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하남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하남시(선거구)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1. 기본 정보[편집]



1.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하남시 CI.svg 경기도 하남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하남시하남시 전역
도의원하남시1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감북동, 감일동, 위례동, 춘궁동, 초이동
하남시2덕풍1동, 덕풍2동, 덕풍3동, 풍산동
하남시3미사1동, 미사2동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하남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5석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5석, 시장 소속 정당
재적

10석



2. 지역 특성[편집]


도시가 1989년 광주군에서 분리되었으나, 인구 문제로 15대까지는 광주군과 함께 한 명의 국회의원을 뽑다가 16대부터 하남시 단독선거구를 구성한 이후로는 보수/진보 정당이 번갈아가며 당선되고 있다. 2004년 17대 총선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문학진 후보[1]가 재선을 했는데, 18대의 경우 한나라당 돌풍이 수도권에서 거세게 불었던 만큼 이때까지만 해도 문학진 후보의 평판이 좋았다. 그러나 18대 국회에서 국회의사장 회의장 문을 해머로 친 사건이 치명타가 되어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이현재 후보가 연속으로 당선되었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시장은 위와 같으며, 가장 시장직을 많이 역임한 사람은 3,5,6대 시장을 지낸 이교범 전 시장이다. 참고로 민선 5기 시장 선거 당시엔 한나라당 소속이었던 김황식 전 하남시장(아래 주민소환 사건 참조) 때문에 통합민주당이 하남에서 강세였다고 한다. 민선 5기 시장 선거 도중 당시 통합진보당 김근래 후보와의 단일화 과정에서 이면 합의가 있었다는 의혹이 나왔고, 이교범 시장은 사실이라면 시장직을 그만두겠다며 부인했다.# 하지만 이후 자신의 선거법 위반 혐의를 벗으려 허위진술을 교사한 혐의로 재판에 넘어갔고, 그린벨트 구역 관련 인허가 비리 등으로 2건의 실형을 추가로 선고받아 # 2016년 10월 대법원에서 범인도피교사 혐의의 원심이 확정되어서 시장 직을 상실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2017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오수봉 후보가 당선되었는데, 이 사람마저 산불감시원 채용에 대한 비리 의혹이 제기되면서 1년 뒤인 제7회 지방선거에서 컷오프되어 김상호 후보가 공천 및 당선되었다.

그린벨트에 묶여 오랫동안 개발제한을 받았기 때문에 하남시는 수도권 위성도시치고는 보수 성향이 강했다. 양대 진영이 강하게 붙었던 2012년 19대 총선, 제18대 대통령 선거 모두 보수 진영이 압승했다. 대선의 경우 박근혜가 54.1%를 얻어 문재인 후보의 45.6%에 비해 무려 9.5% 앞서 1위를 차지했다. 경기도 평균에 비해 무려 8% 이상 큰 차이로 보수측이 표를 더 많이 받았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남경필 도지사가 55.7%를 얻어 김진표 후보의 44.3%를 11.4%의 큰 차이로 승리했다. 새누리당이 수도권에서 대패했던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약 15%의 큰 격차로 이현재 의원이 다시 승리를 가져간데다, 비례대표에서도 새누리당 36.5%, 더불어민주당 24.4%에 그쳐 전국 평균보다 격차가 컸다. 이처럼 수도권 위성도시권에서 흔치 않게 새누리당 계열이 막강한 모습을 보여왔다.

이 구도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이후에 깨지게 된다. 박근혜 탄핵이 있은지 한 달 뒤에 열린 2017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오수봉 후보가 당선되었다. 전임인 이교범의 비리에도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당선되었음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 달 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41.4%를 확보하여 1위를 차지했다. 2위와 약 18.4%나 되는 큰 차이로 승리를 했을 뿐더러 전국 평균보다 아주 살짝 높은 득표율을 얻었는데 이는 하남시의 역대 대선에서 15년만에 두 번째로 있는 일이었다[2]. 이러한 변화에는 정국 이슈가 주요했지만, 미사강변도시 및 위례신도시의 대규모 입주로 젊은 유권자가 많아진 측면이 크다. 실제로 문재인 후보가 40%를 넘은 곳은 미사강변도시[3], 위례신도시[4], 덕풍지구[5] 등 최근 10년 이내에 개발된 곳들 뿐이었다. 기존 구도심 지역에서는 평균 37% 정도의 득표율에 그쳤고 농촌 지역인 천현동, 감북동, 춘궁동, 초이동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기존의 경향이 더욱 강화되며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 승리를 거뒀다. 하남시장 선거에 출마한 민주당의 김상호 후보는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가 이기지 못했던 감북동과 초이동에서도 승리했으며 민주당과 한국당간의 1:1대결로 치러진 기초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천현동까지 민주당이 가져오면서 사실상 춘궁동만이 유일한 보수 우세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최종윤 후보가 50%를 살짝 넘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 지역의 현역 의원이었던 이현재 미래통합당 의원이 청탁 문제로 공천에서 컷오프되어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미래통합당 후보와의 표를 합쳐도 민주당 후보에 미치지 못했다. 한편 미사지구와 위례신도시는 서로 다른 결과가 나왔는데, 미사지구는 민주당이 우세를 점한 반면 위례신도시는 보수 정당 우세의 결과가 나왔다.[6]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낙선한 이현재 전 의원이 국민의힘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다음 선거는 2024년의 22대 총선인데, 인구가 30만을 진작에 돌파하였기 때문에 갑/을로 선거구가 나뉠 것이 확정적이다. 뒤이은 2026년 제9회 지방선거에서는 도의원 선거구도 4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1. 주민소환 사건[편집]


한때 김황식 前 시장이 광역 화장장 유치를 시도하여 하남시 주민들이 반으로 나뉘어 으르렁대었다.

찬성파는 광역 화장장을 유치한다면 국고지원을 많이 받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개발(주로 지하철 연장과 화장장 관련 수입에 따른 지역개발)을 주장한 반면에, 반대파는 혐오시설인 화장장으로 인한 도시이미지 훼손우려와 광역 화장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이유로 들어 유치반대를 주장했다.

결국 양측의 주장이 팽팽하게 대립한 끝에 반대파에 의한 김황식 시장의 주민소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주민소환은 관련 법률제정 이후 최초 사례여서 전국적으로도 이슈가 되었으나 서명인원 부족으로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선관위가 불법을 저질렀다가 발각되어 하남시와 법정 다툼을 벌였고 이와 관련된 내부고발 사건도 벌어지는 등 선관위의 병크가 대대적으로 벌어진 사건이었다. 자세한 것은 내부고발 가운데 해당 항목 참고.

하지만 하남시민들은 두 번째 주민소환을 시도했고 결국 사상 최초의 주민소환투표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2007년 12월 12일 시행된 하남시장의 주민소환은 투표율 33.1% 을 기록, 참여인원 미달로 성립되지 않았다. 가 선거구의 투표율이 37.7%로 높았지만 나 선거구의 투표율이 23.8% 로 저조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주민소환 투표가 휴일도 아닌 평일에 이루어져 찬성-반대 양측 모두의 투표율이 매우 저조했고 전반적으로 반대 측 주장이 강했다고는 하나, 직장에 출근하지 않거나 늦으면서까지 투표를 할 생각은 없었던 것 같다. 그러나 같은 날 치러진 하남시의회 가 선거구의 유신목, 임문택 의원에 대한 주민소환은 압도적인 지지로 가결되었다. 이 둘은 주민소환법이 제정된 이래 처음으로 주민소환이 이뤄진 사례가 되었다.


3. 동별 정치성향[편집]


동네별로 정치성향이 갈린다. 농촌지역[L], 최근 집값이 부쩍 뛴 위례신도시[M], 원도심 아파트촌(신장2동)에서는 보수정당이 우세한 편이고, 풍산지구(덕풍동)은 경합, 미사강변도시[7], 감일지구(감일동)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이 우세한 편이다.[N] 하남시는 원래 영남 출향 인구가 많이 살고 있으나,[8] 덕풍1동과 신장1동은 호남 출향 인구가 많이 살고 있다.[9] 그래서 20대 대선에서 덕풍1동과 신장1동 또한 접전 끝에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우세하였다. 여담이지만 미사지구 중 미사3동은 임대주택 수가 적기 때문에 미사지구 중에서는 보수정당 득표율이 꽤 높아 옆동네인 덕풍동과 얼추 비슷하다. 그래서인지 미사지구 중에서는 미사3동이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찍어 우세하긴 했지만 미사동 중에서는 그나마 윤석열 후보가 표를 가장 많이 받았다.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하남시 CI.svg 역대 하남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하남시·광주군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정영훈초선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영훈재선
하남시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유성근초선[10]
2002김황식초선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문학진초선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현재초선
20대재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종윤초선

파일:하남시 CI.svg 역대 하남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민주당
손영채이교범김황식이교범
20142017 재보궐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이교범[11]오수봉김상호이현재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손영채 31.20%

2위:
[[무소속|
무소속
]]
양인석 20.37%
3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구자관 19.74%
4위:
[[무소속|
무소속
]]
김영민 16.31%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손영채 50.41%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박덕진 37.95%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교범 56.92%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시화 31.86%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황식 40.78%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교범 22.24%
3위:
[[무소속|
무소속
]]
박우량 18.62%
4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유병직 10.80%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이교범 49.46%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윤완채 40.11%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이교범 52.40%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황식 44.30%
2017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수봉 37.80%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윤재군 28.18%
3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유형욱 27.51%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상호 65.91%

2위: 구경서 34.08%
2022년1위: 이현재 56.02%
2위: 김상호 43.97%
[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근 광주군 지역구에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세 표 차로 낙선해 "문세표"라는 별명을 얻은 주인공이다. 이후 와신상담하여 하남시로 지역구를 옮겼다.[2]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노무현 전 대통령이 49.3%를 얻어 전국 평균(48.9%)을 살짝 넘은 적이 있었다.[3] 풍산동, 미사1동, 미사2동. 평균 46.5%[4] 위례동. 41.9%[5] 덕풍3동. 40.3%[6] 특이하게도 옆의 서울 송파구 위례동, 성남시 수정구 위례동보다 하남시 위례동이 더 보수정당 득표율이 더 높았는데, 이는 송파나 성남의 위례신도시와는 달리 하남의 위례신도시는 공공임대주택이 아예 없었기 때문이다.[L] 천현동, 초이동, 감북동, 춘궁동.[M] 위례동 하남시 구역. 특히나 여기는 다른 하남 지역과 실질월경지이고 임대아파트 단지가 없기 때문에 집값이 특히나 높다.[7] 미사1동, 미사2동, 미사3동.[N] 참고로 미사지구와 감일지구는 2010년대 중반 이후에 대대적인 입주가 시작된 신도시인데, 대개는 인접한 서울 강동구, 송파구에 거주하던 비교적 진보성향이 강한 유권자들이 집값 부담으로 인해 많이 유입되었다. 강동구와 송파구가 18대 대선에 비하여 보수세가 강해진 비밀이 여기 있는 셈.[8] 강동구 암사3동이나 명일동, 둔촌1동이 그 예시이다. 양재대로 동부지역에 해당한다.[9] 강동구 암사1동, 천호동, 성내동이 그 예시이다. 양재대로 서부지역에 해당한다.[10] 02.06.08.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11] 16.10.27. 시장직 상실(범인도피교사)


4.1. 대선 [편집]



4.1.1.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17,25815,88812,0172,794
득표율35.44%32.63%24.68%5.73%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62,643
투표 수49,379
무효표 수693
투표율78.83%


4.1.2.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국민신당(대한민국)|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23,15626,21716,877
득표율34.55%39.11%25.18%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85,156
투표 수68,002
무효표 수981
투표율78.86%


4.1.3.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30,25131,9722,254
득표율46.67%49.32%3.4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93,695
투표 수65,222
무효표 수409
투표율69.61%


4.1.4.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15,32535,2721,3374,1358,493
득표율23.45%53.99%2.04%6.32%13.00%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106,527
투표 수65,545
무효표 수221
투표율61.53%

4.1.5.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47,67640,221
득표율54.06%45.60%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18,494
투표 수88,508
무효표 수322
투표율74.69%

18대 대선 경기 하남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7,676
(54.06%)
40,221
(45.60%)
+7,455
(△8.46)
74.69%
천현동62.38%37.33%△25.0569.73
신장1동54.19%45.40%△8.7969.68
신장2동52.84%46.80%△6.0478.30
덕풍1동51.67%48.13%△3.5473.46
덕풍2동53.74%46.01%△7.7373.07
덕풍3동51.39%48.32%△3.0775.58
풍산동57.32%42.51%△14.8162.03
감북동61.64%37.98%△23.6670.39
춘궁동67.33%32.15%35.1873.75
초이동59.30%40.27%△19.0371.13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5.95%63.81%27.86
국내부재자투표49.74%49.31%0.43[12]

4.1.6.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57,29831,79330,9999,6808,135
득표율41.38%22.96%22.39%6.99%5.87%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76,100
투표 수138,937
무효표 수492
투표율78.90%

19대 대선 경기 하남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298
(41.38%)
31,793
(22.96%)
30,999
(22.39%)
9,680
(6.99%)
8,135
(5.87%)
+25,505
(△18.42)
78.90%
천현동30.98%34.58%23.84%4.91%5.07%▼3.6065.17
신장1동36.14%27.44%23.18%6.03%6.53%△8.7072.76
신장2동39.31%26.05%22.10%6.63%5.60%△13.2678.28
덕풍1동37.44%27.08%22.87%6.43%5.78%△10.3673.52
덕풍2동37.56%26.39%23.41%6.25%5.80%△11.1770.88
덕풍3동40.31%23.64%22.99%6.86%5.90%△16.6775.07
풍산동43.40%21.24%22.19%7.39%5.42%△21.2173.74
미사1동45.65%17.88%22.44%7.78%6.0%△23.2180.68
미사2동48.14%16.83%21.45%7.29%5.98%26.6982.72
감북동30.06%38.45%21.58%5.39%3.97%▼8.3966.87
위례동41.87%18.77%24.30%9.71%5.16%△17.5783.19
춘궁동27.46%41.93%21.60%4.39%4.30%14.4772.74
초이동31.50%32.67%25.10%5.78%4.17%▼1.17[13]68.94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6.27%23.83%29.02%6.74%3.63%△7.25
관외사전투표45.87%17.70%21.20%7.75%6.97%△24.67
재외투표59.31%7.62%15.81%3.95%11.96%43.50


4.1.7.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01,106100,088
득표율48.75%48.26%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65,087
투표 수208,858
무효표 수1,487
투표율78.79%

20대 대통령선거 경기 하남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01,106
(48.75%)
100,088
(48.26%)
1,018
(▲0.49)
천현동
40.44%57.44%▼17.00
신장1동
48.79%48.06%▲0.73
신장2동
45.13%52.17%▼7.04
덕풍1동
48.58%48.54%▲0.04
덕풍2동
48.06%48.92%▼0.86
덕풍3동
47.92%49.06%▼1.14
풍산동
50.95%46.26%▲4.69
미사1동
51.17%45.39%▲5.78
미사2동
52.10%45.02%▲7.08
감북동
42.63%54.09%▼11.46
감일동
52.64%44.10%▲8.54
위례동
41.40%55.96%▼14.56
춘궁동
37.14%60.38%▼23.24
초이동
42.51%55.00%▼12.49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39.56%55.06%▼15.50
관외사전투표
50.76%46.13%▲4.63
국외부재자투표
61.95%35.16%▲26.79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하남시[14][A][15]48.36%48.69%▼0.33
원도심 아파트촌(신장2동), 농촌지역[L], 최근 집값이 부쩍 뛴 위례신도시[M]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무난하게 승리하고, 풍산지구(덕풍동)에서는 두 후보가 서로 경합을 이뤘지만, 인구가 많은 미사강변도시감일지구에서의 이재명 후보 몰표 덕분에[N]이재명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윤석열 후보를 누르고 하남시에서 더 많은 표를 가져가게 되었다.


4.2. 지선[편집]



4.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1.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이인제장경우김문원임사빈
득표수21,27514,5433,8029,090
득표율43.67%29.85%7.80%18.66%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75,923
투표 수49,754
무효표 수1,044
투표율65.53%


4.2.1.2.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자관9,6353위
19.74%낙선
2손영채15,2281위
31.20%당선
3김영민7,9594위
16.31%낙선
4박영길4,3545위
8.92%낙선
5양인석9,9442위
20.37%낙선
6유병익1,6786위
3.43%낙선
선거인 수75,923투표율
65.54%
투표 수49,757
무효표 수959


4.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2.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손학규임창열
득표수20,75323,018
득표율47.41%52.5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85,883
투표 수44,386
무효표 수615
투표율51.68%


4.2.2.2.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덕진16,4222위
37.95%낙선
2손영채21,8121위
50.41%당선
4엄종섭2,3964위
5.53%낙선
5박영길2,6383위
6.09%낙선
선거인 수85,883투표율
51.68%
투표 수44,381
무효표 수1,113


4.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3.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손학규진념
득표수27,41315,085
득표율61.91%34.0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90,732
투표 수44,831
무효표 수556
투표율49.41%

4.2.3.2.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교범25,1841위
56.92%당선
2김시화14,0982위
31.86%낙선
3박영길2,2254위
5.02%낙선
4김용운2,7353위
6.18%낙선
선거인 수90,732투표율
49.40%
투표 수44,825
무효표 수583


4.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4.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진대제김문수
득표수14,71831,652
득표율28.45%61.1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03,677
투표 수52,387
무효표 수668
투표율50.53%

4.2.4.2.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병직5,6014위
10.80%낙선
2김황식21,1401위
40.78%당선
3김시화3,9135위
7.54%낙선
6박우량9,6553위
18.62%낙선
7이교범11,5292위
22.24%낙선
선거인 수103,677투표율
50.55%
투표 수52,413
무효표 수575

4.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5.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김문수유시민
득표수33,26627,024
득표율55.17%44.8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18,086
투표 수62,718
무효표 수2,428
투표율53.11%

4.2.5.2.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완채23,8662위
40.11%낙선
2이교범29,4291위
49.46%당선
5김근래사퇴
7박영길1,2864위
2.16%낙선
8유병훈4,9153위
8.26%낙선
선거인 수118,086득표율
53.11%
투표 수62,717
무효표 수3,221

4.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6.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남경필김진표
득표수35,30128,066
득표율55.70%44.2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18,266
투표 수65,360
무효표 수1,993
투표율55.27%

4.2.6.2.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황식28,6152위
44.30%낙선
2이교범33,8411위
52.40%당선
4이옥진2,1243위
3.28%낙선
선거인 수118,266투표율
55.26%
투표 수65,354
무효표 수774

4.2.7. 2017년 4월 재보궐선거[편집]



4.2.7.1.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수봉19,8411위
37.80%당선
2윤재군14,7942위
28.19%낙선
3유형욱14,4423위
27.52%낙선
4윤완채3,4084위
6.49%낙선
선거인 수174,801투표율
30.11%
투표 수52,632
무효표 수147

4.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8.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62,65342,9564,7902,615560
득표율55.16%37.82%4.21%2.30%0.49%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94,181
투표 수115,416
무효표 수1,842
투표율59.44%

4.2.8.2. 하남시장[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상호75,1191위
65.91%당선
2구경서38,8362위
34.08%낙선
선거인 수194,181투표율
59.44%
투표 수115,419
무효표 수1,464

4.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4.2.9.1. 경기도지사[편집]

하남시
하남시 일원
정당
후보김동연김은혜
득표수66,36269,943
득표율47.88%50.46%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66,856
투표 수139,747
무효표 수1,152
투표율52.37%

8회 지선 하남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6,362
(47.88%)
69,943
(50.46%)
- 3,581
(▼2.58)
139,747
(52.36%)
천현동[A]35.87%62.73%▼26.8645.71
신장1동43.87%53.96%▼10.0947.17
신장2동43.18%55.08%▼11.9051.57
덕풍1동44.85%53.81%▼8.9649.23
덕풍2동44.93%53.39%▼8.4646.25
덕풍3동46.00%52.33%▼6.3348.36
풍산동50.46%48.03%△2.4446.76
미사1동[B]52.46%45.76%△6.7040.75
미사2동[C]50.75%47.68%△3.0752.74
감북동[D]35.35%62.40%▼27.0549.43
감일동[E]54.05%44.34%△9.7150.74
춘궁동[F]31.08%67.81%▼36.7352.36
초이동[G]38.84%60.00%▼21.1545.17
위례동[H]43.89%54.62%▼10.7452.73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투표40.87%55.47%▼14.60
관외사전투표51.56%46.60%△4.96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하남시[I][16]47.29%51.08%▼3.7948.52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원도심권[J]43.12%53.98%▼10.8549.08
신도시권[K]50.56%47.84%△2.7248.06


4.2.9.2. 하남시장[편집]

{+1 [[파일:하남시 CI_White.svg}}}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상호(金相浩)60,8232위
43.97%낙선
2이현재(李賢在)77,4931위
56.02%당선
선거인 수266,856투표율
52.36%
투표 수139,746
무효표 수1,430

8회 지선 하남시 개표 결과
하남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상호이현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0,823
(43.97%)
77,493
(56.02%)
- 16,670
(▼12.05)
139,746
(52.36%)
천현동[*A ]36.67%63.32%▼26.6545.72
신장1동44.56%55.43%▼10.8747.18
신장2동42.11%57.88%▼15.7851.55
덕풍1동41.81%58.18%▼16.3749.21
덕풍2동44.07%55.92%▼11.8646.24
덕풍3동44.37%55.62%▼11.2548.36
풍산동43.05%56.94%▼13.9046.76
미사1동[*B ]46.83%53.16%▼6.3440.73
미사2동[*C ]42.44%57.55%▼15.1052.74
감북동[*D ]37.32%62.67%▼25.3549.47
감일동[*E ]48.26%51.73%▼3.4850.72
춘궁동[*F ]30.16%69.83%▼39.6652.30
초이동[*G ]38.96%61.03%▼22.0745.21
위례동[*H ]39.08%60.91%▼21.8252.74
후보김상호이현재격차
거소투표40.29%59.70%▼19.40
관외사전투표48.93%51.06%▼2.13

4.3. 총선[편집]


21대 총선 하남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최종윤이창근이현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6,572
(50.77%)
50,141
(33.24%)
23,326
(15.46%)
+ 26,431
(△17.52)
152,136
(66.78%)
[ 펼치기 · 접기 ]
천현동[*A ]40.11%43.44%15.87%▼3.3259.22
신장1동48.43%34.72%16.04%△13.7263.55
신장2동47.39%35.05%17.09%△12.3465.39
덕풍1동48.30%36.09%14.85%△12.2163.54
덕풍2동49.32%36.14%13.82%△13.1860.36
덕풍3동49.96%34.48%15.02%△15.4863.20
풍산동51.70%30.62%17.27%△21.0964.99
미사1동[*B ]56.65%27.37%15.46%△29.2761.95
미사2동[*C ]52.69%28.29%18.60%△24.4068.05
감북동[d]50.46%37.60%11.32%△12.8664.30
춘궁동[*F ]35.58%44.84%19.00%▼9.2565.77
초이동[*G ]45.08%42.55%11.61%△2.5361.10
위례동[*H ]44.27%43.06%12.39%△1.2171.26
후보최종윤이창근이현재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2.00%31.50%24.00%△10.50
관외사전투표58.45%30.00%10.93%△28.45
재외투표71.95%26.45%3.17%△45.50
[d] 법정동 감일동 · 감이동 · 감북동 · 광암동(일부)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48,629
(33.14%)
49,530
(33.75%)
14,059
(9.58%)
11,607
(7.91%)
9,045
(6.16%)
- 901
(▼0.61)
152,128
(66.74%)
[ 펼치기 · 접기 ]
천현동[*A ]45.53%27.11%7.10%5.48%4.34%△18.4259.23
신장1동35.68%33.49%8.33%5.07%4.87%△2.1963.55
신장2동37.60%31.73%8.66%7.09%5.16%△5.8665.39
덕풍1동36.49%33.27%8.36%5.67%5.04%△3.2263.55
덕풍2동35.55%34.18%7.97%6.18%4.78%△1.3760.36
덕풍3동34.33%33.33%8.88%7.00%5.84%△1.0063.20
풍산동30.45%34.05%10.86%9.83%6.56%▼3.6064.99
미사1동[*B ]26.63%37.02%11.38%9.31%7.02%▼10.3961.94
미사2동[*C ]29.24%36.82%10.39%8.23%6.96%▼7.5968.02
감북동[*d ]33.66%33.26%9.30%7.40%5.25%△0.4064.30
춘궁동[*F ]49.45%23.73%6.56%4.79%4.04%△25.7665.74
초이동[*G ]42.25%30.64%7.30%6.16%4.68%△11.6161.07
위례동[*H ]38.48%26.49%8.85%12.61%6.57%△11.9971.24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8.49%26.34%9.67%7.52%1.61%△2.15
관외사전투표27.34%36.65%10.94%7.61%8.06%▼9.31
재외투표23.15%36.84%10.00%4.21%18.42%▼13.68





[12]10표 차이였다.[13] 불과 24표 차이였다.[14] 하남시 일원[A] A B 법정동 천현동 · 하산곡동 · 상산곡동 · 배알미동 · 창우동[15] 지역구 국회의원 : 최종윤 (더불어민주당, 초선)[L] [M] [N] [B] 법정동 미사동 · 망월동(남부) (미사강변도시)[C] 법정동 망월동(북부) · 선동 (미사강변도시)[D] 법정동 감북동 · 광암동(일부)[E] 법정동 감일동 · 감이동 (감일지구)[F] 법정동 춘궁동 · 교산동 · 하사창동 · 상사창동 · 항동[G] 법정동 초일동 · 초이동 · 광암동(일부)[H] 법정동 학암동 (위례신도시)[I] 관외투표 제외[16] 지역구 국회의원: 최종윤 (더불어민주당, 초선)[J] 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덕풍1동, 덕풍2동, 덕풍3동, 감북동, 춘궁동, 초이동[K] 미사1동, 미사2동, 풍산동, 감일동, 위례동 (미사강변도시, 감일지구, 위례신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