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브리튼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중세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노바 ·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라수스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바로크 음악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A. 스카를라티 · 토렐리 · 스테파니 · 코렐리 · 로티 · 칼다라 · 보논치니 · 알비노니 · 비발디 · D. 스카를라티 · 포르포라 · 페오 · 타르티니 · 제미니아니 · 빈치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C. 브로스키
중부유럽
비버 · 쉿츠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바흐 · 텔레만 · 파슈 · 마테존 · 젤렌카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마르티니 · 갈루피 · 페르골레지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J. 슈타미츠 · 글루크 · L. 모차르트 ·
초기 고전파
트라에타하이든고세크 · M. 하이든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클레멘티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모차르트 · 케루비니베토벤 · 훔멜 · 카룰리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메로 · 베를리오즈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쇼팽 · 리스트 · 알캉 · 헨젤트 · 체르니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J. 슈트라우스 1세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주페 · 치러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브람스 · 바그너 · 브루크너 · 브루흐 · R. 슈트라우스 · 말러 · 레거 · 로트 · 코른골트 · 라프 · 라이네케 · 모슈코프스키 · 라인베르거 · 이바노비치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 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이베르
신고전주의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제2빈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음악
사티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졸리베 · 페송
영국
근현대음악
브리튼 · 월튼 · 티펫
미대륙
근현대음악
코플런드 · 피아졸라 · 히나스테라 · 폰세 · 빌라-로부스 · 캐시디조플린 · 거슈윈 · 번스타인 · 바버 · 아이브스 · 바레즈 · 케이지 · 크럼 · 펠드먼 · 볼컴 · 글래스 · 라이히 · 애덤스 · 리버만 · 로사스
소련-러시아
근현대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카푸스틴스코릭
헝가리
근현대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폴란드
현대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음악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김순남
윤이상 · 라우타바라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파일:95B1EEBD-1796-46AD-A8B5-83CEA287B596.png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A82132><width=10%> '''[[1974년|{{{#white 1974년}}}]]''' ||<width=10%> '''[[1975년|{{{#white 1975년}}}]]''' ||<width=10%> '''[[1976년|{{{#white 1976년}}}]]''' ||<width=10%> '''[[1977년|{{{#white 1977년}}}]]''' ||<width=10%> '''[[1978년|{{{#white 1978년}}}]]''' ||
|| [[벤저민 브리튼]] [br] (작곡) || [[올리비에 메시앙]] [br] (작곡)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br] (첼로)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br] (지휘) || [[루돌프 제르킨]] [br] (피아노) ||
||<rowbgcolor=#A82132> '''[[1979년|{{{#white 1979년}}}]]''' || '''[[1980년|{{{#white 1980년}}}]]''' || '''[[1981년|{{{#white 1981년}}}]]''' || '''[[1982년|{{{#white 1982년}}}]]''' || '''[[1983년|{{{#white 1983년}}}]]''' ||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br] (바리톤) || [[엘리엇 카터]] [br] (작곡) || [[기돈 크레머]] [br] (바이올린) ||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br] (작곡) || [[피에르 불레즈]] [br] (지휘) ||
||<rowbgcolor=#A82132> '''[[1984년|{{{#white 1984년}}}]]''' || '''[[1985년|{{{#white 1985년}}}]]''' || '''[[1986년|{{{#white 1986년}}}]]''' || '''[[1987년|{{{#white 1987년}}}]]''' || '''[[1988년|{{{#white 1988년}}}]]''' ||
|| [[예후딘 메뉴인]] [br] (바이올린) || [[안드레스 세고비아]] [br] (기타) ||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br] (작곡) || [[레너드 번스타인]] [br] (지휘) || [[페터 슈라이어]] [br] (테너) ||
||<rowbgcolor=#A82132> '''[[1989년|{{{#white 1989년}}}]]''' || '''[[1990년|{{{#white 1990년}}}]]''' || '''[[1991년|{{{#white 1991년}}}]]''' || '''[[1992년|{{{#white 1992년}}}]]''' || '''[[1993년|{{{#white 1993년}}}]]''' ||
|| [[루치아노 베리오]] [br] (작곡) || [[한스 베르너 헨체]] [br] (작곡) || [[하인츠 홀리거]] [br] (오보에) || [[H.C.로빈스 랜던]] [br] (음악학) || [[리게티 죄르지]]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4년|{{{#white 1994년}}}]]''' || '''[[1995년|{{{#white 1995년}}}]]''' || '''[[1996년|{{{#white 1996년}}}]]''' || '''[[1997년|{{{#white 1997년}}}]]''' || '''[[1998년|{{{#white 1998년}}}]]''' ||
|| [[클라우디오 아바도]] [br] (지휘) || [[해리슨 버트위슬]] [br] (작곡) || [[마우리치오 폴리니]] [br] (피아노) || [[헬무트 라헨만]] [br] (작곡) || [[죄르지 쿠르탁]]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9년|{{{#white 1999년}}}]]''' || '''[[2000년|{{{#white 2000년}}}]]''' || '''[[2001년|{{{#white 2001년}}}]]''' || '''[[2002년|{{{#white 2002년}}}]]''' || '''[[2003년|{{{#white 2003년}}}]]''' ||
|| [[아르디티]] [[현악 4중주]] [br] (현악 4중주)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라인홀트 브링크만]] [br] (음악학)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br] (지휘) || [[볼프강 림]]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04년|{{{#white 2004년}}}]]''' || '''[[2005년|{{{#white 2005년}}}]]''' || '''[[2006년|{{{#white 2006년}}}]]''' || '''[[2007년|{{{#white 2007년}}}]]''' || '''[[2008년|{{{#white 2008년}}}]]''' ||
|| [[알프레드 브렌델]] [br] (피아노)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앙리 뒤티외]] [br] (작곡) || [[다니엘 바렌보임]] [br] (피아노, 지휘) || [[안네 소피 무터]] [br] (바이올린) ||
||<rowbgcolor=#A82132> '''[[2009년|{{{#white 2009년}}}]]''' || '''[[2010년|{{{#white 2010년}}}]]''' || '''[[2011년|{{{#white 2011년}}}]]''' || '''[[2012년|{{{#white 2012년}}}]]''' || '''[[2013년|{{{#white 2013년}}}]]''' ||
|| [[클라우스 후버]] [br] (작곡) || [[미하엘 길렌]] [br] (지휘) || [[아리베르트 라이만]] [br] (작곡) || [[프리드리히 체르하]] [br] (작곡) || [[마리스 얀손스]] [br] (지휘) ||
||<rowbgcolor=#A82132> '''[[2014년|{{{#white 2014년}}}]]''' || '''[[2015년|{{{#white 2015년}}}]]''' || '''[[2016년|{{{#white 2016년}}}]]''' || '''[[2017년|{{{#white 2017년}}}]]''' || '''[[2018년|{{{#white 2018년}}}]]''' ||
|| [[피터 구르크]] [br] (음악학) ||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br] (지휘) || [[페르 뇌고르]] [br] (작곡) || [[피에르 로랑 아이마르]] [br] (피아노) || [[베아트 푸러]]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19년|{{{#white 2019년}}}]]''' || '''[[2020년|{{{#white 2020년}}}]]''' || '''[[2021년|{{{#white 2021년}}}]]''' || '''[[2022년|{{{#white 2022년}}}]]''' || '''[[2023년|{{{#white 2023년}}}]]''' ||
|| [[레베카 손더스]] [br] (작곡) || [[타베아 침머만]] [br] (비올라) || [[죠르주 아페르기스]] [br] (작곡) || [[올가 노이비르트]] [br] (작곡) || [[]] [br] ||
}}}



<-2><:><tablebgcolor=#FFF,#1f2023><^|1><height=32> {{{#!wiki style="margin: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 ||




벤저민 브리튼
Benjamin Britten

파일:464px-Benjamin_Britten_1945.jpg

본명
에드워드 벤저민 브리튼
Edward Benjamin Britten
출생
1913년 11월 22일
영국 잉글랜드 서퍽 주 로스트랜드
사망
1976년 12월 4일 (향년 63세)
영국 잉글랜드 서퍽 주 올드버러
국적
[[영국|

영국
display: none; display: 영국"
행정구
]]

직업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1. 개요
2. 생애
3. 음악적 특징
4. 주요 작품
4.1. 오페라
4.2. 관현악
4.3. 협주곡
4.4. 합창
4.5. 가곡
4.6. 피아노
4.7. 실내악
4.7.1. 현악 4중주
4.7.2. 독주 악기와 피아노
4.7.3. 그 외



1. 개요[편집]


영국의 피아니스트, 작곡가이자 지휘자로서 헨리 퍼셀, 에드워드 엘가, 구스타브 홀스트, 레이프 본 윌리엄스 등과 함께 영국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성악곡과 오페라 작품으로 유명하며, 대표작으로는 <전쟁 레퀴엠>, <한 여름 밤의 꿈> 등이 있다.


2. 생애[편집]


1913년 11월 22일 잉글랜드 서퍽 주 로스트랜드에서 치과의사인 아버지와 아마추어 가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가수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친숙했으며, 영국 중산층 계급의 전통적인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11살이 되던 해 그는 작곡가 프랭크 브리지의 눈에 띄고, 브리튼의 재능에 탄복한 브리지는 자신이 직접 브리튼을 가르치겠다고 자청했다. 보수적인 당시 영국 음악계와 달리 실험적이고 독창적이었던 브리튼의 음악은 브리지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브리튼에게 작곡의 기초와 여러 작곡가들에 대해 가르쳤다. 그의 교육 방법은 대단히 엄격하여 브리튼이 훗날 세계적인 작곡가로 거듭나는 데 큰 공헌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브리지가 알려준 말러스트라빈스키 등의 작곡가들과 영국의 전통적 작곡 방법 등은 브리튼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1930년에 그는 장학금을 받고 왕립음악대학에 진학하여 헤롤드 새뮤얼과 아서 벤자민에게 피아노와 작곡 기술을 배웠지만, 보수적인 음악가들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당시 대학의 교육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1934년에 대학을 졸업하고는 부친의 사망으로 인한 집안의 어려운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화 스튜디오 등에서 음악을 담당하면서 생활하였는데, 1935년에 그가 가장 처음 받은 일은 우체국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의 OST를 작곡하는 것이었다. 그 당시 그는 시인이었던 위스턴 휴 오든을 처음으로 만났는데, 그는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다. 한편 1934년에는 테너 피터 피어스(Peter Pears)를 만났는데 이후 두 사람은 평생의 동료이자 연인이 되었다.[1] 피어스는 브리튼의 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인데, 브리튼은 항상 피어스가 부를 것을 염두에 두고 오페라를 작곡했기 때문이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a1316b75e332c640fed26273ab4f09c2.jpg
영국 국립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브리튼(우)과 피어스(좌)의 초상.

1939년 브리튼은 전쟁에 반대하며 피어스와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전쟁에 대한 그의 반감은 <전쟁 레퀴엠>, <우리들 사냥의 조상들> 등의 작품에 잘 드러나 있다. 그는 3년 후인 1942년 영국으로 다시 되돌아왔는데, 시인인 크래브의 시를 읽은 것이 귀국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브리튼과 피어스는 병역기피에 대한 처벌로 군대를 위해 연주회를 여는 의무를 지게 되었다. 그는 영국에 돌아온 후에 '영국 오페라단' 의 창설 활동에 참여했는데, 이 오페라단은 실내악적인 편성으로 오페라를 공연하는 악단이었다. 1948년에는 여러 소규모의 작품들을 공연하는 엘드부르 실내악 페스티벌에도 참여했는데, 그는 이 페스티벌에서 지휘자와 피아니스트로써 활약했다. 그의 대표작인 <전쟁 레퀴엠>은 1961년 작곡되어 이듬해 초연되었는데, 이 곡은 영국 합창 작품 중 가장 대표적인 레파토리가 되어 지금까지도 널리 공연되어지고 있다.

1976년 7월 남작작위[2]를 받았고, 같은 해 12월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피어스는 10년뒤인 1986년 사망하여 나란히 안장되었다.


3. 음악적 특징[편집]


브리튼의 작품은 서정적이며 근본적으로 영국적이다. 종종 12음 기법과 같은 요소를 사용하기도 했으나 대체로 20세기 초반부터 본격화되었던 아방가르드의 열풍에 뛰어들지 않았으며, 그렇다고 해서 낭만주의를 답습한 것도 아니고 특유의 재능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악풍을 창조하였다. 그의 음악은 조성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선율선과 구조가 단순 명쾌하여 상당히 직관적인 음향을 들려준다.

그는 음악 못지 않게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는데, 그 덕분에 그의 많은 작품들이 일종의 스토리텔링 성향을 갖고 있으며 현대 작곡가 가운데 드물게 상당히 많은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이처럼 그의 음악에는 문학과 철학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에 얼핏 들으면 그냥 듣기 편한 음악 정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 깊이가 만만치 않다. 특히 그는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이나 이방인의 생각과 시선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보였는데[3], 이런 배경에는 당연히 성적 소수자로 고통을 받았던 자신의 경험이 바탕이 되고 있다.


4. 주요 작품[편집]



4.1. 오페라[편집]


  • 폴 버니언
  • 피터 그라임스
  • 루크레시아의 능욕
  • 앨버트 헤링
  • 빌리 버드
  • 글로리아나[4]
  • 나사의 회전
  • 노아의 홍수
  • 한여름 밤의 꿈
  • 커류 강
  • 타오르는 용광로
  • 탕아
  • 오웬 윈그레이브
  • 베니스에서의 죽음


4.2. 관현악[편집]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 신포니에타 Op.1
  • 단순 교향곡
  • 진혼 교향곡[5]
  • 프랭크 브리지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 18개 현을 위한 전주와 푸가
  •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6]
  • 4개의 바다 간주곡과 파사칼리아
  • 엘리자베스 주제에 의한 변주곡


4.3. 협주곡[편집]


  • 피아노와 현을 위한 론도 콘체르탄테
  • 바이올린과 비올라, 관현악을 위한 이중협주곡
  • 바이올린 협주곡 Op.15
  • 피아노 협주곡 Op.13
  • 피아노, 현악 4중주, 현악 합주를 위한 어린 아폴로
  • 2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스코틀랜드 발라드
  • 첼로 교향곡 Op.68


4.4. 합창[편집]



브리튼의 대표작인 <전쟁 레퀴엠>.

  • 봄 교향곡
  • 녹턴
  • 아카데미아 칸타타
  • 전쟁 레퀴엠
  • 성 니콜라스
  • 테데움 C장조
  • 소년이 태어났다
  • 캐롤의 세레머니
  • 축전 테 데움 E장조
  • 성 체칠리아 송가
  • 미사 브레비스


4.5. 가곡[편집]


  • 겨울의 말
  • 중국으로부터의 노래
  • 시인의 메아리


4.6. 피아노[편집]


  • 5개의 왈츠
  • 3개의 성격 소품
  • 12개의 변주곡
  • 휴일 일기
  • 밤 소품
  • 변주곡


4.7. 실내악[편집]



4.7.1. 현악 4중주[편집]


  • 현악 4중주 F장조
  • 현악 4중주 D장조
  • 현악 4중주 1번 D장조
  • 현악 4중주 2번 C장조
  • 현악 4중주 3번 G장조


4.7.2. 독주 악기와 피아노[편집]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리플랙션
  • 첼로 소나타 C장조
  • 오보에와 피아노를 위한 2개의 곤충 소품


4.7.3. 그 외[편집]


  • 피아노 3중주를 위한 2개의 소품
  • 첼로 모음곡 1,2,3번
  • 환상적 오보에 4중주 Op.2
  • 팀파니 소품
  • 독주 하프를 위한 모음곡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3:47:29에 나무위키 벤저민 브리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브리튼과 피어스는 동성애자였는데, 당시에는 분위기 때문에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았다가 그의 사후에 이러한 사실이 공식화되었다. 다만 알 사람은 다 아는 사람이었고, 브리튼이 사망했을 때에도 영국 여왕이 피어스에게 조전을 보냈다.[2] 일대귀족(一代貴族, Life Peer)이었으므로 작위는 후계와 관계 없이 본인 당대로 끝난다.[3] 예를 들어 그의 대표작인 오페라 피터 그라임스는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주인공 어부(피터 그라임스)가 주변 사람들의 오해와 외면 때문에 계속 나락으로 빠져들다가 결국 자살에 가까운 죽음을 맞게 되는 내용이다. 그런데 그 오해라는 게 그가 조수로 쓴 소년들을 강간하고 죽였다는 오해였으니...[4] 엘리자베스 1세를 다룬 오페라로,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에서 초연되었다.[5] 본래 황기2600주년 기념 봉축곡으로서 위촉받은 곡이나, 일제 측으로부터 '악보가 너무 늦게 도착하여 부득이 공연에서 제외하게 되었다'라는 이유로 해당 공연에서 제외하게 되었다.[6] 헨리 퍼셀의 주제를 활용하였고, 지휘자가 내레이션을 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