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겔 요베트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고대메소포타미아 음악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세이킬로스의 노래
중세노트르담 악파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노바 · 비트리 · 마쇼
기타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부르고뉴 악파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팔레스트리나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라수스
영국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바로크 음악프랑스샹보니에르 · 륄리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르 · 루아예
이탈리아몬테베르디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A. 스카를라티 · 토렐리 · 스테파니 · 코렐리 · 로티 · 칼다라 · 보논치니 · 알비노니 · 비발디 · D. 스카를라티 · 포르포라 · 페오 · 타르티니 · 제미니아니 · 빈치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C. 브로스키
중부유럽비버 · 쉿츠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바흐 · 텔레만 · 파슈 · 마테존 · 젤렌카 · 피젠델
영국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전고전(로코코)하세 · 마르티니 · 갈루피 · 페르골레지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J. 슈타미츠 · 글루크 · L. 모차르트 ·
초기 고전파트라에타하이든고세크 · M. 하이든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클레멘티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치마로사 · 살리에리 · 모차르트 · 케루비니베토벤 · 훔멜 · 카룰리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전기 낭만주의초기 낭만파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메로 · 베를리오즈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쇼팽 · 리스트 · 알캉 · 헨젤트 · 체르니
오페라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J. 슈트라우스 1세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주페 · 치러
후기 낭만주의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브람스 · 바그너 · 브루크너 · 브루흐 · R. 슈트라우스 · 말러 · 레거 · 로트 · 코른골트 · 라프 · 라이네케 · 모슈코프스키 · 라인베르거 · 이바노비치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국민악파러시아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유럽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 음악
인상주의드뷔시 · 라벨 · 고베르이베르
신고전주의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제2빈악파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음악
사티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졸리베 · 페송
영국
근현대음악
브리튼 · 월튼 · 티펫
미대륙
근현대음악
코플런드 · 피아졸라 · 히나스테라 · 폰세 · 빌라-로부스 · 캐시디조플린 · 거슈윈 · 번스타인 · 바버 · 아이브스 · 바레즈 · 케이지 · 크럼 · 펠드먼 · 볼컴 · 글래스 · 라이히 · 애덤스 · 리버만 · 로사스
소련-러시아
근현대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카푸스틴스코릭
헝가리
근현대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폴란드
현대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음악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크세나키스 · 김순남
윤이상 · 라우타바라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미겔 요베트 솔레스
Miguel Llobet Solés
파일:Miguel Llobet Solés.webp
본명Miguel Llobet Solés
출생1878년 10월 18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사망1928년 2월 11일 (향년 59세)
스페인 바르셀로나
국적
파일:스페인 국기.svg

직업기타리스트, 작곡가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파일:디스코그스 아이콘.svg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1. 개요



1. 개요[편집]



미겔 요베트는 클래식 기타 연주자, 작곡가다. 프란시스코 타레가의 제자로 유명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성씨를 흔히 료베트, 료벳으로 잘못 읽는데, 외래어 표기법이 확립되지 않은 과거에 옛 스페인어 발음 그대로 “료벳”으로 읽다가 관례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호세 로마니요스를 로마닐료스로 잘못 읽는 것과 같은 원리다.[1] 실제 카탈루냐어 발음은 료벳에 가까운 것은 맞지만 대한민국의 스페인어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요베트가 맞다. 정작 표제어에서는 퍼스트네임인 미겔이 오랫동안 미구엘로 되어있었다는게 함정

연주자로서보다는 작곡가로서 유명하여 오늘날까지 다수의 작품이 사랑받고 있다. 스페인 민요를 많이 편곡했으며 특히 아멜리아의 유언, 도둑의 노래, 성모의 아들이 적당한 난이도와 훌륭한 작품성으로 애호가들이 흔히 연주하는 레퍼토리 중 하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9:24:05에 나무위키 미겔 요베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llo”의 표준 발음은 “요”이고 안달루시아 등 일부 지역방언이나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죠”에 가깝게 변화하고 있으나, 근대까지 카스티야 지방 표준 발음에 따르면 “료”에 가까웠고 요베트의 고향 카탈루냐에서는 아직도 그 발음법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