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야마 사토루

덤프버전 : (♥ 0)


}}} ||
[ 펼치기 / 접기 ]
1961년1962년1963년1964년1965년
드래프트 제도 미시행오츠카 야스오
1966년1967년1968년1969년1970년
소노다 요시노리무라타 쵸지아리토 미치요마에다 코스케히에이 타다오미(5)
1971년1972년1973년1974년1975년
이노우에 케이이치다테 야스지사토 히로마사박덕용(키쿠무라 토쿠요)타나카 요시오
1976년1977년1978년1979년1980년
모리 시게카즈(5)하카마다 히데토시후쿠마 오사무(4)타케모토 유키오(5)아이코 타케시
1981년1982년1983년1984년1985년
이베 야스지이시카와 마사루(4)히가 요시토모(4)카사하라 에이이치이시다 마사히코(4)
1986년1987년1988년1989년1990년
세키 키요카즈이라부 히데키마에다 유키나가(4)코미야마 사토루(4)코이케 히데오(5)
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
요시다 아츠시타케무라 쥰이치로카토 타카야스(3)사부로사와이 료스케(4)
1996년1997년1998년1999년2000년
시미즈 마사우미(3)와타나베 마사토코바야시 마사히데(3)타카하시 카오루(3)타나카 료헤이
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
키타 타카시니시오카 츠요시우치 타츠야쿠보 야스토모(3)
테지마 사토시(3)
야나기타 마사토시(1)
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
오미네 유타(1)카라카와 유키(1)
핫토리 야스타카(2)(4)
키무라 유타오기노 타카시이시미네 쇼타(4)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후지오카 타카히로마츠나가 타카히로(4)이시카와 아유무나카무라 쇼고히라사와 타이가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사사키 치하야(4)야스다 히사노리(4)후지와라 쿄타사사키 로키스즈키 쇼타(4)
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마츠카와 코
(1) 고교생 드래프트
(2)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4) 하즈레 1라운더
(5) 지명 후 미입단


코미야마 사토루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우승 엠블럼 V3.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0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7년 퍼시픽 리그 최우수 방어율

보유 기록(NPB)
개막 이래 최장 연속 완투승6경기
1이닝 최다 삼진[1]2개

{{{#fff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 오리온즈-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14번}}}
나가시마 테츠로
(1983~1988)
코미야마 사토루
(1990~1999)
타카하시 카오루
(2000~2002)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등번호 27번}}}
타나베 마나부
(1989~1997)
코미야마 사토루
(2000~2001)
도이 료타로
(2003~2006)
{{{#ffffff [[뉴욕 메츠|뉴욕 메츠]] 등번호 17번}}}
케빈 애피어
(2001)
코미야마 사토루
(2002)
그램 로이드
(2003)
{{{#fff [[치바 롯데 마린즈|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14번}}}
타카하시 카오루
(2000~2002)
코미야마 사토루
(2004~2009)
오타니 토모히사
(2010~2020)
[1] 투수로서 탈삼진을 기록했다는 것이 아니고, 타자로서 삼진을 당한 기록이다.

파일:코미야마 사토루 와세다 대학 감독.jpg
와세다대학 야구부 감독
코미야마 사토루
小宮山悟 | Satoru Komiyama
출생1965년 9월 15일 (58세)
치바현 카시와시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학력시바우라공업대학 카시와 고등학교 (치바) - 와세다대학[1]
신체183cm, 88kg
투타우투우타
포지션투수
프로입단1989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6번, 롯데)[2]
소속팀롯데 오리온즈-치바 롯데 마린즈 (1990~1999)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2000~2001)
뉴욕 메츠 (2002)
치바 롯데 마린즈 (2004~2009)
지도자와세다대학 야구부 감독(2019~)

1. 개요
2. 선수 경력
3. 은퇴 후
4. 기타



1. 개요[편집]


파일: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시절.jpg
일본의 전직 야구선수. 빼어난 제구력과 다양한 변화구로 유명해서 '던지는 정밀 기계', '미스터 컨트롤', '고글맨'이란 별명을 가졌고 전반기에는 이라부 히데키와 에릭 힐만, 후반기엔 쿠로키 토모히로와 함께 90년대 치바 롯데 마린즈의 암흑기를 이끌었다.


2. 선수 경력[편집]


어릴 적부터 도쿄 6대학 리그를 동경해왔기 때문에 3수까지 하면서 와세다대학에 입학, 와세다의 에이스 투수로 활약하면서 주목을 받았고 1989년 드래프트 1순위로 롯데 오리온즈에 입단하였다.

롯데에서 선발 투수로 최우수 평균자책점, 최다 이닝 등의 기록을 내면서 아주 화려하지는 않지만 꾸준한 선발로 활약했었다. 이후 메이저리그 진입을 염두에 두고 FA를 선언하려 했으나, 롯데 구단 측에서 파리그 타구단으로 이적하지 않는 조건으로 자유계약으로 풀어주겠다고 제안하였고, 자유계약으로 풀린 후에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에 입단하여 2년간 뛰었다.

이후 FA를 선언하고 2002년 뉴욕 메츠와 계약을 맺어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으나 딱 1시즌 불펜으로 뛰고 방출되었고, 이후 FA 당시 소속 구단이었던 요코하마가 재영입을 거절한 데다 FA 보상[3] 문제로 어느 구단도 코미야마의 영입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바람에 강제로 2003년을 FA 미아로 보내야 했다. 이후 2004년 메츠 시절 감독이었던 바비 발렌타인이 옮겨간 데뷔팀 치바 롯데 마린즈에 복귀하여 준너클볼인 '셰이크'라는 구종을 던지는 것으로 소소한 화제를 모으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많이 폼이 내려간 상태였기 때문에 이적 후엔 주로 추격조로 뛰었다.[4] 그렇게 롯데에서 불펜으로 6년간 뛰다 2009년 시즌 종료 후 44세의 나이로 은퇴하였다.


3. 은퇴 후[편집]


은퇴 이후로는 해설가나 J리그 이사직 등을 역임하다가 2019년부터 모교인 와세다대학 야구부의 감독에 취임했으며, 취임한지 2년차인 2020년 가을에 도쿄 6대학 야구 가을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주장은 현재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뛰고 있는 하야카와 타카히사.


4. 기타[편집]


  • 1998년 치바 롯데가 프로야구 최고 기록인 18연패(連敗)[5]를 기록할 당시, 연패의 시작과 끝을 모두 기록한 것이 바로 코미야마 사토루였다. 본인의 패배로 팀의 연패 신기록을 수립하는 시작점을 끊고 본인의 승리로 그 연패를 멈춘 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20:42:07에 나무위키 코미야마 사토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교육학부. 요요기제미날에서 2년 재수해서 입학했다.[2] 1989년 드래프트는 노모 히데오의 등장으로 롯데를 포함한 전체 8구단이 노모를 지명했다. 롯데는 노모 지명에 실패하고 당시 순위가 일본시리즈를 내준 퍼시픽리그 최하위로 최우선순위로 추가지명을 할 수 있어 코미야마를 지명했다.[3] 해외 FA의 경우엔 해외 이적 시점에서 2년 후의 11월 30일까지 원 소속구단 외의 다른 구단과 재계약할 시 해당 구단이 원 소속구단에 보상을 줘야 한다.[4] 어린 투수들이 패전처리 투수로 가비지이닝에 등판했다가 깨지면 오히려 자신감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패전조행을 자청했다고 한다.[5] 6월 13일~7월 8일까지 1무 포함 18연패를 기록했다. 공교롭게도 연패를 시작한 경기와 타이기록-신기록을 세운 경기, 연패를 끝낸 경기 모두 상대팀이 오릭스 블루웨이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