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버스 정왕동-석수역

덤프버전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
[ 펼치기 · 접기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시흥시 CI_White.svg 시흥시 직행좌석버스 ####번
기점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이마트)종점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석수역)
종점행첫차미정기점행첫차미정
막차미정막차미정
배차간격20~40분
운수사명경원여객인가대수7대

경유 정류소
(상): 상행 정차 정류소 / (하): 하행 정차 정류소
시흥시(정왕)광명시(광명역), 안양시(석수역)
이마트KTX광명역3번출구(상)
건영7차.신호새피앙
한라3차.이지더원(상)
이지더원(하)
한라비발디1차석수역
생명공원(상)
배곧sk뷰.호반베르디움1차(하)
배곧중심상가(상)
배곧한신더휴.호반더프라임(하)


2. 개요[편집]


2023년 하반기 중 운행 예정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6km이다.


3. 역사[편집]


  • 노선번호 '3600번'으로 2023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차일피일 미뤄졌다. #


  • 2023년 8월 9일부터 8월 25일까지 운송사업자를 모집한다. 최초 추진 당시와는 달리 기점과 경유지가 일부 변경되었다. #


4. 특징[편집]


  • 정왕·배곧 권역의 처참한 광명역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기존에 이 지역에서 대중교통으로 광명역까지 가장 빠르게 가려면 3400번이나 6502번, 4호선을 이용해 사당역으로 이동하여 8507번으로 환승하는 것뿐이었으나[1] 본 노선이 개통되면 소요 시간과 이용객 피로도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 서울 서남부권(금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접근성 역시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경유지가 훨씬 많은 1번이나 5200번보단 본 노선을 타고 석수역에 내려서[2] 1호선으로 갈아타는게 더 빠를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역[A], 석수역
  • 파일:KTX BI.svg 일반 철도역: 광명역(KTX)[A]


6. 둘러보기[편집]


파일:경기도 휘장.svg 서울특별시내 미운행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양시 CI_White.svg고양시
1001[통]
3300[공]
>

파일:광주시 CI_White.svg광주시[미]
3200[공][통]
5000

파일:김포시 CI_White.svg김포시
9000[공]
9008[통]
>

파일:성남시 CI_White.svg성남시
3100

8109[통]

파일:수원시 CI_White.svg수원시>

파일:시흥시 CI_White.svg시흥시
은계-판교

파일:안산시 CI_White.svg안산시
300[관]
>

8407[미]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의정부시
8401[통]
8409[통]
>

파일:파주시 CI_White.svg파주시[관]
77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화성시
G6010
기타>
[공] 공항버스 노선 / [관] 주말 관광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
파일:광명시 CI_White.svg 광명역 경유 버스
서측1번2번3번4번
>
동측5번6번7번8번
>
3002
1-3
22
미개통서측/동측 모두 경유하는 노선



>
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간 버스
광명시 면허>
시흥시 면허
안산시 면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
320


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간 버스
시흥시 면허>
안산시 면허>
기타 면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2:51:08에 나무위키 시흥 버스 정왕동-석수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외에도 오이도역, 정왕역으로 이동하여 수인·분당선 환승 후 수원역에 도착해서 KTX를 이용하는 방법과 월곶동으로 이동하여 11-3번을 타고 광명역으로 가는 방법이 있긴 하다. 그러나 수원 경유 KTX는 하루에 몇 대 없고 광명 경유 열차보다 훨씬 느리며, 11-3번은 배차간격도 문제지만 기점에서 종점까지 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2] 광명역에서 1호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배차간격이 농어촌버스 못지않다.[A] A B 상행(석수역) 방면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