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1952시즌

덤프버전 :



[1950년대]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1960년대]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년대]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년대]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년대]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년대]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년대]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년대]




1. 1952년 그랑프리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
3. 1952 시즌 라인업
4. 경기 일정
5. 규정 변경
6. 시즌 상세
6.1. 1R: 1952 스위스 그랑프리 (스위스 GP)
6.1.1. 퀄리파잉
6.1.2. 레이스
6.2. 2R: 1952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 500)
6.2.1. 퀄리파잉
6.2.2. 레이스
6.3. 3R: 1952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
6.3.1. 퀄리파잉
6.3.2. 레이스
6.4. 4R: 1952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
6.4.1. 퀄리파잉
6.4.2. 레이스
6.5. 5R: 1952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
6.5.1. 퀄리파잉
6.5.2. 레이스
6.6. 6R: 1952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
6.6.1. 퀄리파잉
6.6.2. 레이스
6.7. 7R: 1952 네덜란드 그랑프리 (네덜란드 GP)
6.7.1. 퀄리파잉
6.7.2. 레이스
6.8. 8R: 1952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
6.8.1. 퀄리파잉
6.8.2. 레이스
7.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1. 1952년 그랑프리[편집]


1952년 포뮬러 원 시즌은 3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5월 18일 스위스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9월 7일 이탈리아 그랑프리까지 총 8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던롭, 파이어스톤, 피렐리, 잉글버트가 타이어를 공급했다.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주세페 파리나가 2위, 피에로 타루피가 3위를 차지했다.

이 때 아스카리는 경쟁 상대인 알파 로메오 팀과 판지오가 없어진 상태에서 가장 압도적인 모습으로 챔피언 자리를 딴다.


2.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편집]


지난 시즌까지 최강의 팀 자리를 지켜온 알파 로메오는 팀의 최고 디자이너인 지오아치노 콜롬보와 함께 알파 로메오 Tipo 160을 선보여 최강자 자리를 지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팀의 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시즌 전에 본사인 알파 로메오의 재정 상황이 매우 악화되었고, 이는 Tipo 160에 필요한 개발 비용이 지나치게 모자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팀의 일원들은 이러한 재정 상황으로 시즌을 참가할 시 페라리에게 최강자 자리를 내주는 것은 확실하다고 판단하였고, 결국 지난 시즌을 끝으로 F1을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부터 그랑프리 레이스의 최강자 자리를 꿋꿋이 지켜온 알파 로메오가 그랑프리-F1을 떠나게 된 것이다.

또한, 프랑스 팀인 탈보-라고 역시 F1 참가를 철회하는 것을 결정하였고,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후안 마누엘 판지오는 팀의 갑작스런 탈퇴에 따라 소속팀을 잃었고, 지난 시즌 차량 문제로 시즌을 얼마 출전하지 못한 영국의 신생팀 BRM이 손을 내밀었으나 거절하였다. 재능있는 유망주 스털링 모스 역시 BRM의 오퍼를 거절하였고, 결국 BRM은 이번 시즌 F1에 출전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안 좋은 소식들이 이어지며 F1은 3번째 시즌임에도 월드 챔피언십 존속에 위협을 느꼈다. CSI는 F1의 매뉴팩쳐러 팀들이 지나치게 적다고 판단하여 이번 시즌과 다음 시즌을 팀들이 F2 차량을 운영하여 참가대수를 채울 것을 지시하였고, 결국 당해 시즌과 다음 시즌은 F2 출전 선수도 월드 챔피언십 순위에 등재되었다.[1] 그러나 이 덕분에 유일하게나마 긍정적인 소식은 마세라티 팀이 이러한 규정 변경에 다시 F1에 대한 관심을 재점화하여 출전하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주세페 파리나는 알파 로메오의 탈퇴에 따라 F1 출범 이전 그랑프리 시절에 활약했던 스쿠데리아 페라리 팀으로 복귀하는 것을 발표하였다. 비록 두 베테랑인 알베르토 아스카리와 루이지 빌로레시, 그리고 기대주 피에로 타루피 등과 경쟁하게 되었지만 말이다. 이번 시즌도 마찬가지로 그는 인디 500을 제외한 전경기에 다시한번 출전하기로 하였다. 팀의 리더 드라이버였던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인디 500에 출전하기 위해 일찍이 미국으로 출국하며 개막전인 스위스 GP는 불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F1의 존속 자체의 위기 속에서도, 1952시즌은 스위스의 브렘가르텐 서킷에서 개막을 맞이하였다.


3. 1952 시즌 라인업[편집]


#

컨스트럭터
팀 국적
섀시
(엔진)
타이어
드라이버
출전 라운드
국적
이름
1
파일:AFM F1 logo.png
AFM
AFM-쾨셴
파일:독일 국기.svg
AFM
(Küchen 2.0 V8)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독일 국기.svg
한스 슈투크
1
2
토니 울멘
베리타스
파일:독일 국기.svg
Meteor
(Veritas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독일 국기.svg
토니 울멘
1, 6
3
파일:Gordini Logo.png
에퀴페 고디니
고디니
파일:프랑스 국기.svg
16
16S
15
(Gordini 20 2.0 L6)
(Gordini 1500 1.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베라
1, 3-4, 6-8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버트 만존
1, 3-8
파일:태국 국기.svg
비라봉세 바누데흐
1, 3-5
파일:벨기에 국기.svg
조니 클라에스
3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리스 트린티냥
4-8
4
에큐리에 로지에
페라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500
166/F2
(Ferrari 500 2.0 L4)
(Ferrari 166 2.0 V12)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이 로지에
1, 3-4, 8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리스 트린티냥
1
5
파일:HWM logo.png
HW 모터스
HWM-알타
파일:영국 국기.svg
52
51/52
(Alta F2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조지 아베카시스
1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콜린스
1, 3-6, 8
파일:영국 국기.svg
랜스 맥클린
1, 3-5, 7-8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1
파일:벨기에 국기.svg
폴 프레레
3, 6
파일:벨기에 국기.svg
로저 로렌트
3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브 지로 카반투
4
파일:영국 국기.svg
던컨 해밀턴
5, 7
파일:벨기에 국기.svg
조니 클라에스
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드리스 판 데르 로프
7
6
스쿠데리아 프라네라
프레이저-나쉬-브리스톨
파일:영국 국기.svg
FN48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켄 와튼
1, 3, 7-8
7
에큐리에 리치몬드
쿠퍼-브리스톨
파일:영국 국기.svg
T20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에릭 브랜든
1, 3, 5, 8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브라운
8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00
375S*
(Ferrari 500 2.0 L4)
(Ferrari 375 4.5 V12*)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주세페 파리나
1, 3-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로 타루피
1, 3-6, 8
파일:Firestone logo.png
파이어스톤
파일:프랑스 국기.svg
안드레 시몬
1,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베르토 아스카리
2-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이지 빌로레시
7-8
9
파일:Scuderia plate f1 logo.png
엔리코 플레이트
마세라티-플레이트
파일:스위스 국기.svg
4CLT/48
(Platé 2.0 L4)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스위스 국기.svg
투올로 드 그라펜리드
1, 4-5, 8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 쉘
1, 4-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알베르토 크레스포
8
10
에큐리에 에스퍼든
페라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500
212
(Ferrari 500 2.0 L4)
(Ferrari 166 2.0 V12)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스위스 국기.svg
루디 피셔
1, 4-6, 8
파일:스위스 국기.svg
피터 허트
1, 4-5
파일:스위스 국기.svg
루돌프 슈엘러
6
파일:독일 국기.svg
한스 슈투크
8
11
알프레드 대트너
심카-고디니
파일:스위스 국기.svg
11
(Gordini 1500 1.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스위스 국기.svg
막스 드 테라
1
12
레슬리 D. 호손
쿠퍼-브리스톨
파일:영국 국기.svg
T20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호손
3, 5, 7-8
13
파일:ERA_Logo.png
잉글리시 레이싱 오토모빌스 Ltd
ERA-브리스톨
파일:영국 국기.svg
G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3, 5, 7
14
파일:Ecurie_Francorchamps_Logo.jpg
에큐리에 프랑코샹
페라리
파일:벨기에 국기.svg
500
(Ferrari 500 2.0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벨기에 국기.svg
샤를 드 토네이코
3, 7-8
파일:벨기에 국기.svg
로저 로랑
6
15
아서 레것
베리타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Meteor
(Veritas 2.0 L6)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벨기에 국기.svg
아서 레것
3
16
로빈 몽고메리에 채링턴
애스턴-버터워스
파일:영국 국기.svg
NB42
(Butterworth 2.0 F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로빈 몽고메리에 채링턴
3
17
토니 게이즈
HWM-알타
파일:호주 국기.svg
52
(Alta F2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호주 국기.svg
토니 게이즈
3, 5-6, 8
18
로버트 오브리엔
심카-고디니
파일:미국 국기.svg
15
(Gordini 1500 1.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오브리엔
3
19
피터 화이트헤드
알타
페라리
파일:영국 국기.svg
F2
125/F2
(Alta F2 2.0 L4)
(Ferrari 166 2.0 V12)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화이트헤드
4-5, 8
파일:영국 국기.svg
그레이엄 화이트헤드
5
20
에스쿠데리아 반데이란츠
마세라티
파일:브라질 국기.svg
A6GCM
(Maserati A6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프랑스 국기.svg
필립 에탄셀린
4
파일:브라질 국기.svg
지노 비앙코
5-8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아이텔 칸토니
5-6, 8
파일:브라질 국기.svg
치코 랜디
7-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얀 플린터만
7
21
에큐리에 벨즈
심카-고디니
파일:벨기에 국기.svg
15
(Gordini 1500 1.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벨기에 국기.svg
조니 클라에스
4-5
파일:벨기에 국기.svg
폴 프레레
7
22
파일:marzotto-logo.jpg
스쿠데리아 마르조토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66/F2
(Ferrari 166 2.0 V12)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랑코 코모티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로 카리니
4, 6
23
아치에 브라이드
AHM 브라이드
쿠퍼-브리스톨
파일:영국 국기.svg
T20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호손
4
파일:영국 국기.svg
레그 파넬
5
24
W.S. 애스턴
애스턴-버터워스
파일:영국 국기.svg
NB41
(Butterworth 2.0 F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빌 애스턴
5-6, 8
25
파일:Connaught_Logo.png
코너트 엔지니어링
코너트-레아 프란시스
파일:영국 국기.svg
A
(Lea Francis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케네스 맥알핀
5, 8
파일:영국 국기.svg
켄 다우닝
5
파일:영국 국기.svg
에릭 톰슨
파일:영국 국기.svg
데니스 푸어
5, 8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8
26
파일:Ecurie_Ecosse_Logo.png
에큐리에 에코세
쿠퍼-브리스톨
파일:영국 국기.svg
T20
(Bristol BS1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머레이
5
27
G. 카프라라
페라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00
(Ferrari 500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로이 살바도리
5
28
토니 크룩
프레이저-나쉬-BMW
파일:영국 국기.svg
421
(BMW 328 2.0 L6)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크룩
5
29
마르셀 발사
발사-BMW
파일:프랑스 국기.svg
Spécial
(BMW 328 2.0 L6)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발사
6
30
프리츠 리스
베리타스
파일:독일 국기.svg
RS
(Veritas 2.0 L6)
?
파일:독일 국기.svg
프리츠 리스
6
31
테오 헬프리치
베리타스
파일:독일 국기.svg
RS
(Veritas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테오 헬프리치
6
32
윌리 힉스
AFM-BMW
파일:독일 국기.svg
8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윌리 힉스
6
33
헬무트 니더마이어
AFM-BMW
파일:독일 국기.svg
8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헬무트 니더마이어
6
34
아돌프 브루데스
베리타스
파일:독일 국기.svg
RS
(Veritas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아돌프 브루데스
6
35
모터 프레세 베를라그
베리타스
파일:독일 국기.svg
Meteor
(Veritas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폴 피츠
6
36
한스 클렝크
베리타스
파일:독일 국기.svg
Meteor
(Veritas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한스 클렝크
6
37
요제프 피터스
베리타스
파일:독일 국기.svg
RS
(Veritas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요제프 피터스
6
38
베르나르드 나케
나케-BMW
파일:독일 국기.svg
Eigenbau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귄터 베켐
6
39
루드빅 피셔
AFM-BMW
파일:독일 국기.svg
8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루드윅 피셔
6
40
윌리 크라카우
AFM-BMW
파일:독일 국기.svg
6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윌리 크라카우
6
크라카우-BMW
Eigenbau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해리 메르켈
41
에른스트 클로드빅
헥-BMW
파일:독일 국기.svg
Eigenbau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에른스트 클로드빅
6
42
루돌프 크라우스
라이프-BMW
파일:독일 국기.svg
Eigenbau
(BMW 328 2.0 L6)
파일:독일 국기.svg
루돌프 크라우스
6
43
켄 다우닝
코너트-레아 프란시스
파일:영국 국기.svg
A
(Lea Francis 2.0 L4)
파일:Dunlop classic logo.jpg
파일:영국 국기.svg
켄 다우닝
7
44
파일:Maserati 2006.png
오피치네 알피에리 마세라티
마세라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6GCM
(Maserati A6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펠리스 보네토
6,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랑코 롤
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45
엘리 바욜
오스카
파일:프랑스 국기.svg
20
(OSCA 2000 2.0 L6)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프랑스 국기.svg
엘리 바욜
8
46
피에로 두시오
치시탈리아-BP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46
(BPM 2.0 L4)
파일:Pirelli 1948 logo.jp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로 두시오
8
47
비콤테세 드 발키에
심카-고디니
파일:독일 국기.svg
15
(Gordini 1500 1.5 L4)
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
파일:벨기에 국기.svg
조니 클라에스
8

4. 경기 일정[편집]


#
경기 일정
그랑프리(도시)
서킷
드라이버 우승
컨스트럭터 우승
비고
1
5/18
스위스(브렘가르텐)
브렘가르텐 서킷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2
5/30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트로이 러프맨
커즈마-오펜하우저

3
6/22
벨기에(스파-프랑코샹)
스파 프랑코샹 서킷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4
7/6
프랑스(그랑-쿠론)
루앙-레제사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5
7/19
영국(실버스톤)
실버스톤 서킷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6
8/3
독일(뉘르부르크)
뉘르부르크링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7
8/17
네덜란드(잔드보르트)
파크 잔드보르트 서킷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8
9/7
이탈리아(몬차)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5. 규정 변경[편집]


이번 시즌부터 1953 시즌까지 포뮬러 2 규정으로 운영됨에 따라 기존에 1,500cc 터보차저와 4,500cc 자연흡기 엔진은 각각 하향된 스펙으로 경기가 운영될 예정이다. 750cc의 제한이 걸린 컴프레서 엔진에 2,000cc의 제한이 걸린 자연흡기 엔진으로 운영된다. 또한, 이번 시즌부터는 충돌로부터 드라이버의 머리를 보호해줄 헬멧을 의무화한다.[2]

6. 시즌 상세[편집]



6.1. 1R: 1952 스위스 그랑프리 (스위스 GP)[편집]


페라리 팀의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인디 500 출전을 위해 개막전을 불참하는 것이 결정되면서, 페라리는 주세페 파리나와 피에로 타루피, 안드레 시몬만을 출전시키게 되었다.

6.1.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2:47.5
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2.6s
2번째
P3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4.6s
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안드레 시몬 (페라리)
+ 4.9s
4번째
P5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페라리)
+ 5.8s
5번째

많은 이들의 예상대로, 페라리가 최상위권을 독점하는 결과를 내었다. 챔피언 출신의 주세페 파리나가 개막전 폴 포지션을 차지한 가운데, 피에로 타루피가 2위를 기록하였다. 로버트 만존이 3위에 오르는 깜짝 퍼포먼스를 발휘하였으나 그 뒤로 안드레 시몬과 루디 피셔가 오르며 페라리의 강력함이 드러나는 예선이었다.

6.1.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3:01:46.1
8+1[F]
2위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페라리)
+ 2:37.2
6
3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장 베라 (고디니)
+ 1 Lap
4
4위

파일:Nothing.png

켄 와튼 (프레이저 나쉬)
+ 2 Laps
3
5위

파일:Nothing.png

앨런 브라운 (쿠퍼)
+ 3 Laps
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2:49.1 (Lap 46)


1952 스위스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시작 전 모리스 트랭티냥이 엔진 문제로 출발하지 못한 가운데, 스위스기가 흔들리며 1952 시즌의 개막을 알렸다. 폴 포지션이었던 주세페 파리나가 쾌조의 스타트와 함께 앞서나간 가운데, 장 베라가 멋진 스타트로 타루피를 제치고 3위로 잠시 올라선다. 후미에는 로버트 만존이 스타트 실수로 5위로 내려앉고, 안드레 시몬이 4위로 올라서며 오프닝랩의 선두자리를 구성하였다. 2랩 째에 접어들 무렵, 루이 로지에가 컨트롤을 잃고 사고를 일으켜 차량에서 튕겨져 나오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행히 목숨에 지장은 없는 경미한 부상으로 빠져나올 수 있었다. 4랩 째에는 베리타스와 AFM 섀시로 출전한 독일 출신의 울멘과 슈투크가 리타이어한다.

파리나가 크루징하는 사이, 2년차 스털링 모스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HWM 차량으로 포디움을 향해 맹렬히 질주하였다. 상대적으로 성능이 뛰어났던 페라리와 고디니 팀의 선수들과의 격차를 유지할 정도로 페이스를 끌어올렸고, 급기야 3위에 올랐다. 한편, 그의 팀메이트였던 조지 아베카시스와 피터 콜린스에게 문제가 생겼다. 아베카시스는 로버트 만존을 제치고 5위로 올라섰으나, 드라이버 샤프트 손상으로 스핀, 서킷 경계에 설치된 둑과 충돌하며 리타이어하였다. 떠오르는 신예 드라이버 피터 콜린스는 순항하고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드라이버 샤프트 문제로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이에 HWM의 감독인 존 헤스는 상황이 다소 심각해질 수 있음을 우려하여 24랩 째에 랜스 맥클린과 스털링 모스를 불러들여 기권하도록 하였다.

중위권의 로버트 만존도 라디에이터 문제로 리타이어한 사이, 레이스 리더인 파리나가 마그네토 문제로 리타이어하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이 때문에 피에로 타루피는 여유롭게 선두에 올랐고, 뒤따르는 장 베라와 안드레 시몬이 포디움권을 형성하였다. 장 베라가 피트에 들어온 사이, 주세페 파리나는 안드레 시몬과 교체하여 2위로 다시 트랙에 복귀하였다. 홈그랑프리를 맞이한 루디 피셔도 베라를 제치고 3위로 들어서며 페라리 차량들이 모두 포디움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파리나는 또다시 마그네토 문제로 차량을 세워야했고 확정적으로 그랑프리를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지난 시즌부터 차량 문제로만 리타이어한 비율이 80% 이상

이후에는 큰 변화 없이 피에로 타루피가 3시간 만에 가장 먼저 체커기를 받으며 개막전의 우승자가 되었고, 뒤를 이어 페라리 차량으로 출전한 루디 피셔, 그리고 장 베라가 들어오며 포디움을 구성하였다. 브리스톨 엔진을 장착한 두 명의 영국인 켄 와튼과 앨런 브라운이 수 분 뒤에 들어오며 감격적인 포인트 피니쉬를 이루었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9
2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파일:스위스 국기.svg
페라리
6
3

파일:Gordini white logo.png

장 베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고디니
4
4

파일:Nothing.png

켄 와튼
파일:영국 국기.svg
프레이저 나쉬
3
5

파일:Nothing.png

앨런 브라운
파일:영국 국기.svg
쿠퍼
2

6.2. 2R: 1952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 500)[편집]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이번 시즌 인디 500에 엔트리 등록을 하며 인디 500 역사상 첫 미국 외부에서 활동하는 F1 드라이버의 출전이 기록되었다.

6.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커민스 디젤 1952 로고.png

프레드 아가바시안 (커티스 크래프트)
4:20.85
1번째
P2

파일:Kurtis Kraft logo.png

앤디 린든 (커티스 크래프트)
+ 1.92s
2번째
P3

파일:Nothing.png

잭 맥그라스 (커티스 크래프트)
+ 2.57s
3번째
P4

파일:Nothing.png

듀크 네일런 (커티스 크래프트)
+ 3.49s
4번째
P5

파일:Nothing.png

샘 행크스 (커티스 크래프트)
+ 4.37s
5번째

프레드 아가바시안이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고, 그 뒤로 앤디 린든과 잭 맥그라스가 2위, 3위를 차지하였다. 올시즌 첫 출전을 기록한 아스카리는 페라리 375를 타고 19위에 올랐다.

6.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Nothing.png

트로이 루트만 (커즈마)
3:52:41.88
8
2위

파일:Nothing.png

짐 라스만 (커티스 크래프트)
+ 4:02.33
6
3위

파일:Nothing.png

샘 행크스 (커티스 크래프트)
+ 6:11.61
4
4위

파일:Nothing.png

두안 카터 (레소브스키)
+ 6:48.34
3
5위

파일:Nothing.png

아트 크로스 (커티스 크래프트)
+ 8:40.15
2

패스티스트 랩

파일:Nothing.png

빌 부코비치 (커티스 크래프트)
1:07.26 (Lap 23)[F]


1952 인디 500 하이라이트

1952 F1 2R 인디 500은 트로이 루트만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루트만은 이 우승으로 F1 최연소 우승 기록을 작성하였는데, 당시 그의 나이 22세 80일로 그의 최연소 우승 기록은 2003년 헝가리 GP에서 페르난도 알론소가 경신하는 51년동안 깨지지 않았다. 알베르토 아스카리는 40랩 째에 휠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최종순위 31위를 기록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9
2

파일:Nothing.png

트로이 루트만
파일:미국 국기.svg
커즈마
8
3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파일:스위스 국기.svg
페라리
6
4

파일:Nothing.png

짐 라스만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크래프트
6
5

파일:Gordini white logo.png

장 베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고디니
4

6.3. 3R: 1952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편집]


벨기에 GP가 열리기 전, 두 명의 드라이버에게 큰 일이 닥쳤다. 후안 마누엘 판지오마세라티의 올 시즌 차량인 A6GCM을 몰고 논-챔피언십(Non-championship) 레이스인 몬차 그랑프리에서 목 골절을 당하였다. 올 시즌 경기출전을 통해 챔피언 타이틀을 또 다시 사수하고자 하였지만, 심각한 목 부상으로 인해 시즌아웃을 당하였고, 이로 인해 챔피언 타이틀은 주세페 파리나알베르토 아스카리, 피에로 타루피 등이 경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 다른 비보도 전해졌다. 이탈리아의 베테랑 드라이버였던 루이지 파지올리가 모나코 투어링카 레이스 대회에서의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결국 벨기에 GP 이틀 전에 향년 54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고 말았다.

이러한 어수선한 상황 속에서 벨기에 GP가 다가왔다.

6.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4:37
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3s
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9s
3번째
P4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15s
4번째
P5

파일:Gordini white logo.png

장 베라 (고디니)
+ 19s
5번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세션 내내 압도적인 페이스를 선보이며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파리나와 타루피는 아스카리에 수초 가량 뒤졌지만 프론트 로우를 사수하였고, 압도적인 페라리 트리오의 뒤로는 고디니 소속의 두 드라이버가 위치하였다.

한편 6위는 영국 출신의 20대 신인 드라이버인 마이크 호손이 차지하였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뒤쳐지는 쿠퍼 섀시로 차를 휘어잡으며 스파 서킷을 누볐고, 팀메이트인 앨런 브라운에 무려 9초나 앞선 결과를 내고말았다. 프레이저 나쉬 섀시로 출전한 켄 와튼은 호손에 3초 뒤진 7위를 마크하였고, HWM 섀시로 홈그랑프리르 맞이한 폴 프레레가 8위를 마크하였다.

6.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3:03:46.3
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1:55.2
6
3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4:28.4
4
4위

파일:Nothing.png

마이크 호손 (쿠퍼)
+ 1 Lap
3
5위

파일:HWM logo.png

폴 프레레 (HWM)
+ 2 Laps
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4:54.0 (Lap 2)


1952 벨기에 GP 하이라이트

레이스는 악천후 속에서 시작되었다. 스타트 직후, 피에로 타루피가 스타트 보깅으로 9위까지 순위가 하락하였고, 이때 타루피를 피하려던 로버트 만존도 같이 손해를 보며 둘은 순위를 잠시 대량으로 잃었다. 이에 반해 장 베라가 완벽한 스타트를 선보이며 오프닝 랩을 리드하게 되었고, 스털링 모스도 좋은 스타트를 선보이며 5위까지 올라섰으나 오프닝 랩을 돌기도 전에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하였다.

베라가 깜짝 리드를 잡았지만 그리 오래 가지는 못했다. 비가 갑작스레 더욱 쏟아지기 시작하였고, 2랩 째에 라 소스 코너를 탈출하는 과정에서 컨트롤을 잃고 스핀하여 아스카리-파리나 듀오의 뒤로 들어오며 순위를 잃었다. 이외에도 레이스 초반엔 차량의 기술적 문제와 스핀쇼가 다반이었다. 피터 콜린스가 타루피와의 충돌로 리타이어, 로지에의 트랜스미션 문제로 인한 리타이어, 켄 와튼의 큰 사고로 인한 리타이어[3]가 이어졌다.

13랩 째에 상위권에서 큰 사고가 발생하였다. 3위권을 경쟁하던 피에로 타루피와 장 베라가 치열한 공방을 벌이다가 타루피가 말메디 코너에서 스핀하고 말았고, 뒤따르던 베라가 피하지 못하고 그의 차와 충돌하며 두 명은 레이스를 일찍 끝마치게 되었다. 이외에는 큰 이변이 없었다.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큰 격차로 뒤따르는 주세페 파리나를 따돌리고 여유롭게 시즌 첫 우승을 차지하였고, 주세페 파리나와 로버트 만존이 각각 2-3위를 차지하였다. 4위는 기대되는 유망주인 마이크 호손이 차지하며 데뷔 첫 포인트를 쟁취하였고, 홈그랑프리를 위해 출전한 폴 프레레도 5위로 들어서며 포인트를 얻었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9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9
3

파일:Nothing.png

트로이 루트만
파일:미국 국기.svg
커즈마
8
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6
5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파일:스위스 국기.svg
페라리
6

6.4. 4R: 1952 프랑스 그랑프리 (프랑스 GP)[편집]


시즌 전 프랑스 그랑프리 개최를 위해 기존에 사용했던 랭스-괴 서킷을 이번 시즌에 그랑프리 캘린더에 삽입하지 않고 새로운 서킷인 루앙-레제사르트 서킷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대적인 지금과는 딴판이지만 안전구역이 따로 마련된 피트가 신설된 점이 이 서킷의 가장 큰 특징이었다.

6.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14.8
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1.4s
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2.3s
3번째
P4

파일:Gordini white logo.png

장 베라 (고디니)
+ 4.5s
4번째
P5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5.6s
5번째

시즌 내내 초강세를 보인 페라리 트리오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였다. 그리고 홈그랑프리를 맞이한 고디니 팀은 베라와 만존이 4, 5위를 차지하며 레이스에서의 포디움 가능성을 맛보게 되었다.

6.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3:02:46.6
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1 Lap
6
3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2 Laps
4
4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3 Laps
3
5위

파일:Nothing.png

모리스 트린티냥 (심카-고디니)
+ 5 Laps
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17.3 (Lap 28)


1952 프랑스 GP 하이라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훌륭한 스타트와 함께 레이스 내내 한 번도 리드를 빼앗기지 않으며 2연승을 질주하였다. 또한 패스티스트 랩까지 기록하며 아스카리는 벌써부터 챔피언십 타이틀 확보에 매우 가까워졌다. 2위와 3위는 그의 팀메이트인 파리나와 타루피가 차지하였다. 타루피의 경우 로버트 만존과 장 베라의 완벽한 스타트로 인해 순위를 잠시 잃었으나, 차의 페이스와 침착함을 유지함으로써 3위를 되찾아오는 것에 성공하였다.

장 베라는 오프닝 랩 이후 4위까지 올라섰으나, 3랩 째에 충돌로 인해 피트에서 오랜 시간을 머물렀고, 남은 레이스동안 수많은 추월을 하였으나 7위로 들어서며 홈에서 포인트를 얻지 못하였다. 팀메이트 로버트 만존이 4위에 오르며 챔피언십 포인트를 더욱 올렸고, 개인 출전을 한 모리스 트린티냥이 5위로 들어서며 F1 출범 이후 첫 포인트 수확에 성공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18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13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12
4

파일:Nothing.png

트로이 루트만
파일:미국 국기.svg
커즈마
8
5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파일:프랑스 국기.svg
고디니
7

6.5. 5R: 1952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편집]


지난 두 시즌과 달리, 영국의 실버스톤 서킷에 변화가 일어났다. 기존의 첫 번째 코너인 우드코드(Woodcote) 코너를 지난 스트레이트 쪽으로 스타트/피니쉬 라인을 옮겼고, 해당 스트레이트 오른편에 피트를 설치하여 안전요소를 강화하였다.[4]

6.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1:50
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 0s
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3s
3번째
P4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5s
4번째
P5

파일:코너트 로고.png

켄 다우닝 (코너트)
+ 6s
5번째

이번 영국 GP에서도 페라리 트리오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였다. 주세페 파리나가 모처럼 폴 포지션을 잡았으며, 그의 뒤로 근소한 차이를 보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2위를 차지하였고, 피에로 타루피가 3위를 이었다. 非 페라리 드라이버 중 가장 좋은 기록을 보인 로버트 만존은 타루피에 2초 뒤진 4위를 차지하였고, 홈 그랑프리를 맞이하여 출전한 켄 다우닝이 코너트 차량을 타고 5위에 오르며 놀라움을 선보였다. 쿠퍼 섀시를 사용하여 출전한 레그 파넬과 마이크 호손도 0.x초의 차이로 6-7위를 차지하며 영국 그랑프리의 열기를 더하였다.

6.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44:11
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1 Lap
6
3위

파일:Nothing.png

마이크 호손 (쿠퍼)
+ 2 Laps
4
4위

파일:코너트 로고.png

데니스 푸어 (코너트)
+ 2 Laps
3
5위

파일:코너트 로고.png

에릭 톰슨 (코너트)
+ 3 Laps
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1:52.0 (Lap 9)


1952 영국 GP 하이라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85랩까지 모든 랩을 리드하며 시즌 3연승을 질주하였다. 폴 포지션을 차지했던 주세페 파리나가 스타트 직후 아스카리에게 리더 자리를 내어주며 고전하였고, 설상가상 26랩 재에는 점화 플러그 문제로 피트에 오랫동안 머물게 되며 6위로 피니쉬, 포인트를 얻지 못하고 말았다. 3위를 차지한 피에로 타루피는 스타트 보깅으로 9위까지 추락하였지만, 지난 경기에 이어 다시 한번 좋은 페이스를 보이며 3위까지 올라오는 데에 성공하였다. 이어 파리나가 차량 문제로 사실상 경쟁에서 탈락하며 1952 영국 그랑프리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3위는 조국에서 F1 데뷔 첫 포디움을 장식한 마이크 호손의 차지였다. 7위에서 스타트 한 호손은 페라리 트리오가 앞서 나가는 사이 다른 중위권 드라이버들과 경쟁을 하였지만, 파리나의 차량 문제 등의 행운에 힘입어 2위인 타루피와 한 바퀴밖에 차이나지 않는 3위로 들어오며 단 3경기만에 F1 포디움을 달성하였다. 데니스 푸어와 에릭 톰슨이 4-5위를 기록하며 첫 포인트 피니쉬를 맛보게 되었다.

아스카리가 다시 한 번 패스티스트 랩+우승을 달성하며 27점을 획득하였고, 이 덕분에 1952 시즌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할 가능성을 매우 높여놓았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27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19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12
4

파일:Nothing.png

트로이 루트만
파일:미국 국기.svg
커즈마
8
5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파일:프랑스 국기.svg
고디니
7

6.6. 6R: 1952 독일 그랑프리 (독일 GP)[편집]


이번 GP에서 마세라티 팀이 마침내 그들의 새로운 섀시인 A6GCM과 함께 F1에 복귀한다.

6.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10:04.4
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2.9s
2번째
P3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모리스 트린티냥 (고디니)
+ 14.7s
3번째
P4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20.9s
4번째
P5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21.9s
5번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다시 한 번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챔피언 타이틀을 코앞에 두게 되었다. 이번 시즌 치열한 접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었던 파리나가 그에게 2.9초 뒤진 2위를 차지하였고, 피에로 타루피의 경우 고디니 팀의 트린티냥과 만존에 뒤쳐진 5위에서 출발하게 된다.

6.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3:06:13.3
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14.1s
6
3위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페라리)
+ 7:10.1
4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 1 Lap
3
5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장 베라 (고디니)
+ 1 Lap
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10:05.1 (Lap 5)


1952 독일 GP 하이라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이번 레이스에서도 전 랩을 리드하며 시즌 4연승을 질주, 그리고 남은 두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1952시즌 월드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16랩까지 압도적으로 리드하였고, 이후 피트인하며 파리나에게 10초 뒤진 2위로 잠시 복귀하였지만, 문제 없이 16랩 째 후반부에 그를 추월하며 손쉽게 레이스 우승을 거머쥐었다. 파리나가 14초 뒤진 준우승을 거두었고, 피에로 타루피는 서스펜션과 브레이크 문제로 레이스 막판에 고전하다 루디 피셔에게 최후반부에 3위를 빼앗기며 4위로 레이스를 마감하였다.

고디니의 로버트 만존은 타루피와 피셔의 사이인 4위에서 순항 중이었으나, 레이스 도중 휠이 빠지는 바람에 허무하게 리타이어하였고, 이로 인해 팀메이트인 장 베라가 5위로 통과하며 귀중한 2점은 베라에게 돌아갔다. 오랜만에 F1에 복귀한 마세라티 팀은 펠리스 보네토의 푸쉬 스타트 혐의로 레이스 실격을 당하며 쓴 맛을 보았다.

아스카리는 이번 레이스 우승과 챔피언 등극 확정으로 F1 역사상 가장 빨리 챔피언을 확정지은 드라이버가 되었다.[5] 이 기록은 1965년 짐 클락이 이곳 뉘르부르크링에서 8월 1일에 챔피언 타이틀을 확정짓기 전까지 13년간 이어져왔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36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22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18
4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파일:스위스 국기.svg
페라리
10
5

파일:Nothing.png

트로이 루트만
파일:미국 국기.svg
커즈마
8

6.7. 7R: 1952 네덜란드 그랑프리 (네덜란드 GP)[편집]


이번 GP에서 페라리 드라이버 라인업에 변화가 일어났다. 챔피언십 2위를 달리는 피에로 타루피가 이번 GP를 결장하고, 그 대신 1951 시즌까지 달린 루이지 빌로레시가 오랜만에 페라리 드라이버로 복귀한다.

6.7.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1:46.5
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2.1s
2번째
P3

파일:Nothing.png

마이크 호손 (쿠퍼)
+ 5.1s
3번째
P4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 5.3s
4번째
P5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모리스 트린티냥 (고디니)
+ 6.5s
5번째

챔피언을 결정지은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이번 경기에서도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파리나가 그 뒤를 이었고, 3번째 포지션은 이번 시즌 돌풍의 활약을 보이고 있는 영국 출신의 신예인 마이크 호손의 차지였다. 오랜만에 F1 경기에 돌아온 루이지 빌로레시는 차량 적응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재함을 보이며 4번째 그리드를 차지. 그리고 후미권은 고디니 소속의 드라이버들이 차지하며 레이스를 위한 그리드 구성을 완료하였다.

6.7.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53:28.5
8+1[F]
2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40.1s
6
3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 1:34.4
4
4위

파일:Nothing.png

마이크 호손 (쿠퍼)
+ 2 Laps
3
5위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로버트 만존 (고디니)
+ 3 Laps
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1:49.8 (Lap 89)


1952 네덜란드 GP 하이라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또 한번 모든 랩을 리드하며 우승을 차지하였고, 시즌 5연승을 질주하였다. 아울러, 이번 그랑프리 우승을 통해 아스카리는 라이벌이었던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기존에 세웠던 F1 최다승 기록을 갈아치우게 되었다. 3위였던 마이크 호손이 일찍이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차량의 한계에 부딪히며 페라리 트리오에게 자리를 내주었고, 그대로 안정적으로 레이스를 운영하며 4위로 완주하였다. 그 뒤로는 고디니의 로버트 만존이 들어오며 마지막 포인트를 수확하였고, 모리스 트린티냥이 6위를 차지하며 레이스는 마무리되었다. ERA 소속의 스털링 모스는 훌륭한 페이스를 선보이며 7위로 완주할 수 있었으나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다시 한번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36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24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22
4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파일:스위스 국기.svg
페라리
10
5

파일:Nothing.png

마이크 호손
파일:영국 국기.svg
쿠퍼
10

6.8. 8R: 1952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GP)[편집]


시즌 최종전을 맞이하여, 스쿠데리아 페라리 팀은 이번 그랑프리에 5명의 드라이버를 출전시키고자 하였다. 기존의 드라이버였던 아스카리와 파리나와 타루피에 안드레 시몬과 루이지 빌로레시를 추가한 것이다. 아울러, 비록 매뉴팩쳐러 소속 드라이버는 아니지만, 페라리 차량으로 출전하는 루디 피셔와 한스 슈투크, 샤를 드 토네이코와 루이 로지에, 피터 화이트헤드 등이 출전함으로써 페라리 차량이 10대가 출전할 예정이다. 마세라티는 이번 시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3대의 차량을 출전시킬 예정인데, 기존에 참가했던 펠리스 보네토를 필두로 프랑코 롤과 1년만에 F1 그리드를 밟는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가 이번 GP에 나서게 된다.

아울러, 이번 GP는 35명의 드라이버가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지만, 레이스에 참가할 수 있는 드라이버는 24명이다. 즉, 11명이 퀄리파잉에서 탈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8.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P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05.7
1번째
P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 0.9s
2번째
P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1.3s
3번째
P4

파일:Gordini white logo.png

모리스 트린티냥 (고디니)
+ 1.5s
4번째
P5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 1.9s
5번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최종전에서도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3연속 폴 포지션을 달성하였다. 빌로레시와 파리나가 그 뒤를 이으며 페라리 트리오가 프런트 로우를 또 다시 독점하였고, 모리스 트린티냥이 파리나에 불과 0.2초밖에 뒤지지 않는 놀라운 퍼포먼스를 보이며 4위, 오랜만에 복귀한 곤잘레스가 마세라티를 타고 5번째 그리드를 차지하는 성과를 보였다.

6.8.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50:45.6
8+0.5[공F]
2위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 1:01.8
6+0.5[공F]
3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 2:04.2
4
4위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 2:11.4
3
5위

파일:Maserati 2006.png

펠리스 보네토 (마세라티)
+ 1 Lap
2

패스티스트 랩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2:06.1
Lap 56

파일:Maserati 2006.pn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Lap 60


1952 이탈리아 GP 하이라이트

알베르토 아스카리가 6연승을 질주하며 화려하게 시즌을 마무리지었다. 스타트 직후 곤잘레스가 치고 나가며 레이스 초반에 1위를 빼앗겼지만, 36랩 째에 마세라티 팀이 곤잘레스의 피트스톱을 매우 느리게 처리하는 바람에 아스카리는 남은 레이스를 손쉽게 크루징하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럼에도, 아스카리가 세웠던 패스티스트 랩과 같은 기록을 내며 공동 패스티스트 랩을 달성해 준우승을 포함하여 0.5점의 추가점수를 얻는 데에 성공하였다. 또한, 아스카리의 이번 우승으로 승률은 75%를 기록함과 동시에 F1 통산 최다 승률을 기록하였다. 아스카리의 한 시즌 최다 승률은 71년 뒤 막스 베르스타펜이 경신하기까지 깨지지 않았다. 그들의 뒤를 이어 빌로레시와 파리나가 체커기를 받았고, 마세라티 소속의 펠리스 보네토가 5위로 들어오며 남은 포인트를 획득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아스카리의 독보적인 퍼포먼스가 보인 시즌이었다. 지난 시즌까지 판지오와 치열한 경쟁을 벌인 파리나가 이적함으로써 매우 치열한 챔피언십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아스카리의 페이스가 압도적이었고, 파리나는 이번 시즌 단 1승도 거두지 못한 채 최정상에 오른 아스카리를 지켜봐야만 했다. 피에로 타루피는 이 둘에 비해 빠르지 않았지만, 페라리 드라이버로서 포디움을 지속적으로 사수하는 결과를 내었고, 이 덕분에 챔피언십 성적을 3위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아울러, 페라리 팀 역시 팀내 주축 드라이버들이 1-3위를 모두 싹쓸이하는 최상의 결과를 거둠으로써 다음 시즌에서도 활약을 기대케 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1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36
2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주세페 파리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24
3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피에로 타루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22
4

파일:Nothing.png

루디 피셔
파일:스위스 국기.svg
페라리
10
5

파일:Nothing.png

마이크 호손
파일:영국 국기.svg
쿠퍼
10

7.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파일:F943B1A7-BF13-4747-BED9-75EC6B2AA1FE.jpg
1952 포뮬러 1 월드 챔피언 - 알베르토 아스카리

WORLD CHAMPIONSHIP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베르토 아스카리
페라리
36
CHAMPION - V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주세페 파리나
페라리
24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로 타루피
페라리
22

4
파일:스위스 국기.svg
루디 피셔
페라리
10

=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호손
쿠퍼
10

6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버트 만존
고디니
9

7
파일:미국 국기.svg
트로이 루트만
커즈마
8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이지 빌로레시
페라리
8

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마세라티
6.5

10
파일:미국 국기.svg
짐 라스만
커티스 크래프트
6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베라
고디니
6

12
파일:미국 국기.svg
샘 행크스
커티스 크래프트
4

13
파일:영국 국기.svg
켄 워튼
프레이저 내시
3

=
파일:미국 국기.svg
두안 카터
레소브스키
3

=
파일:영국 국기.svg
데니스 푸어
코너트
3

16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브라운
쿠퍼
2

=
파일:미국 국기.svg
아트 크로스
커티스 크래프트
2

=
파일:벨기에 국기.svg
폴 프레레
심카
2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우리스 트린티그넌트
고디니
2

=
파일:영국 국기.svg
에릭 톰슨
코너트
2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펠리스 보네토
마세라티
2

22
파일:미국 국기.svg
빌 부코비치
커티스 크래프트
1

'''포인트 미획득 드라이버
[ 펼치기 · 접기 ]
-
파일:벨기에 국기.svg
로저 로렌트
HWM
페라리
0
3R - HWM
6R - 페라리
-
파일:스위스 국기.svg
투올로 드 그라펜리에드
마세라티
0

-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콜린스
HWM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안드레 시몬
페라리
0

-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브라이언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스위스 국기.svg
피터 허트
페라리
0

-
파일:벨기에 국기.svg
샤를 드 토네이코
페라리
0

-
파일:영국 국기.svg
던컨 해밀턴
HWM
0

-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리스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영국 국기.svg
레그 파넬
쿠퍼
0

-
파일:독일 국기.svg
프리츠 리스
베리타스
0

-
파일:영국 국기.svg
랜스 맥클린
HWM
0

-
파일:영국 국기.svg
에릭 브랜든
쿠퍼
0

-
파일:브라질 국기.svg
치코 랜디
마세라티
0

-
파일:벨기에 국기.svg
조니 클라에스
고디니
심카
HWM
0
3R - 고디니
4R~5R, 8R - 심카
6R - HWM
-
파일:독일 국기.svg
토니 울멘
베리타스
0

-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코너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필립 에탄셀린
마세라티
0

-
파일:영국 국기.svg
로이 살바도리
페라리
0

-
파일:영국 국기.svg
켄 다우닝
코너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프 그리피스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독일 국기.svg
헬무트 니더마이어
AFM
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얀 플린터만
마세라티
0

-
파일:태국 국기.svg
비라 왕자
고디니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이 로시어
페라리
0

-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화이트헤드
알타
페라리
0
4R - 알타
5R, 8R - 페라리
-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파슨스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브 지로 카반투스
HWM
0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에이텔 칸토니
마세라티
0

-
파일:미국 국기.svg
잭 맥그라스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독일 국기.svg
한스 클렝크
베리타스
0

-
파일:미국 국기.svg
짐 릭스비
왓슨
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랑코 코모티
페라리
0

-
파일:영국 국기.svg
그레이엄 화이트헤드
알타
0

-
파일:독일 국기.svg
에른스트 클로드빅

0

-
파일:미국 국기.svg
조 제임스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빌 쉰들러
스티븐스
0

-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오브라이언
심카
0

-
파일:호주 국기.svg
토니 게이즈
HWM
0

-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폰더
셔맨
0

-
파일:영국 국기.svg
케네스 맥알파인
코너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에디 존슨
트레비스
0

-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 쉘
마세라티
0

-
파일:브라질 국기.svg
지노 비안코
마세라티
0

-
파일:미국 국기.svg
처크 스티븐슨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헨리 뱅크스
레소브스키
0

-
파일:미국 국기.svg
매니 아율로
레소브스키
0

-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맥도웰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크룩
프레이저 내시
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드리스 판 데르 로프
HWM
0

-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HWM
ERA
코너트
0
1R - HWM
3R, 5R, 7R - ERA
8R - 코너트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로 카리니
페라리
0

-
파일:영국 국기.svg
빌 애스턴
애스턴
0

-
파일:독일 국기.svg
한스 슈투크
AFM
페라리
0
1R - AFM
8R - 페라리
-
파일:영국 국기.svg
조지 아베카시스
HWM
0

-
파일:스위스 국기.svg
막스 드 테라
심카
0

-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이더 웹
브롬
0

-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 워드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베튼하우센
데잇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듀크 네일런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드 아가바시안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밥 스웨이커트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진 하틀리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밥 스캇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쳇 밀러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미국 국기.svg
바비 볼
스티븐스
0

-
파일:미국 국기.svg
앤디 린든
커티스 크래프트
0

-
파일:영국 국기.svg
로빈 몽고메리 샤링턴
애스턴
0

-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머레이
쿠퍼
0

-
파일:독일 국기.svg
윌 힉스
AFM
0

-
파일:독일 국기.svg
아돌프 브루데스
베리타스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발사
발사
0

-
파일:독일 국기.svg
귄터 베켐
나케
0

-
파일:독일 국기.svg
루돌프 크라우스
레이프
0

-
파일:스위스 국기.svg
루돌프 슐러
페라리
0

-
파일:독일 국기.svg
파울 피치
베리타스
0

-
파일:독일 국기.svg
테오 헬프리치
베리타스
0

-
파일:독일 국기.svg
요세프 피터스
베리타스
0

-
파일:프랑스 국기.svg
엘리 바욜
오스카
0

-
파일:독일 국기.svg
윌리 크라카우
AFM
0

-
파일:독일 국기.svg
루드윅 피셔
AFM
0

-
파일:독일 국기.svg
해리 메르켈
크라카우
0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알베르토 크레스포
마세라티
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로 두시오
치시탈리아
0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40:24에 나무위키 포뮬러 1/1952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문서와 다음 시즌의 문서에 엔트리가 유독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2] 그러나 몇몇 드라이버들이 날아오는 새나 물질에 부딪혀 사망하는 경우가 있었기에 이 헬멧들은 전혀 안전하지 않았다.[F] A B C D E F G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3] 펜스에 크게 충돌하였으나 경미한 부상만 입었다.[4] 그리고 해당 레이아웃과 시설은 1973년까지 무려 21년동안 지속되어왔다.[5] 1952년 8월 3일[공F] A B 공동 패스티스트 랩을 달성하여 1포인트의 절반인 0.5포인트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