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버스 1001

최근 편집일시 :




파일:고양1001_3116.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대체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고양시 BI_White.svg 고양시 직행좌석버스 10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출발]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일산서부경찰서)
[도착]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고양공영차고지)
종점
경기도 부천시 심곡동(부천소방서.부천대학사거리)
상행
첫차
04:40
하행
첫차
05:40
막차
23:20
막차
00:25
평일배차
12~35분
주말배차
30~60분
운수사명
고양교통
인가대수
12대[1]
노선
(고양공영차고지 ←) - 일산서부경찰서 - 대화역 - 백병원(중) - 주엽고등학교 - 성저마을14단지 - 밤가시마을 - 국립암센터 - 백송마을1.2단지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 일산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김포IC - 아라대교 - 화훼단지 - 부천축산물공판장 - 다정한마을.래미안아파트 - 상동역 - 부천종합터미널 - 송내역 - 중동역 - 부천대학교 - 부천소방서.부천대학사거리

2. 개요[편집]


고양교통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7.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9년 6월 1일, 1004번(현 9008번)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당시 운행 구간은 '백석동 - 부천대'였으며, 20-3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 2018년 5월 5일, 정류장 간격이 멀다는 민원으로 인해 신설된 '동양동주유소' 정류장에 정차하였다. 이용객 저조와 교통혼잡을 이유로 동년 8월 11일 '동양동주유소' 정류장이 폐쇄되어 정차하지 않는다.

  • 2018년 6월 1일부터 일산병원(부천 방향 20363) 정류장을 정차하지 않고 운행한다.



4. 특징[편집]


  • 입석을 받는 노선이다. '일산IC - 김포IC' 구간은 거리가 짧고, 상습 정체구역이라 고속 주행을 하지 않아 가능한 듯하다. 고급좌석이 아닌 도시형 차량을 투입하기도 하고. 동일 고속도로 구간을 운행하는 동사 96번도 입석을 받는다. 사실상 고속도로라기보단 다리를 건넌다는 개념이 더 맞을 듯. 평시에도 대화역부터 자리가 채워지고, 출퇴근 시간 고양 방향은 부천종합터미널을 지나가면 입석 승객이 발생한다. 서해선 전철 대곡-소사 구간 개통 전에는 출퇴근 시간대에 정말 꽉꽉 채워서 문을 겨우 닫을 만큼 승객이 엄청 많았다.

  • 출퇴근 시간이나 교통정체 발생 시에는 배차가 40분, 심하면 60분까지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 일산서부경찰서, '백병원 - 성저마을14단지', '하야동 - 부천축산물공판장' 등 승하차객이 적은 정류소는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 승차하려면 손을 들거나 눈을 마주치거나 경기버스정보 승차벨서비스를 이용하자.

  •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대곡역 연장으로 큰 타격을 입으며 운송수입금이 대당 약 30~40% 감소했다. 관련 글 이를 통해 승객이 1/3 가까이 줄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2023년 7월 1001번 버스의 일평균 이용객은 전년 동월 대비 -50%에 달했다. 노선을 폐선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링크

  • 노선 신설 당시 고양시 내 정류장은 편도로 한 곳이었다. 워낙 존재감이 없었어 고양시부천시에서는 자주 오지 않는 노선이었다. 하지만 2023년 현재는 초기에 비해 많이 증차되어 20대로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0~15분으로 많이 줄어들었다.

  • 일산신도시중동신도시를 직접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두 신도시가 거리상으로 가까이 위치하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통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직접 연계되는 교통수단이 없었는데[2], 1001번의 개통으로 두 신도시간 연계가 편리해지고 교류가 활성화되는 데 기여한다.

  • 특이하게도 일산신도시의 주 수요처라 할 수 있는 중앙로가 아닌 일산로를 경유한다.

  • 서류상 기점은 고양공영차고지이지만, 해당 정류장에서는 승하차를 받지 않아 실질적인 기점은 일산서부경찰서로 봐야 한다.

  • 서울특별시 소속 정류장이 왕복으로 딱 두 개 있다. 39번 국도 벌말로(부천)에 위치한 화훼단지 정류장이 행정구역상으로 강서구 오곡동(행정동은 공항동)에 있다.[3] 서울시 TOPIS에도 이 정류장이 등록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고양교통의 유일한 서울특별시 경유 노선이지만 외곽지로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은 하나도 없으며 정류장 표지판에 인천광역시 로고가 붙어져 있었다. 이유는 해당 지역이 인천 계양구 동양동(행정동 계양3동)과 서울 강서구 오곡동(행정동 공항동)의 경계이기 때문. 길만 건너면 서울과 인천이 갈린다. 그 외에도 김포시에 정류장 하나(아라대교)[4],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2개(상야동/하야동)가 있다. 서울(강서), 인천(계양), 경기(고양/김포/부천) 총 5개 지자체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 88번과 더불어 고양교통의 수익을 책임지는 효자노선이었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에도 인가 대수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만 운행을 하는데다 서해선 전철 개통으로 운송수입금이 줄어 효자노선이라 보기에도 이제는 애매한 수준이 되었다.

4.1. 대체 노선[편집]


  • 기사 부족으로 운행댓수가 감소하여 배차간격이 평소보다 길어졌다. 이에 대체 노선을 서술하나, 대체 노선도 배차간격이 긴 경우가 대부분이다. 참고 시 유의.
    • 일산신도시와 부천을 오갈 경우 서해선 전철을 적극 활용하자. 대곡역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소사역까지 환승 없이 이동 가능하며 환승 시 상동역/송내역/중동역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서해선 전철의 배차간격은 2023년 7월 기준 20분, 평일 출퇴근시간 12분으로 긴 편이나 상술하였듯 운송수입금을 1/3 가까이 줄인 교통수단이다.
    • 일산신도시 구간은 88번으로 대체 가능하다. '일산서부경찰서 - 백병원(중)' 구간은 부천 방향 88A, 일산 방향 88B이며 일산로 구간은 부천 방향 88B, 일산 방향 88A가 대부분 동일하게 운행한다. '백병원(중) - 후곡마을7.8단지' 구간은 대체 노선이 없으나 장성초교, 대진고교, 성저공원 앞을 88이 다닌다. 88은 백석역에서 중앙로를 이용하지 않고 백신고교 쪽으로 간다. '후곡마을 - 마두1동행정복지센터 - 알미/안산공원 - (중앙로)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구간은 700번도 다닌다.
    • 김포대교를 건너는 노선은 96번이 있기는 하지만 이 노선 역시 배차간격이 길고 아라대교 반대편인 고촌역으로 간다.
    • '아라대교 - 상/하야동 - 부천시자원순환센터'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은 이 노선과 9008번뿐이다. 상/하야동이 목적지라면 개화역으로 간 후 길 건너 인천 300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아라대교 - 개화역' 구간은 수많은 노선이 경유하므로 통합 배차간격은 짧다. 오곡동 화훼단지로 갈 경우에도 300 이용이 가능하나 정류장이 다르다. 9008은 하야동과 북부수자원생태공원에 정차하지 않는다. 생태공원은 자원순환센터 정류장에서 도보로 약 400m 거리에 있다.
    • '부천테크노파크 - 부천터미널 - 송내역' 구간은 70-3번으로 대체 가능하나, 이 노선은 상동역을 경유하지 않고 직진한다.
    • '송내역 - 부천대' 구간은 83번이 비슷하게 대체한다. 단, 부천대로 가려면 'KT부천지사' 정류장에서 걸어가야 한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송내역간 버스

[ 펼치기 · 접기 ]
송내역
남부

8
11
14-1
16-1
20
30
37
47
88,[a],
급행99
103-1
9300,[a],
송내역
북부

16
53
80
87
302
1001
9008
[a] 구산사거리 정류장 연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4:44:43에 나무위키 고양 버스 100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는 8~10대만 운행 중이다. 주말에는 더 감축해 3~5대 정도만 다닌다.[2] 이 노선은 2009년 개통되었다.[3] 고양 방면 정류장(16980), 부천 방면 정류장(16981)[4] 이 정류장 정차로 인해 김포시에서 배차간격이 긴 9008번을 타기보다는 1002번/60번/21번 등을 타고 환승하는 수요가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