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현비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펼치기 · 접기 ]
태조 후혜종 후정종(定宗광종 후
경종 후성종 후목종 후현종 후
덕종 후정종(靖宗문종 후순종 후
선종 후숙종 후예종 후인종 후
의종 후명종 후신종 후희종 후
강종 후고종 후원종 후충렬왕 비
충선왕 비충숙왕 비충혜왕 비공민왕 비
우왕 비공양왕 비




고려 선종의 제1왕후
정신현비 | 貞信賢妃
출생미상
이예의 사저
사망1079년[1] ~ 1083년[2] 사이로 추정
능묘미상
재위기간고려 국원공비
? ~ 1083년 이전으로 추정
고려 현비
미상
[ 펼치기 · 접기 ]
본관부계 인주 이씨[1]
모계 사성 개성 왕씨
부모부친 평장사 이예
(平章事 金良儉)
모친 상궁 왕씨[2]
(尙宮 王氏)
형제자매
1남 1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이공수(李公壽)[1]
정신현비(貞信賢妃)
[1] 이복형제
배우자선종
자녀
1녀 [ 펼치기 · 접기 ]
경화왕후(敬和王后)[1]
[1] 예종의 제1비
종교미상
거처국원공부(國原公府)
작호국원공비(國原公妃)
→ 현비(賢妃)
시호정신현비(貞信賢妃)
[1] 현재는 인천 이씨. 예전에는 경원 이씨, 인주 이씨 라고도 불렀다. 인천의 과거 지명이 경원(慶源), 인주(仁州)였기 때문이다.[2] 왕가도의 손녀. 선종이 상궁(尙宮)의 내직(內職)을 주어 인예태후의 궁관(宮官)으로 삼고 녹봉을 지급했다.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선종의 제1비.

존호는 '현'(賢). 제11대 문종 치세 때의 명신 이자연의 조카 이예의 딸이다.


2. 생애[편집]


남편 선종이 국원공(國原公)일 때, 혼인해 국원공비(國原公妃)라 불렸다. 딸인 예종의 제1비 경화왕후(敬和王后)를 낳고 이내 사망해 시호를 '정신'(貞信)이라 했다.

예종 2년인 1107년 4월 왕이 선종의 제1비인 현비를 선종과 함께 부묘(祔廟)[3]하려 하였으나 간관(諫官)[4]이 현비는 선종과 같이 지내던 기간이 짧다고 반대하여 합사하지 못했다. 선종의 제1비이지만 선종 즉위전에 사망하여 서열에 비해 품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선종(고려) 문서의 r2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선종(고려) 문서의 r2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12:58:19에 나무위키 정신현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딸인 경화왕후의 출생년[2] 선종 즉위년[3] 임금의 조종(祖宗)을 모신 사당에 신주를 함께 모시는 일[4] 임금의 잘못을 간(諫, 충고)하는 벼슬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