이 단축, 학동역 - 강남구청역 - 봉은사역 - 한국무역센터 구간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2대가 감차되어 6511번으로 이동되었다.
[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411 노선도.png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 하다.

  • 구로동 시절 때 노선도 길었고 굴곡도 적었다. 애당초 2004년 개편 때 간선도로를 10km 이상 경유하는 노선이 간선버스로 지정됐는데, 이 노선의 노량진로, 현충로, 신반포로 구간을 더해보면 10km가 넘었다. 게다가 대림동에서 노량진 방향으로 654번보다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덕분에 훨씬 빨리 갈 수 있었다. 이렇게 기.종점을 제외한 전 구간의 선형은 간선버스급이었다. 하지만 6월 1일에 신정동차고지로 이전하고 노선도 바뀜에도 불구하고 굴곡은 적다.

  • 구로동 시절 때 신도림역에서 남구로역까지는 굴곡이 제일 심했다. 우신초교~신도림역은 직선거리로 2.5km이지만 이 노선을 타면 7.5km나 타고 갈 수 밖에 없었다. 도신로 대림3동에서 대신시장까지 도로가 직선이고 약 2km밖에 되지 않는데도 한번에 가는 버스 노선이 없어서 대림동에서 장훈고, 영등포여고까지 가려면 애로사항이 많았다. 다만 도림사거리에서 갈아 타고 갈 수 있었다. 하지만 신정동차고지로 이전하고 노선이 바뀐 이후에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게 되었다.

  • 도로 정체가 심해지는 시간에는 운행시간이 증가한다. 대표적으로 학동역-논현역-고속터미널과 흑석동효사정-노들역 정체가 심해서 퇴근시간에 하행선 배차 꼬임 문제가 나타난다. 이때는 7호선이나 9호선 타는 게 훨씬 낫다.

  • 노들역 4번 출구에 선다. 대신 다른 노선들이 정차하는 동작실버센터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



4.1. 노회찬 버스[편집]



  • 노회찬 전 국회의원이 연설 주제로 다루기도 했다.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새벽시간대에 이 노선을 타고 청소 및 경비 노동자들이 강남 지역의 빌딩으로 출근하기 때문이다.(관련 기사)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이 노선을 노회찬 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실 이 노선만 그런 것은 아니고, 대다수의 간선 노선과 여러 중장거리 지선 노선들은 다 해당되는 내용이다. 운전기사 처우 개선을 명분으로 한 노선 운행시간 변경이 일어날 때, 막차시간이 앞당겨지는 일이 첫차시간이 늦춰지는 일보다 훨씬 잦은 것도 이런 사정이 있는 것이고 8541번도 해당 노동자들의 수요 때문에 맞춤버스로 있는 것이다. [3]

  • 노회찬 의원 사후 정의당에서는 이 노선 번호에서 따온 '6411 정신'을 캐치프라이즈로 밀고 있다. 이자스민 전 의원도 정의당 입당식에서 '6411번 버스가 지나는 구로, 대림, 영등포 일대는 서울에서 이주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라며 노 의원님의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고 언급했다. 기사 이후 이정미 의원도 2019년 국회 필리버스터에서 6411초[4] 동안 발언하면서 "우리가 선거법을 개정해야 하는 이유는 노회찬 정신 속에 있다"고 언급했다.

  • 2021년 재보궐선거 투표일 전날인 4월 6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이 버스를 타면서 선거유세를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이준석 위원은 선거법 위반이라고 비판하였고, 정의당에서도 이에 대해 비판하였다.[5]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8,294명-
2014년18,599명△ 305
2015년18,112명▽ 487
2016년17,261명▽ 851
2017년16,671명▽ 590
2018년15,775명▽ 896
2019년15,412명▽ 363
2020년11,747명▽ 3,665
2021년11,776명△ 29
2022년12,684명△ 90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A] A B 첫차는 2대가 동시출발한다.[1] 토요일 22대 / 공휴일 20대 운행[2] 예비차는 6511번과 공동사용한다.[3] 8541번은 얘기가 다른게 충전소 설립 거부로 인해서 노선이 쪼개진 핌피의 결과였지 6411번과는 아무 연관 없다.[4] 1시간 46분 51초. 실제로도 약 1시간 47분 동안 발언했다.[5] 21대 총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독주로 인해 정의당은 더불어민주당에 완전히 정을 떼어 버린 상태였다. 박영선 후보가 도와달라고 요청했음에도 염치없다며 비판했을 정도.[6] 동작역.국립현충원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