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배기역

최근 편집일시 :

Jangseungbaegi Station

장승배기
파일:Seoulmetro7_icon.sv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다국어 표기
영어
Jangseungbaegi
한자

중국어
长丞拜基
일본어
チャンスンベギ
주소
7호선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 188 (상도2동 26-20번지)
운영 기관
7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개업일
7호선
2000년 8월 1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발빠짐주의)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40번.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 188 (상도2동 26-20번지)에 위치한 역이다.


2. 역 정보[편집]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 갈 수 없는 구조이므로, 역무원을 호출한 경우 비상문을 통해서 건너 갈 수 있다.[1]

서울 경전철 서부선과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동작도서관, 동작문화원,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2], 동작구보건소 등이 인접해 있다. 남쪽으로는 장승중학교, 북쪽으로는 동작구청과 노량진초등학교, 노량진역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인근에 행정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영도시장, 성대시장과 같은 전통시장이 인접하여 있고 아파트 단지도 하나둘씩 늘어나는 추세이다 보니[3] 노량진과 더불어 동작구에서 그나마 상권이 흥한 지역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개통되기 전 상도동 주민들은 이곳의 지명을 '장승백이'로 표기하였으나, 역이 생겨난 이후로 '장승배기'와 혼용하기 시작했다. 사실 장승배기(장승백이)란 지명 자체가 예전에 이곳에 두 고을의 경계를 가리키던 장승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과거에 이곳이 시흥군과 옛 과천군의 경계 지역이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당시에는 장승은 원래 5번 출구 일대에 있었으나 나중에 사라졌고, 1990년대에 6번 출구 앞 동작도서관 가는 길에 복원했다. # 또, 장승 앞에는 조선시대 정조가 수원에 있는 사도세자의 묘소로 참배하러 가는 길에 세운 것이 기원이라는 안내문도 있다. 또한 5, 6번 출구 앞의 가로등을 장승 장식으로 꾸며놓은 것도 볼 수 있으며 1990년대 초반부터 10월마다 이 장승 앞에서 장승제를 지낸다.

동작구에서는 장승배기역 부근에 종합행정타운을 건설하여 현재 노량진에 있는 동작구청을 비롯한 몇몇 행정기관을 이전하려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그리고 노량진뉴타운도 추진하고 있다.

서부선이 완성되면 신대방삼거리역(관악-동작의 서부지역)과 숭실대입구역(관악-동작의 중동부지역)이 맡고 있는 관악-동작 간의 종축(남북축) 교통기능을 상당히 뺏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 출구 정보
1
동작문화복지센터
동작구보건소
동작관악교육지원청
장승중학교
영도시장
2
상도2치안센터
신상도초등학교
상도아이파크아파트
상도동더샵아파트
3
상도4동주민센터
상도4치안센터
상도초등학교
4
상도지구대
동작종합사회복지관
영등포중학교
영화초등학교
5
노량진2동주민센터
노량진지구대
동작구청·동작구의회
신노량진시장
장성교회
6
상도2동주민센터
노량진초등학교
동작도서관
청화병원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7_icon.svg
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
15,594명

2001년
19,258명

2002년
20,499명
비고
2003년
22,057명

2004년
22,868명

2005년
22,662명

2006년
22,745명

2007년
22,370명

2008년
22,705명

2009년
22,067명


2010년
21,202명

2011년
21,072명

2012년
20,544명

2013년
21,342명

2014년
21,614명

2015년
21,328명

2016년
21,420명

2017년
22,045명

2018년
22,039명

2019년
21,826명

2020년
16,282명

2021년
15,754명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이용객 22,045명(2017년 기준)으로 7호선 역 중에서는 수요가 조금 저조한 편이다. 위치에 비하면 2만 명 초반대의 수치가 결코 나쁜 편은 아닌데, 불과 900m 북쪽에 1호선, 9호선 노량진역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구간에는 정말 짧은 구간에도 버스노선이 매우 많은 병목구간인데, 장승배기역 사거리의 다른 방향들인 신대방삼거리역 방향, 현대시장-신상도초교 방향, 상도역-숭실대입구역 방향에서 오는 버스가 정규 시내버스(지선, 간선)[4] 중에서는 752번, 753번 두 개를 빼놓고는[5] 모두[6] 노량진역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7호선을 이용하면 서울 원도심으로 바로 가지 못하고 갈아타서 한참을 돌아가기 때문에 사대문안, 영등포, 여의도 방면 승객들이 대부분 버스로 이탈함에도 하루 2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으니, 장승배기역은 그럭저럭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이 일대가 온통 언덕배기에다[7] 교통이 정말 불편한 곳이 많아서 지하철을 이용하는 고정 수요가 꾸준히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북쪽으로는 노량진역 및 너머로 여의도와 신촌, 남쪽으로는 서울대입구역을 잇는 서부선이 개통하면 저 버스들의 남북방향 연결 수요(특히 노량진행)[8]가 대거 서부선으로 흡수되어 이 역의 승하차객 수가 폭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5. 승강장[편집]


파일:장승배기역1.jpg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파일:32 장승배기(최신).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상도




신대방삼거리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3:19:22에 나무위키 장승배기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발산역이 장승배기역과 똑같은 방식으로 지어져 있다.[2] 즉 관악구와 동작구는 중고등학교가 같은 학군이다.[3] 대표적으로 5번출구 초역세권의 상도파크자이 등. 아파트 부속 상가도 연도형으로 양옆으로 길쭉하게 되어 있다.[4] 즉 마을버스 등 제외[5] 서쪽의 신대방삼거리역 방향과 동쪽의 상도역 방향을 잇는[6] 152, 500, 504, 641, 650, 654, 751, 5516, 5517, 5535, 5536, 6515 등 12노선이나 된다! 노량진에서 내려오는 편도까지 따지면 마을버스 동작02, 11도 있다.[7] 이 역 일대의 고도가 주변에서 상당히 높다. 자전거를 타고 다니면 바로 느낄 수 있다. 노량진보다도 높고, 신대방삼거리보다도 높다.[8] 한 정거장이지만 길은 넓지 않은데 버스노선이 10개가 넘어서 RH에는 심하게 밀리고 NH에도 종종 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