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r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松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鬆#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松}}}소나무 송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まつ
-
}}}
표준 중국어
sō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4. 용례
5. 지하철역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松은 '소나무 송'이라는 한자로, '소나무', '송씨(松氏)'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677E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DCI(木金戈)로 입력한다.

파일:松 자형 변천과정.jpg
갑골문은 존재하지 않고 금문부터 등장한 한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공평할 공)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성씨[편집]




송씨인 사람이 쓰는 한자 중 하나이다. 하지만 4,737명으로 성씨 순위는 130위이다. 거의 모든 송씨는 (송나라 송)을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송(성씨) 문서 참조.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4.2. 고사성어/숙어[편집]




4.3. 인명[편집]




4.4. 지명[편집]




4.5. 창작물[편집]




5. 지하철역[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지네 공)
  • (들어올릴 강/종)
  • (옥이름 강/공)
  • (참게 공/송)
  • (두려워서 당황할 송)
  • (송사할 송)
  • (납 연)[1]
  • 𡵴(물따라갈 연)
  • (해다닐 연)
  • 𩉭(가죽신 옹)
  • (수레가 가는 모양 용)
  • (녹일 종)
  • (당황할 종, 심심할 송)
  • (아주버니 종)
  • (잠방이 종)
  • (허겁지겁할 종)
  • 𢁷(중)
  • 𤝅(중)
  • 𥝶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1:01:0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납 연)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