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1997시즌

덤프버전 :




1. 1997년 그랑프리
1.1. 1997년 라인업
1.2. 1997년 캘린더
2. 세이프티 카 / 메디컬 카
3. 경기 결과
3.1. 1전 호주 GP
3.2. 2전 브라질 GP
3.3. 3전 아르헨티나 GP
3.4. 4전 산 마리노 GP
3.5. 5전 모나코 GP
3.6. 6전 스페인 GP
3.7. 7전 캐나다 GP
3.8. 8전 프랑스 GP
3.9. 9전 영국 GP
3.10. 10전 독일 GP
3.11. 11전 헝가리 GP
3.12. 12전 벨기에 GP
3.13. 13전 이탈리아 GP
3.14. 14전 오스트리아 GP
3.15. 15전 룩셈부르크 GP
3.16. 16전 일본 GP
3.17. 17전 유럽(헤레스) GP
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4.1. 드라이버 포인트
4.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1997년 그랑프리[편집]


1997년 포뮬러 원 시즌은 48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3월 9일 호주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0월 26일 유럽 그랑프리 까지 총 17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굳이어 타이어와 브리지스톤이 타이어를 공급하였다. 윌리엄스-르노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자크 빌르너브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였다. 하인츠하랄트 프렌첸이 2위, 데이빗 쿨싸드가 3위를 차지했다. 미하엘 슈마허는 포인트상 2위였으나 유럽 그랑프리에서의 위험한 주행으로 피할 수 있었던 사고를 일으켜 실격처리 되면서 포디움에 들지 못했다.

1.1. 1997년 라인업[편집]


  • 시즌 개막일 기준.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엔트리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
1파일:Arrows GP logo.jpg
단카 애로우즈 야마하[1]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18
(Yamaha OX11C/D 3.0 V10)
1파일:영국 국기.svg데이먼 힐
2파일:브라질 국기.svg페드로 디니즈
2파일:rothmans-williams-renault.svg
로스만스 윌리엄스 르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19
(Renault RS9 3.0 V10)
3파일:캐나다 국기.svg자크 빌르너브
4파일:독일 국기.svg하인츠하랄트 프렌첸
3파일:Scuderia Ferrari Marlboro logo.jpg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310B
(Ferrari 046/2 3.0 V10)
5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
6파일:영국 국기.svg에디 어바인
4파일:Benetton Formula logo.gif
마일드 세븐 베네통 르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B197
(Renault RS9 3.0 V10)
7파일:프랑스 국기.svg장 알레시
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게르하르트 베르거
5파일:West Mclaren Mercedes logo.png
웨스트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12
(Mercedes FO110E 3.0 V10)
9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해키넨
10파일:영국 국기.svg데이빗 쿨싸드
6파일:Jordan GP 1997 logo.png
벤슨 & 헤지스 조던 푸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97
(Peugeot A14 3.0 V10)
11파일:독일 국기.svg랄프 슈마허
1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피지켈라
7파일:Prost logo.png
프로스트 골루아즈 블론드[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JS45
(Mugen-Honda MF-301HB 3.0 V10)
14파일:프랑스 국기.svg올리비에 파니스
15파일:일본 국기.svg나카노 신지
8파일:Red Bull Sauber Petronas logo.png
레드불 자우버 페트로나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C16
(Petronas SPE-01 3.0 V10)
16파일:영국 국기.svg조니 허버트
17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니콜라 라리니
9파일:ECC3FA80-D61C-4F17-80B9-5E46D2A729B7.png
PIAA 티렐 포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025
(Ford ED4 3.0 V8)
18파일:네덜란드 국기.svg요스 베르스타펜
19파일:핀란드 국기.svg미카 살로
10파일:Minardi 1997 logo.png
미나르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197
(Hart 830 AV7 3.0 V8)
20파일:일본 국기.svg카타야마 우쿄
2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야르노 트룰리
11파일:stewart grand prix.png
HSBC 말레이시아 스튜어트 포드[3]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SF01
(Ford VJ Zetec-R 3.0 V10)
22파일:브라질 국기.svg루벤스 바리첼로
23파일:덴마크 국기.svg얀 마그누센
12파일:MasterCard Lola logo.jpg
마스터카드 롤라 포뮬러 1 레이싱 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T97/30
(Ford ECA Zetec-R 3.0 V8)
24파일:이탈리아 국기.svg빈센조 소스피리
25파일:브라질 국기.svg리카도 로셋


1.2. 1997년 캘린더[편집]


#경기 일정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비고
13/9호주(멜버른)멜버른 그랑프리 서킷데이빗 쿨싸드맥라렌-메르세데스
23/30브라질(상파울루)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
34/13아르헨티나(부에노스 아이레스)오스카르 알프레도 갈베스 자동차 경주장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600번째 GP
44/27산 마리노(이몰라)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하인츠하랄트 프렌첸윌리엄스-르노
55/11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65/25스페인(카탈루냐)카탈루냐 서킷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
76/15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86/29프랑스(마그니-쿠르)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97/13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
107/27독일(호켄하임)호켄하임링게르하르트 베르거베네통-르노
118/10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
128/24벨기에(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39/7이탈리아(몬차)몬차 서킷데이빗 쿨싸드맥라렌-메르세데스
149/21오스트리아(스펠베르크)A1-링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
159/28룩셈부르크(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
1610/12일본(스즈카)스즈카 서킷미하엘 슈마허페라리
1710/26유럽(헤레스)헤레스 서킷미카 하키넨맥라렌-메르세데스


2. 세이프티 카 / 메디컬 카[편집]


파일:B1FA9931-79D6-4BC6-8DF0-D32BC4EEE502.jpg
파일:3C030C14-4CB9-425E-A0C1-88557F9C773C.jpg
파일:B8AEBF06-C5FE-4C2A-8B47-AB9E7DCE551B.jpg
이번 시즌부터는 C 36 AMG에서 CLK 55 AMG로 세이프티 카 차량이 바뀌었으며, 메디컬 카 또한 E 60 AMG로 바뀌었다.


3. 경기 결과[편집]



3.1. 1전 호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9.369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30:28.718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31.123 (+1.754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20.046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1.472 (+2.103s)3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22.177s

패스티스트랩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30.585 (Lap 36)

3.2. 2전 브라질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6.004우승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36:06.990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6.594 (+0.590s)2위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 4.190s
P3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16.644 (+0.640s)3위올리비에 파니스 (프로스트)+ 15.870s

패스티스트랩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8.397 (Lap 28)

3.3. 3전 아르헨티나 GP[편집]


예선 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4.473우승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52:01.715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25.271 (+0.798s)2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0.979s
P3올리비에 파니스 (프로스트)1:25.491 (+1.018s)3위랄프 슈마허 (조던)+ 12.089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27.981 (Lap 63)

랄프 슈마허가 본인의 F1 첫 포디움에 올랐다.

3.4. 4전 산 마리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3.303우승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31:00.673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23.646 (+0.343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237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3.955 (+0.652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1:18.343s

패스티스트랩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25.531 (Lap 42)

프렌첸이 F1 데뷔 첫 우승을 하였다.

3.5. 5전 모나코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18.216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2:00:00.654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8.235 (+0.019s)2위루벤스 바리첼로 (스튜어트)+ 53.306s
P3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8.583 (+0.367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1:22.108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53.315 (Lap 26)

2년연속 워터파크 개장, 곳곳에서 이어진 스핀쇼

레이스 시작 전부터 비가 점점 거세게 내리기 시작했고, 빗길에서 강한 미하엘 슈마허가 폴포지션 프렌첸을 제치고 선두로 자리매김하며 일찌감치 격차를 벌려나갔다. 이후에는 빌르너브, 알레시, 쿨싸드, 랄프 슈마허 등 여러 차량들이 스핀하며 리타이어하기 시작하였고, 미하엘 슈마허조차 레이스 후반부 첫 코너에서 살짝 미끄러지며 리타이어할 뻔하였다. 결국 정해진 랩 수를 채우지 못하고 경기 제한 시간인 2시간을 다 채운 뒤에야 체커기가 떴고, 미하엘 슈마허가 우승, 바리첼로가 2위, 어바인이 3위를 차지하였다.

3.6. 6전 스페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6.525우승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30:35.896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16.791 (+0.266s)2위올리비에 파니스 (프로스트)+ 5.804s
P3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521 (+0.996s)3위장 알레시 (베네통)+ 12.534s

패스티스트랩지안카를로 피지켈라 (조던)1:22.242 (Lap 20)

3.7. 7전 캐나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8.095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40.646
P2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8.108 (+0.013s)2위장 알레시 (베네통)+ 2.565s
P3루벤스 바리첼로 (스튜어트)1:18.388 (+0.293s)3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조던)+ 3.219s

패스티스트랩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9.635 (Lap 37)

지안카를로 피지켈라가 F1 데뷔 2년만에 첫 포디움에 올랐다.

3.8. 8전 프랑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548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8:50.492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14.749 (+0.201s)2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 23.537s
P3랄프 슈마허 (조던)1:14.755 (+0.207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1:14.801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7.910 (Lap 37)

3.9. 9전 영국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1.598우승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8:01.665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21.732 (+0.134s)2위장 알레시 (베네통)+ 10.205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21.797 (+0.199s)3위알렉산더 우르츠 (베네통)+ 11.296s

패스티스트랩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4.475 (Lap 34)

알렉산더 우르츠가 이 경기에서 F1 데뷔 첫 포디움에 올랐다.

3.10. 10전 독일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41.873우승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20:59.046
P2지안카를로 피지켈라 (조던)1:41.896 (+0.023s)2위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17.527s
P3미카 해키넨 (맥라렌)1:42.034 (+0.161s)3위미카 해키넨 (맥라렌)+ 24.770s

패스티스트랩게르하르트 베르거 (베네통)1:45.747 (Lap 9)

게르하르트 베르거가 이 경기에서 본인의 커리어 마지막 우승을 차지하였다.

3.11. 11전 헝가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14.672우승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45:47.149
P2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4.859 (+0.187s)2위데이먼 힐 (애로우즈)+ 9.079s
P3데이먼 힐 (애로우즈)1:15.044 (+0.372s)3위조니 허버트 (자우버)+ 20.445s

패스티스트랩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18.372 (Lap 25)

데이먼 힐의 마술쇼, 팀을 창단 역사상 마지막 포디움에 올려놓다

데이먼 힐이 예선부터 무서운 페이스를 과시하며 3위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사실 애로우즈 팀은 지난 1977 시즌부터 출전한 역사깊은 팀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창단 이래 우승은 전무한 팀이었고, 이번 시즌에도 무관은 이어지고 있었다. 설상가상, 이번 시즌에는 개막전부터 107% 기록에 걸려 레이스 출전을 못 할 뻔할 정도로 심각한 페이스를 보이고 있었다.

디펜딩 챔피언 데이먼 힐은 이번 경기에서 팀의 무관을 깨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였고, 레이스 초반, 미하엘 슈마허를 추월하며 선두로 올라섰다. 힐의 질주는 레이스 후반까지 계속되었고, 이대로 애로우즈 그랑프리 창단 역사상 첫 우승을 일궈 내는 듯 보였다.

하지만 레이스 종료까지 3랩 남은 74랩 째에, 데이먼 힐의 차량의 유압 펌프에 문제가 발생하여 기어가 3단에 고정되어 버렸다. 2위 자크 빌르너브와의 차이는 1분 가량이었고, 힐은 이 간격을 극복하기 위해 한계치를 쏟아부었으나 마지막 랩에 빌르너브에게 추월을 허용하며 애로우즈 팀의 창단 첫 우승은 그렇게 날라가고 말았다. 그럼에도, 팀 역사상 마지막 포디움에 오른 그의 노력은 F1의 역사에서 잊혀지지 않는 장면 중 하나였다.

3.12. 12전 벨기에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49.450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3:46.717
P2장 알레시 (베네통)1:49.759 (+0.309s)2위지안카를로 피지켈라 (조던)+ 26.753s
P3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50.293 (+0.843s)3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 32.147s

패스티스트랩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52.692 (Lap 43)

3.13. 13전 이탈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장 알레시 (베네통)1:22.990우승데이빗 쿨싸드 (맥라렌)1:17:04.609
P2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23.042 (+0.052s)2위장 알레시 (베네통)+ 1.937s
P3지안카를로 피지켈라 (조던)1:23.066 (+0.076s)3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 4.343s

패스티스트랩미카 해키넨 (맥라렌)1:24.808 (Lap 49)

3.14. 14전 오스트리아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0.304우승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7:35.999
P2미카 해키넨 (맥라렌)1:10.398 (+0.094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2.909s
P3야르노 트룰리 (프로스트)1:10.511 (+0.207s)3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 3.962s

패스티스트랩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1.814 (Lap 36)

3.15. 15전 룩셈부르크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미카 해키넨 (맥라렌)1:16.602우승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31:27.843
P2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16.691 (+0.089s)2위장 알레시 (베네통)+ 11.770s
P3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16.741 (+0.139s)3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 13.480s

패스티스트랩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18.805 (Lap 32)

안타깝게도자크 빌르너브가 본인의 F1 마지막 우승을 이 경기에서 기록하였다.

3.16. 16전 일본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36.071우승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9:48.446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36.133 (+0.062s)2위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 1.378s
P3에디 어바인 (페라리)1:36.466 (+0.395s)3위에디 어바인 (페라리)+ 26.384s

패스티스트랩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38.942 (Lap 48)

3.17. 17전 유럽(헤레스) GP[편집]


예선레이스
순위드라이버기록순위드라이버기록
P1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1:21.072우승미카 해키넨 (맥라렌)1:38:57.771
P2미하엘 슈마허 (페라리)1:21.072 (+0.000s)2위데이빗 쿨싸드 (맥라렌)+ 1.654s
P3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21.072 (+0.000s)3위자크 빌르너브 (윌리엄스)+ 1.803s

패스티스트랩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윌리엄스)1:23.135 (Lap 30)

데뷔 2년만에 정상에 오르다, 자크 빌르너브

이 경기 직전까지, 챔피언십 포인트는 미하엘 슈마허가 78점으로 1위, 자크 빌르너브가 77점으로 1점차 2위를 달리고 있었다. 이번 경기에서 슈마허가 챔피언을 따내려면 빌르너브보다 앞서 완주해야 했고, 빌르너브가 챔피언을 획득하려면 슈마허보다 앞서 완주해야 했다.[4]

예선전에 아주 흥미로운 기록이 나왔다. 1위 자크 빌르너브와 2위 미하엘 슈마허, 3위 하인츠하랄트 프렌첸의 차이가 모두 소수점 세자리까지 같았다는 것이다. 1950년 F1 출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며, 폴포지션과 2위와의 차이가 가장 작았던 경기로 기록되었다. 아울러, 이 경기는 빌르너브의 마지막 폴포지션이었으며, 캐나다인의 폴포지션은 2020년 랜스 스트롤이 터키에서 폴포지션을 기록하기 전까지 나오지 않았다.

레이스는 슈마허의 쾌조의 스타트로 시작되었다. 초반 레이스 페이스가 매우 좋았던 슈마허는 빌르너브와의 격차를 벌려놓았고, 첫 번째 피트스톱을 가져가기 전까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선두를 유지하였다. 22랩 째에 슈마허가 피트인하였고, 빌르너브 역시 첫 번째 피트스톱을 가져갔다. 2번째 스틴트에서 레이스 페이스가 좋았던 선수는 빌르너브였다. 빌르너브는 슈마허와의 간격을 매섭게 좁혀나갔고 47랩 째에, 이윽고 추월을 시도한다. 여기서 슈마허는 본인의 커리어 최대의 흑역사를 만들고 만다.

슈마허는 타이틀 획득을 위해선 빌르너브를 자신의 뒤로 완주하도록 막아야 했고, 이 때문에 빌르너브를 무리해서라도 디펜스를 시도한다. 하지만 지극히 무리한 시도였고, 빌르너브의 왼쪽 타이어를 들이받고 트랙 바깥의 그래블로 빠지고 만다. 차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그대로 리타이어. 슈마허 입장에서는 빌르너브가 리타이어 하길 바래야 할 상황이 되었다. 빌르너브는 이후 페이스가 축 처지기 시작하며 마지막 랩에는 맥라렌 듀오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었다. 이를 버티지 못하고, 마지막 시케인에서 해키넨에게 추월을 허용하고, 마지막 코너에서는 쿨싸드에게 자리를 내주어 3위로 피니쉬를 한다. 해키넨은 이 경기로 F1 데뷔 6년만에 우승을 기록하였다. 그럼에도 빌르너브는 웃을 수 있었다. 그가 1997시즌 월드 챔피언 자리에 올랐기 때문이다. 1950년 F1 출범 이후 데뷔 후 가장 짧은 기간 안에 정상에 오른 선수로 기록되었으며, 이 기록은 2008년 루이스 해밀턴이 달성하기 전까지 전무후무한 기록으로 남았다.

미하엘 슈마허는 이 경기 리타이어로 빌르너브에게 챔피언 자리를 헌납한 데에 이어, 스튜어트로부터 비신사적 행위가 인정되어 시즌 실격 징계를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프렌첸이 최종 성적 2위, 쿨싸드가 3위로 올라섰다. 이 경기는 미하엘 슈마허의 커리어 역사상 가장 큰 흑역사로 기록되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아울러 이 시즌은 윌리엄스 레이싱의 마지막 컨스트럭터 챔피언 타이틀이며, 현재까지 윌리엄스는 정상을 밟지 못하고 있다.

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4.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Jacques Villeneuve 1997 champion.jpg
1997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자크 빌르너브

WORLD DRIVER CHAMPIONSHIP
1자크 빌르너브파일:캐나다 국기.svg윌리엄스81WDC
2하인츠하랄트 프렌첸파일:독일 국기.svg윌리엄스42
3데이빗 쿨싸드파일:영국 국기.svg맥라렌36
4장 알레시파일:프랑스 국기.svg베네통36
5게르하르트 베르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베네통27감기 몸살, 부친상으로 7R~9R 결장
6미카 하키넨파일:핀란드 국기.svg맥라렌27
7에디 어바인파일:영국 국기.svg페라리24
8지안카를로 피지켈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조던20
9올리비에 파니스파일:프랑스 국기.svg프로스트16부상으로 8R~14R 결장[5][6]
10조니 허버트파일:영국 국기.svg자우버15
11랄프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조던13
12데이먼 힐파일:영국 국기.svg애로우즈7
13루벤스 바리첼로파일:브라질 국기.svg스튜어트6
14알렉산더 우르츠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베네통4베르거를 대신하여 7R~9R 출전
15야르노 트룰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프로스트3미나르디 소속 - 1R~7R 출전
프로스트 소속 - 8R~14R 출전[7]
16미카 살로파일:핀란드 국기.svg티렐2
17페드로 디니즈파일:브라질 국기.svg애로우즈2
18나카노 신지파일:일본 국기.svg프로스트2
19니콜라 라리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자우버11R~5R 출전[8]
-얀 마그누센파일:덴마크 국기.svg스튜어트0
-요스 베르스타펜파일:네덜란드 국기.svg티렐0
-지안니 모비델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자우버0방출된 라리니를 대체하여 6R~7R[9], 11R~16R 출전[10]
-노베르토 폰타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자우버0부상으로 결장한 모비델리를 대신하여 8R~10R, 17R 출전
-카타야마 우쿄파일:일본 국기.svg미나르디0
-타소 마르케스파일:브라질 국기.svg미나르디0프로스트로 이적한 트룰리를 대신하여 8R~17R 출전
-빈센조 소스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롤라01R 출전[11]
-리카도 로셋파일:브라질 국기.svg롤라01R 출전[12]
DSQ[13]미하엘 슈마허파일:독일 국기.svg페라리0[14]

4.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Williams f1 1997.jpg
1997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로스만스 윌리엄스 르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0:42:11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97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7년만에 팀 이름을 '풋워크'에서 '애로우즈'로 바꾸었다.[2] 알랭 프로스트가 리지에를 인수하여 F1에 참전하게 되었다. 이로써 리지에는 약 20여년의 출전 기록을 남기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3] 재키 스튜어트가 창단한 신생팀이다.[4] 점수가 동률일 경우 우승 수가 많은 자크 빌르너브가 챔피언.[5] (54초부터) 7R(캐나다 GP)에서 5번 코너를 돌던 중 차가 컨트롤을 잃으며 왼쪽 타이어월을 빠른 속도로 들이받아 다리 골절 부상을 당했다.[6] 그의 빈자리는 미나르디에서 뛰고 있던 야르노 트룰리가 대신하였다.[7] 파니스를 대신하여 출전[8] 이후 팀으로부터 방출됨.[9] 그런데 8R(프랑스 GP)를 앞두고, 테스트 도중 사고로 팔 부상을 입어 8R~10R를 결장하게 되었다.[10] 마찬가지로 17R(일본 GP) 최종전을 앞두고 테스트 도중 부상으로 8R~10R를 결장하게 되었다. 운도 없다[11] 팀이 개막전 이후 철수[12] 소스피리와 동일한 사유[13] 실격[14] 실격 전 78점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