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강원특별자치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1. 종합 결과
2. 지역별
2.1. 춘천시장
2.2. 원주시장
2.3. 강릉시장
2.4. 동해시장
2.5. 삼척시장
2.6. 태백시장
2.7. 정선군수
2.8. 속초시장
2.9. 고성군수
2.10. 양양군수
2.11. 인제군수
2.12. 홍천군수
2.13. 횡성군수
2.14. 영월군수
2.15. 평창군수
2.16. 화천군수
2.17. 양구군수
2.18. 철원군수


1. 종합 결과[편집]


정원
18
기호정당의석수
(비율)
후보수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석
(22.2%)
18
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4석
(77.8%)
18
3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0석
(0%)
1


2. 지역별[편집]



2.1. 춘천시장[편집]


{+1 [[파일:춘천시 CI_White.svg}}} 춘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육동한(陸東翰)61,751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5.62%당선
2최성현(崔成炫)60,702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4.84%낙선
4이광준(李光濬)12,9033위

[[무소속|
무소속
]]
9.53%낙선
선거인 수244,406투표율
56.37%
투표 수137,766
무효표 수2,410

경기도 안산시장 선거의 완벽한 리버스 버전. 더불어민주당 계열 후보군의 분열로 국민의힘 소속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된 것 처럼, 이쪽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전직 재선 시장인 이광준 후보가 공천에서 컷오프 된 데에 불만을 품고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탓에 보수 표심이 갈라졌고, 결국 더불어민주당 육동한 후보가 접전 끝에 당선되는 효과를 낳았다. 또한 관료 출신 민주당 후보와 정치인 출신 국민의힘 후보, 보수 계열 무소속 후보의 3자 구도에서 민주당 후보가 초접전 끝에 당선된 결과는 경기도지사 선거와도 비슷한 부분이 있다.


2.2. 원주시장[편집]


{+1 [[파일:원주시 CI_White.svg}}} 원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자열(具滋烈)71,581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6.44%낙선
2원강수(元康修)82,526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3.55%당선
선거인 수304,060투표율
51.81%
투표 수157,537
무효표 수3,430

당초 여론조사에서는 소수점 차이 접전도 예상되는 등 강원 최대 접전지로 꼽혔으나 오히려 춘천이 최대 접전지가 되고 원주는 시장과 국회의원 모두 국민의힘 후보가 무난히 당선되었다.


2.3. 강릉시장[편집]


{+1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우영(金宇榮)29,661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9.68%낙선
2김홍규(金洪奎)43,887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3.92%당선
3임명희(林明姬)2,2684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27%낙선
4김한근(金漢根)24,0913위

[[무소속|
무소속
]]
24.11%낙선
선거인 수185,804투표율
54.86%
투표 수101,939
무효표 수2,032

현직 시장인 김한근 후보가 경선 컷오프에 불만을 품고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주요 후보 기준 3자구도로 치러졌으나 국민의힘 김홍규 후보가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김한근 후보는 현직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논란으로 인해 시정 평가가 바닥을 기던 탓에 보수 표심이 김홍규 후보로 쏠리며 서울에서 주로 활동했던 민주당의 김우영 후보에도 밀려 3위로 낙선하게 되었다.


2.4. 동해시장[편집]


{+1 [[파일:동해시 CI_White.svg}}} 동해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석찬(崔碩燦)10,284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4.98%낙선
2심규언(沈圭彦)23,502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7.09%당선
4심상화(沈相和)7,3763위

[[무소속|
무소속
]]
17.91%낙선
선거인 수76,886투표율
54.68%
투표 수42,045
무효표 수883

심규언 후보는 현직 프리미엄과 높은 정당 지지율을 살려 무난하게 3선에 성공하였다.


2.5. 삼척시장[편집]


{+1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양호(金良鎬)17,107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6.61%낙선
2박상수(朴相洙)18,031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9.12%당선
4김대수(金大壽)사퇴
5안호성(安浩星)1,5633위
4.25%낙선
선거인 수57,023투표율
65.85%
투표 수37,548
무효표 수847

여론조사상으로 현직 시장인 민주당의 김양호 후보가 앞서는 결과도 있었지만 높은 정당 지지율과 윤 대통령의 허니문 효과에 힘입어 박상수 후보가 김양호 후보를 상대로 접전승을 따냈다.


2.6. 태백시장[편집]


{+1 [[파일:태백시 CI_White.svg}}} 태백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태호(柳泰鎬)9,7152위
44.31%낙선
2이상호(李相澔)11,8471위
54.04%당선
4김용희(金龍熙)3603위
1.64%낙선
선거인 수35,236투표율
63.96%
투표 수22,538
무효표 수616

유태호 후보는 현직 프리미엄과 태백을 지역구로 둔 적이 있는 이광재 후보의 후광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의 높은 지지를 흡수한 이상호 후보에 10%에 가까운 격차로 밀리며 낙선하였다.


2.7. 정선군수[편집]


{+1 [[파일:정선군 CI_White.svg}}} 정선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승준(崔乘俊)10,9011위
51.01%당선
2홍천식(洪千植)10,4692위
48.98%낙선
선거인 수32,001투표율
69.00%
투표 수22,082
무효표 수712

지역에서 징검다리 재선을 지낸 최승준 후보의 탄탄한 조직력에 힘입어 높은 국민의힘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최승준 후보가 승리를 따냈다.


2.8. 속초시장[편집]


{+1 [[파일:속초시 CI_White(2002-2023).svg}}} 속초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주대하(朱大河)15,6962위
43.05%낙선
2이병선(李秉宣)20,7581위
56.94%당선
선거인 수71,621투표율
51.79%
투표 수37,093
무효표 수639


2.9. 고성군수[편집]


{+1 [[파일:고성군(강원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함명준(咸明埈)9,1491위
56.05%당선
2홍남기(洪南基)7,1732위
43.94%낙선
선거인 수24,776투표율
67.71%
투표 수16,777
무효표 수455

강원도청 국장급 간부였던 홍남기 후보였지만 함명준 후보의 현직 프리미엄에 2020년 재보선에서 군수에 당선되어 군정을 펼칠 시간이 적었다는 여론과 인물론에 밀려 국민의힘 후보로는 영동 지역에서 유일하게 낙선하였다.


2.10. 양양군수[편집]


{+1 [[파일:양양군 CI_White.svg}}} 양양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중(金鼎重)6,9382위
42.49%낙선
2김진하(金振夏)9,3901위
57.50%당선
선거인 수25,359투표율
65.74%
투표 수16,671
무효표 수343


2.11. 인제군수[편집]


{+1 [[파일:인제군 CI_White.svg}}} 인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상기(崔相基)9,2801위
51.40%당선
2이순선(李順先)8,4842위
46.99%낙선
4한상철(韓相哲)2893위
1.60%낙선
선거인 수27,939투표율
66.36%
투표 수18,541
무효표 수488

재선 군수 출신의 이순선 후보였지만 최상기 군수의 높은 군정 지지율로 대표되는 탄탄한 지지세에 밀려 낙선하였다.


2.12. 홍천군수[편집]


{+1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허필홍(許弼洪)14,8392위
41.16%낙선
2신영재(申榮在)21,2121위
58.83%당선
선거인 수60,743투표율
60.81%
투표 수36,938
무효표 수887

현역 프리미엄을 강조했던 허필홍 후보였지만 결국 낙선의 고베를 마셨다.


2.13. 횡성군수[편집]


{+1 [[파일:횡성군 CI_White.svg}}} 횡성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신상(張信相)13,1692위
48.54%낙선
2김명기(金明起)13,6591위
50.35%당선
4원재성(元在星)3003위
1.10%낙선
선거인 수41,777투표율
66.43%
투표 수27,752
무효표 수624

군수 선거 3수 끝에 김명기 후보는 횡성군수로 당선되었다.


2.14. 영월군수[편집]


{+1 [[파일:영월군 CI_White.svg}}} 영월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기석(金基錫)4,7493위
21.29%낙선
2최명서(崔明瑞)11,9501위
53.57%당선
4박선규(朴善圭)5,6052위
25.13%낙선
선거인 수34,371투표율
66.35%
투표 수22,805
무효표 수501

3선 군수를 역임한 보수정당 출신의 무소속 박선규 후보가 징검다리 4선에 도전하였으나 현직 군수인 최명서 후보가 무난히 과반을 넘기며 당선되었다. 민주당 소속 김기석 후보는 박선규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로 낙선하였다.


2.15. 평창군수[편집]


{+1 [[파일:평창군 CI_White.svg}}} 평창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왕기(韓旺機)9,7072위
39.13%낙선
2심재국(沈在國)14,6601위
59.09%당선
4최호영(崔昊永)4393위
1.76%낙선
선거인 수37,372투표율
67.87%
투표 수25,364
무효표 수558

7회 지선에 이어 다시 맞붙은 리턴매치에서 심재국 후보가 승리하였다.


2.16. 화천군수[편집]


{+1 [[파일:화천군 CI_White.svg}}} 화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세훈(金世勳)5,7932위
42.86%낙선
2최문순(崔文洵)7,7221위
57.13%당선
선거인 수21,055투표율
65.72%
투표 수13,837
무효표 수322

민주당 출신 전직 3선 강원도지사동명이인으로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던 국민의힘 최문순 후보가 과반 득표를 넘기며 낙승, 3선에 성공했다.


2.17. 양구군수[편집]


{+1 [[파일:양구군 CI_White.svg}}} 양구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인묵(趙仁默)4,6042위
36.74%낙선
2서흥원(徐興原)5,2011위
41.51%당선
4최지붕(崔祉鵬)6714위
5.35%낙선
5김철(金哲)2,0523위
16.37%낙선
선거인 수18,552투표율
69.02%
투표 수12,805
무효표 수277

지역 유지인 무소속 후보가 두명이나 나와 22% 가량의 표를 잠식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직 조인묵 군수는 4%차로 낙선하며 재선에 실패했다.


2.18. 철원군수[편집]


{+1 [[파일:철원군 CI_White.svg}}} 철원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금석(韓金錫)7,6632위
35.05%낙선
2이현종(李賢鍾)8,0321위
36.74%당선
4고기영(高基暎)6,1663위
28.20%낙선
선거인 수37,099투표율
60.53%
투표 수22,456
무효표 수595

고기영 후보가 컷오프에 반발하여 국민의힘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예상외의 접전이 벌어졌으며, 강원도 기초단체장 선거 중 1, 2위간 표 차이가 가장 적었던 곳이다.

개표 결과 이현종 후보와 한금석 후보간 초접전 승부 끝에 현직 군수인 이현종 후보가 363표 차이로 한금석 후보를 꺾고 3선에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