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츠네 미쿠의 소실/리듬 게임 수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하츠네 미쿠의 소실



1. 개요[편집]


어지간한 리듬게임에서도 매우 빠른 240 BPM과 속사포 구간의 시너지로 인해 대다수의 리듬게임에서 순수 지력 위주의 고레벨 곡으로 나온다. 보통 높아도 중상위 난이도에 위치하는 보컬로이드곡 중에서도 특히나 예외. 이건 사실 폭주P 자체가 초기부터 리듬게임계에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도 있어서, 본격적으로 리듬게임계에 속하게 된 현재는 다양한 리듬게임에서 인스트루멘탈과 보컬로이드를 가리지 않고 투고 중.


2. 하츠네 미쿠의 소실 -DEAD END-[편집]


2009년 7월에 나온 게임인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에도 수록. 그 악명에 걸맞은 흠좀무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하드는 별 5개중 별 8개다.아이폰 어플리케이션 Miku Flick에도 수록되었다. 다른 모든 곡을 플레이하면 해금. 노말까지는 클리어가 어렵지는 않지만, 하드 후반부의 노트밀도는 그야말로 후살. 240BPM의 스크롤 압박과 시너지를 일으켜서 손 꼬이기 딱 좋은 구간을 만들어 놨다. 그리고 이 구간을 무사히 넘겨서 하드를 클리어한 유저는 Break The Limit 모드[1]가 열리는 순간 모바일 리듬게임 역사상 최악의 난이도를 보게 된다. 초반 폭타 부분에서 나오는 분당 노트수는 720개. 1초당 12개의 노트를 쳐야 된다.


2.1.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편집]


PS 시리즈에서는 첫 작품에서 당당하게 보스곡을 차지했다. 이를 계기로 이후 cosMo@폭주P하츠네 미쿠의 격창, Sadistic.Music∞Factory 등의 오리지널 곡 들을 제공하며 뒷 작품의 보스곡을 계속 담당하게 된다.[2] 아케이드에서도 역시 가동일 당시 최고 난이도인 9레벨을 차지했으나 이후 추가된 どうしてこうなった가 PS 시리즈에서는 볼수 없는 정신나간 보면을 보여주며 페이크 최종보스곡이 되었으며, 현재는 개인차는 있지만 속도만 빠른 9레벨 최약체 취급을 받는다.

그런데...


아케이드 엑스트라 익스트림 퍼펙펙트
맨 위에있는 영상과 달리 안무는 같은데 비키니입은건 무시하자
2014년 11월 27일 추가된 EXTRA EXTREME 보면이 유저들을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었다. 특이한 점은 이전 수록곡들의 채보를 모아놨다는 것. 문제는 BPM이 240이다. 또한 격창 정도까진 아니지만 보면이 점점 어려워지는 경향을 띠기 때문에 클리어 보더 70%를 넘겨도 라이프 게이지가 바닥나 폭사할 수 있으니 주의. 클리어 난이도는 격창 바로 밑 정도의 10레벨 최상급을 차지한다.

PSP 시절의 1에서는 영상이 완성되지 않아서 일러스트를 연속으로 보여주는 PV로 때웠으며 f부터는 곡 자체가 빠져 있다.

드리미 시어터의 PV 영상. 유튜브 재생수는 150만.
이후 Dreamy Theater로 제대로 된 PV가 추가되었다. PSP판 1과 f 이후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모두 같은 영상을 쓴다.












2.2. 사운드 볼텍스[편집]



2.2.1. 원곡[편집]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
NOVICE
ADVANCED
EXHAUST
자켓
파일:cosMo@폭주P 하츠네 미쿠의 소실 sdvx.png
파일:cosMo@폭주P 하츠네 미쿠의 소실 sdvx.png
파일:cosMo@폭주P 하츠네 미쿠의 소실 sdvx.png
레벨
06
13
18
체인 수
0996
1990
2862
일러스트 담당
cosMo@暴走P
이펙터
PHQUASE
수록 시기
III 31(2015.08.28)
BPM
240

  • SKILL ANALYZER 수록
    • NOVICE: Skill Level 01(2016.08.17 ~ 2016.12.21)
    • ADVANCED: "현무의 장난"
    • EXHAUST: "현무의 시련" (The 5th KAC 예선 코스)

2015년 8월 28일 주간 볼텍스 별책 cosMo 업데이트를 통해 수록되었다. 제목은 '하츠네 미쿠의 소실(初音ミクの消失)'이 아닌 '소실(消失)'로 변경된 채로 수록되었는데, 이는 하츠네 미쿠라는 캐릭터가 크립톤 퓨처 미디어에 저작권이 있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크립톤과 사용권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 코나미는 라이선스 문제 상 캐릭터를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 같은 이유로 자켓 역시 새로 그린 일러스트가 사용되었다.[3] 이는 함께 수록된 하츠네 미쿠의 폭주 역시 마찬가지.


2.2.2. 채보 상세[편집]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첫 노트부터 마지막 노트까지 2분 20초. KAC 2012 ULTIMATE MEDLEY -HISTORIA SOUND VOLTEX-(2:27)와 야쿠모 란의 유심론(2:17) 중간에 속하는 매우 긴 곡으로, 덕분에 체인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수록 시점에서 EXH는 체인수 6위, ADV는 전술한 사볼 메들리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EXH는 개인차가 크지만 대체로 18레벨 중상위권으로 평가받으며, 2716개의 매우 많은 체인수로 인해 게이지 증가량도 짜다. 곡의 핵심인 속사포 보컬 부분은 상당한 난이도의 12비트 폭타로 이루어져 있으며, 뒤로 갈수록 연타 등이 복잡하게 섞여 점점 어려워지는 양상을 띤다. 일반 보컬 부분은 비교적 무난한 패턴이지만 헷갈리기 쉬운 노브나 잔미스가 나기 쉬운 원핸드 등이 자주 등장해 게이지가 짜다는 특성상 무시할 수 없다. 가장 문제가 되는 구간은 후반 속사포 보컬 파트가 끝난 후주 부분의 무지하게 긴, 240BPM의 8비트 재봉틀 연타로, 재봉틀에 강하다면 그냥저냥 넘어가겠지만 약하다면 후살 직행이 될 수 있다.[4] 재봉틀이 끝나면 다행히도 최후의 배려인지 맨 마지막에 FX롱노트가 대량으로 등장하는 회복 구간이 있기 때문에 클리어 보더에서 5~6%정도가 부족하다면 이 구간에서 역전을 노릴 수도 있지만, 재봉틀 특성상 한 번 밀린다면 게이지가 엄청나게 깎이기 때문에 클리어 난이도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고 하기는 힘든 수준. 또 한 번 말린다면 니어가 대량으로 발생하기 쉬워 스코어링에 있어서도 크게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노트 폭타와 연타에 약하다면 18레벨 최상급까지도 체감 난이도가 올라갈 수 있다.

ADV 패턴은 지속노브와 롱노트를 기본 베이스로 하며 곡 출시일 기점으로 ADV 내에서 체인 수가 가장 높은 패턴이었다.[5] 속사포 구간에서 등장하는 12비트 3연타는 FX 롱노트의 끝점에서 바로 연속하여 이어지는 식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칩노트 처리력에 약하다면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EXH 패턴과 달리 최후반에 노브가 등장하고 침묵 구간임에도 생각보다 이리저리 튀기 때문에 다 잡은 클리어를 여기서 놓치지 않도록 주의할 것.


2.2.3. Hommarju Remix[편집]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
NOVICE
ADVANCED
EXHAUST
MAXIMUM
자켓
파일:消失(Hommarju Remix).png
파일:消失(Hommarju Remix).png
파일:消失(Hommarju Remix).png
파일:消失(Hommarju Remix).png
레벨
06
13
15
18
체인 수
1270
1567
1823
2492
일러스트 담당
-
이펙터
cosMo@暴走P
수록 시기
V 01(2019.02.28)
BPM
240

2.2.4. 채보 상세[편집]



MXM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원곡과 같은 240이라는 빠른 BPM으로 몰아붙히는 패턴. 원곡보다 폭타의 배치가 단조롭고 후반에 미친듯이 긴 빅장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원곡보다는 비교적 쉽다는 평이나 결코 만만치 않은 패턴이다. 영상으로 보기만 하는것과 직접 플레이하는것의 체감 난이도의 차이가 굉장히 심하다는 평가가 대다수.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ADV 패턴 UC 영상


2.3. DanceDanceRevolution A[편집]


2017년 8월 10일 업데이트로 뇌장작렬 걸, 행복해질 수 있는 숨겨진 커맨드가 있다는 것 같다와 함께 수록되었다
사볼과 달리 하츠네 미쿠의 사용권 계약을 맺었는지, 이번에는 타이틀이 '소실'이 아닌 '하츠네 미쿠의 소실'이다.

싱글 더블 챌린지 모두 허리틀기가 섞인 정박폭타가 위주로 되는 보면. ラクガキスト와 같이 보컬로이드 라이선스 곡 중 챌린지가 수록 당시 최고난이도인 16으로 배정받은 곡이기도 하다.[6] 애초에 더블 최저 난이도부터가 8이다.

물론 변속도, 16분박 급 폭타도, 엇박도 제대로 나오지 않아 패턴 난이도 만 보면, 보기엔 15렙 급 같아보이겠지만, 허리틀기와 물량 등 체력적 측면 이외에는 난이도 높이는 요소가 거의 없긴해도, 물량이 18렙 급인 729개로 16레벨 전체 3위[7]다. 체력이 제대로 안 받쳐주면 중후반부부터 힘들어질수도 있다.




2.4. maimai 시리즈[편집]


maimai 난이도 체계
난이도
EASY
BASIC
ADVANCED
EXPERT
MASTER
3
5
8
10+
13+
노트 수
(슬라이드 수)
257(4)
245(4)
443(8)
633(43)
961(104)
장르
VOCALOID
BPM
240
REC
O


EXPERT 보면 영상

EXPERT 보면은 롱잡, 슬라이드, 난타, 연타가 모두 나오는 종합적이면서 최후반 4연타-동시치기-3연타-8연타파트가 가장 난관인 보면이다.
노트수도 633개로 상당히 많은편이다.


MASTER 보면 영상


MASTER AP 영상
플레이어는 Amakage!

MASTER 보면은 중반부분까지는 회오리-트릴 발광구간을 제외하면 어려운 부분이 없지만, 속사포 보컬구간이 나오는 부분부터 난이도가 급격하게 올라간다. 전형적인 후살곡. 후반파트는 폭타에 짤막한 트릴이 섞여나오다 슬라이드 발광부분이 나오고, 다시 폭타가 나오다가 한쪽엔 8비트 다른쪽엔 4비트의 연타구간[8] 후 동시치기 연타가 나오면서 마무리된다 후반 발광부터 체력을 빼면 힘이빠져서 이 극후반의 후살을 치기 힘들어진다. 후반 발광에서도 침착하게 체력을 유지해서 끝까지치는게 포인트. 그리고 이 극후반 후살 부분은 박자를 외워놓는게 정말좋다. 한번 판정 잘못나오면 전부 그렛나오니 조심. 전체적으로 EXPERT와 마찬가지로 연타구간 처리가 가장 중요한 보면이다. 위의 사운드 볼텍스 보면과 속성이 비슷하다 수월한 전반부에서 점수를 최대한 잃지 않도록 플레이하는게 좋다. 대신 어느 정도 실력 이상에서는 발광부의 패턴이 규칙적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암기한다면 난이도가 급격하게 내려가는편.

maimai MURASAKi의 개편된 난이도 정책으로 12+가 신설되면서 12+로 승격되었다. 기존 12에서는 그럭저럭 중간은 하는정도 였으나 12+로 승격되고 나서는 하위권으로 전락. 이후 13레벨이 신설된 이후로는 13레벨로 승격되지 않고 12+자리에 그대로 유지되었다. maimai DX PLUS 이후 난이도가 상당히 개편되어 대부분의 보스곡들이 14레벨, 혹은 그 이상의 레벨로 올라간 현재로서는 개인차가 있겠지만 그래도 13+중에서는 상위권인 편이다.

마스터 보면의 브레이크 개수는 39개이다.


2.5. CHUNITHM[편집]


CHUNITHM 난이도 체계
곡명
初音ミクの消失
아티스트
cosMo@폭주P
BPM
240
BASIC
ADVANCED
EXPERT
MASTER
5
8
12
13

츄니즘의 VIRTUAL SINGER 맵의 맨 마지막 맵을 완주해야 해금이 가능하다.


MASTER 난이도 AJ 플레이 영상


2.6. 노스텔지어 시리즈[편집]


[[노스텔지어 시리즈
노스텔지어]] 난이도 체계| 난이도
레벨
노트 수
Normal
2
314
Hard
7
595
Expert
10
1136
버전
노스텔지어 Op.2

[[노스텔지어 시리즈
노스텔지어]] 난이도 체계| 난이도
레벨
노트 수
Normal
2
314
Hard
7
595
Expert
10
1136
Real

-
버전
노스텔지어 Op.2


다른 리듬게임에서 악명을 떨쳤던 속사포 구간은 여기에서 평온한 피아노 반주로 나온다. 정 속사포를 원한다면 voltississimo 문서 참조.

2.7. GROOVE COASTER[편집]



2.7.1. 4MAX DIAMOND GALAXY[편집]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엑스트라=
,곡명=初音ミクの消失
,곡목록=보컬로이드™
,작곡표기=cosMo@暴走P
,작곡링크=cosMo@暴走P
,작곡틈=feat.
,작곡표기2=初音ミク
,작곡링크2=初音ミク
,버전3=
,폴더명=보컬로이드™
,BPM=240
,SIMPLE레벨=5
,NORMAL레벨=8
,HARD레벨=12
,EXTRA레벨=14
,SIMPLE노트수=404
,NORMAL노트수=586
,HARD노트수=694
,EXTRA노트수=930
,SIMPLE애드립=21
,NORMAL애드립=24
,HARD애드립=22
,EXTRA애드립=44
,SIMPLE체인=1\,895
,NORMAL체인=2\,418
,HARD체인=2\,952
,EXTRA체인=3\,794
,주소=isMpxHxO3ns
,퍼펙트=
)]

2.7.2. WAI WAI PARTY!!!![편집]


[include(틀: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채보
,곡명=初音ミクの消失
,작곡표기=cosMo@\폭주P
,작곡링크=cosMo@\폭주P
,어나더보컬=
,보컬표기=하츠네 미쿠
,보컬링크=하츠네 미쿠
,2보컬표기=전뇌소녀 시로
,2보컬링크=전뇌소녀 시로
,폴더명=VOCALOID™
,DLC폴더명=VOCALOID™ Pack 2
,BPM=240
,EASY레벨=5
,NORMAL레벨=8
,HARD레벨=13
,MASTER레벨=15
,EASY노트수=231
,NORMAL노트수=439
,HARD노트수=645
,MASTER노트수=918
,EASY애드립=5
,NORMAL애드립=12
,HARD애드립=11
,MASTER애드립=20
,EASY체인=1\,213
,NORMAL체인=2\,006
,HARD체인=2\,728
,MASTER체인=3\,829
,액티브EASY레벨=2
,액티브NORMAL레벨=6
,액티브HARD레벨=9
,액티브EASY노트수=189
,액티브NORMAL노트수=321
,액티브HARD노트수=489
,액티브EASY애드립=5
,액티브NORMAL애드립=8
,액티브HARD애드립=11
,액티브EASY체인=907
,액티브NORMAL체인=1\,445
,액티브HARD체인=2\,043
,주소=Z3nHYrc1XPQ
,EASY주소=HqWe11Xv9ac
,NORMAL주소=0xmsLkatVbk
,HARD주소=SZLSqcnPSuo
)]

2.8. 온게키 시리즈[편집]




2.9. 크로노 서클[편집]


사볼과 마찬가지로 크립톤과 사용권 계약이 되어 있지 않아 '소실(消失)'로 변경되어 수록되었다.


3. 하츠네 미쿠의 소실 -극장판-[편집]



3.1. 태고의 달인 시리즈[편집]






初音ミクの消失 -劇場版-
BPM
200-240
ver. BLUE 기준
난이도
간단
보통
어려움
오니
우라
5
7
8
9
10
노트 수
257
326
536
486
468
765
999
수록 버전
NAC
3DS1, Wii5 SP, Wii U 1DL
PSPDX DL, PS Vita1 DL, PS4 1 DL,
Nintendo switch DL
비고
보면분기 존재[9]
MOMOIRO 단위도장 달인 (오니 뒷보면)
GREEN 단위도장 9단 (오니 앞보면)


3.1.1. 오니[편집]



오니 보면 전량 영상

태고의 달인 수록곡 중에선 꽤 보기 힘든 고속곡 + 리듬난 보면이다. 풀콤보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판정을 내는 난이도는 비교적 높은 편. 태고의 달인 그린버전에선 단위도장 9단의 세번째 곡으로 수록되었다.


3.1.2. 오니-채보[편집]


파일:하츠네미쿠의소실-극장판-(앞).png


3.1.3. 우라[편집]



우라 보면 전량 영상

성불2000과 비슷한 형태의 보면으로 그 당시 최강 난이도의 자리를 성불과 같이 차지하게 되었으며 동카마2000유현의 난 등장 이후로 밀리고 있는 추세다. [10] 5월 12일 출시되는 3DS버전 태고의 달인에는 앞보면만 수록되었다. 하지만 wii 초호화판에는 수록되었다.
2014년 12월 3일 국내에서 전량 달성자가 등장했다. #


3.1.4. 우라-채보[편집]


파일:하츠네미쿠의소실-극장판-(뒤).png


4. 하츠네 미쿠의 소실:Remake2018[편집]



4.1. WACCA[편집]


初音ミクの消失
파일:wacca_miku.jpg
아티스트
cosMo@폭주P (가수:하츠네 미쿠)
장르
보컬로이드
BPM
232
수록시기
2019년 12월 12일 #[11]
난이도 책정
구분
NORMAL
HARD
EXPERT
INFERNO
난이도
5
10
13+
-
노트 수
273
474
994
-
해금 조건
통상 해금

WACCA하츠네 미쿠가 부른 곡으로는 7번째로 수록되었다.[12]

관련은 없지만리얼 하츠네 미쿠의 소실도 함께 수록되어있다.


EXPERT 난이도(ALL Marvelous) 플레이 영상
초반과 막판에 폭타가 상당한 고난이도의 채보가 특징.

4.2.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편집]





파일:버싱3주년신로고.png

파일:세카이미쿠아이콘.webp
하츠네 미쿠

[[하츠네 미쿠(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카드|

카드
]]
파일:세카이린아이콘.webp
카가미네 린

[[카가미네 린(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카드|

카드
]]
파일:세카이렌아이콘.webp
카가미네 렌

[[카가미네 렌(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카드|

카드
]]
파일:세카이루카아이콘.webp
메구리네 루카

[[메구리네 루카(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카드|

카드
]]
파일:세카이메이코아이콘.webp
MEIKO

[[MEIKO(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카드|

카드
]]
파일:세카이카이토아이콘.webp
KAITO

[[KAITO(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카드|

카드
]]

[~2021년 수록곡]
{{{#!wiki style="margin-top: 5px ;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min-width: 24%"
[2022년 수록곡]
{{{#!wiki style="margin-top: 4px ;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min-width: 24%"
[2023년 수록곡]

파일:프릴리투모로우_sekai.png


파일:린쨩나우_sekai.png


파일:새벽과반딧불이_sekai.png


파일:ph_sekai.png


파일:goodbye_sekai.png

FREELY TOMORROW
Mitchie M
린짱 나우!
오와타P
새벽과 반딧불이
n-buna
p.h.
SEVENTHLINKS
Goodbye
Circus-P

파일:스노우믹스_sekai.png


파일:세카세카_sekai.png


파일:천사의날개_sekai.png


파일:카피캣_sekai.png


파일:레이니스노우드롭_sekai.png

SnowMix♪
마라시
세카이 쨩과 카후 쨩의
장보기 합소곡

미나미노미나미
천사의 날개.
A4。
Copycat
Circus-P
레이니 스노우드롭
Re:nG

파일:웨어쉘위고_sekai.png


파일:코코로_sekai.png


파일:스트로보라스트_sekai.png


파일:팔레트에는_sekai.png


파일:Q_sekai.png

Where shall we go? *
메로쿠루
마음
트라볼타
스트로보 라스트
시이나 모타
팔레트에는 네가 가득
시이나 모타
Q
시이나 모타

파일:야미나베_sekai.png


파일:39_sekai.webp


파일:에필로그에_sekai.png


파일:Highlight_sekai.webp

파일:트래시앤트래시_sekai.png
야미나베!!!! *
cosMo@폭주P
39
sasakure.UK × DECO*27
에필로그에 넌 없어 *
사토 겐자이료
Highlight
KIRA
트래시 앤드 트래시!
와다 타케아키(쿠라게P)

파일:뱀파이어파토스_sekai.png


파일:METEOR_sekai.webp


파일:인터뷰어_sekai.webp


파일:헬파이어_sekai.webp

파일:스노우맨_sekai.webp
Vampires ∞ pathoS
히토시즈쿠 × 야마△
METEOR
DIVELA
인터뷰어
쿠와가타P
나의 사랑은 헬파이어
SLAVE.V-V-R
스노우맨
halyosy

파일:OSTER project 마법 같은 뮤직!.jpg


파일:이름없는혁명_sekai.webp


파일:악식녀콘치타_sekai.png

파일:잠재우는 공주로부터의 선물_sekai.png

파일:엔비자카의 재봉소_sekai.png

마법 같은 뮤직!
OSTER project
이름 없는 혁명 *
시안 키노
악식녀 콘치타
mothy_악의P
잠재우는 공주로부터의 선물
mothy_악의P
엔비자카의 재봉사
mothy_악의P

파일:악덕의 저지먼트_sekai.png


파일:Sharing The World_sekai.png

파일:이터널아리아_sekai.png

파일:BlueStar_sekai.png


파일:인생_sekai.png

악덕의 저지먼트
mothy_악의P
Sharing The World
BIGHEAD
이터널 아리아 *
Adeliae
Blue Star
하치오지P
인생 *
gcmstyle(안멜츠P)
파일:wonder sytle_sekai.png
파일:스타더스트메들리_sekai.png
파일:UNDERWATER_sekai.png
파일:Afterglow_sekai.png

파일:심박페어링_sekai.png

Wonder Style
colate
스타더스트 메들리 *
키사라
UNDERWATER
Hylen
Afterglow
지미섬P
심박 페어링 *
유키노 이토
파일:sweety glitch_sekai.png
파일:decade_sekai.webp
파일:신인류_sekai.png
파일:즌다파티나잇_sekai.png
파일:DISCO No.39_sekai.png
sweety glitch
gaburyu × nyankobrq
Decade
Dixie Flatline
신인류
마라시 × × 호리에 쇼타(kemu)
즌다 파티 나잇
나미구루
Disco No.39 *
Rulmry.
파일:보틀케이크_sekai.png
파일:블루 플래닛_sekai.png
파일:HERO_sekai.png
파일:서커스패닉_sekai.png
파일:Un-Lock_sekai.png
보틀케이크
라이브P
블루 플래닛
DECO*27
HERO
Ayase
CIRCUS PANIC!!!
사츠키
Un-Lock
무력P
파일:럭키오브_sekai.png
파일:Hello Builder_sekai.png
파일:아임 마인_sekai.png
파일:뜻대로_sekai.png
파일:돼지가 되어_sekai.png
럭키☆오브
emon(Tes.)
헬로 빌더
우츠P
아임 마인
halyosy
뜻대로
r-906
돼지가 되어 yeah yeah
Neru
파일:데빌이 아닌걸_sekai.png
파일:츠가이코가라시_sekai.png
파일:Dear_sekai.png
파일:Cool Me Down_sekai.png
파일:언성 멜로디_sekai.png
데빌이 아닌걸
DECO*27 × 피노키오피
츠가이코가라시
일해줘P
Dear
19 -iku-
Cool Me Down *
Mwk
언성 멜로디
monaca:factory
파일:ARQETYPE_sekai.png
파일:온앤온_sekai.png
파일:imaginary love story_sekai.png
파일:쇼타임오디언스_sekai.png
파일:난청계 남자가 쓰러지지 않아_sekai.png}}}
ARQETYPE
sohbana
On&On *
메로쿠루
imaginary love story
Synthion
쇼타임×오디언스
세나 와타루
난청계 남자가 쓰러지지 않아
라마즈P
파일:오버코드_sekai.png
파일:Ten Thousands Star_sekai.png
파일:일천광년_sekai.png


오버 코드 *
이에누
Ten Thousand Stars
CircusP
일천광년
이요와


* 악곡 창작 콘테스트 당선작 | 글로벌 서버 한정 수록 | 한국 서버 수록 | ⓢ 세카이의 소리 수록곡}}}
{{{#!wiki style="margin-top: 5px ;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min-width: 24%">
[2024년 수록곡]


VIRTUAL SINGER의 수록곡
난이도
(노트 수)

EASY
NORMAL
HARD
EXPERT
MASTER
9
(376)
15
(751)
22
(1116)
30
(1502)
35
(1666)
해금 방법
상점에서 구입
어나더 보컬
미지원
MV
미지원
지원 보컬
버추얼 싱어 ver.
하츠네 미쿠
어나더 보컬 ver.
-


  • EXPERT ALL PERFECT 영상


  • MASTER ALL PERFECT 영상
음원은 2018년에 리메이크된 음원을 사용하였다.

출시 당시 인게임 최고 난이도였던 33을 배정받았다. 이에 따라 22년 1월까지 최종 보스곡으로 여겨졌던 곡이며, 현재까지도 프로세카의 보스곡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만큼 그 인지도가 높다. 일단 기본적으로 다지플레이를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엄지 플레이가 배제되는 것은 물론이요 검지 플레이도 매우 힘든 패턴들뿐이며 곡 길이도 긴 편에 속해 체력곡 속성까지 띄고 있다.[13][14]

중반까지는 그래도 35레벨치고 패턴이 무난한 편이지만 이 곡이 최고 레벨이 확장되면서 33레벨을 유지한 격창과 34레벨로 올라온 육조년, 머신건과 달리 34레벨의 엔드마크와 같이 35레벨로 올라올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최후살 패턴.[15] 플릭을 동반한 8비트 동시치기 패턴으로 시작하며 이후 플릭과 롱노트가 동반된 12비트 폭타가 떨어져내려오는데, 이 구간이 클리어 여부를 가르는 결정적인 구간이다.

난이도 30인 EXPERT도 마스터보다는 검지러에게 그나마 플레이하기 편한 배치를 가지고 있으나, 폭타에서 동시치기랑 플릭만 빠진 형태라서 노트 밀도는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에 폭타 처리를 잘 하는 편이 아니라면 주의를 요한다. HARD의 경우는 익스와 하드 중간 수준에 걸쳐있기 때문에 익스를 해본적이 없고, 하드를 주로 플레이하는 성향이라면 이 곡만큼은 난이도를 NORMAL로 내려보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실제로 공방에서 올 HARD는 흔한 편이며 가끔은 NORMAL, 드물게는 EASY를 선택한 유저도 볼 수 있다.

한국 서비스 시작 초반엔 딱히 비교할만한 고난도 EXPERT곡이 이 곡과 육조년밖에 없기 때문인지 일반인들이 하츠네 미쿠 하면 생각나는 곡중 하나이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프리 룸을 하다보면 엔비 못지않게 많이 선곡되는 곡이었다. 그러나 익스 풀콤까진 심심찮게 찾아볼 순 있어도 MASTER는 선곡하여 클리어하는 유저조차 다른 곡에 비해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초대 보스곡의 위엄을 마음껏 뽐내다가 격창같은 인지도도 있고 EXPERT에 폭타가 있는 곡이 조금 더 추가되면서 소실에 편중되는 경향은 조금 줄었다.

[1] 모든 가사를 다 입력해야 하는 모드[2] F 2nd의 경우 2차원 드림피버와 함께 양분.[3] 대신 원전을 고려한건지 모르겠지만 자켓의 소녀는 트윈테일이다. 반대 사례로, GUMI의 라이선스를 보유한 인터넷 사와는 사용권 계약이 되어 있어 캐릭터 이름이나 캐릭터 일러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4] 이 부분을 잘 넘기는 팁이 있다면, 치면서 계속 판정을 의식할 것. Early가 뜨면 조금 느리게 치고, Late가 뜨면 조금 빠르게 치는 식으로 그냥저냥 넘기는 게 가능하다![5] 2020년 기준 MAYHEM(BEMANI 시리즈)가 1위.[6] 동일 작곡가의 뱀부 소드 걸DDR A20 PLUS 이후로 챌린지 보면이 추가되면서 18레벨로 더 높은 난이도에 배정되었다.[7] 16레벨 중 輪廻転生(794), DDR MEGAMIX(731) 다음으로 많다.[8] 덕분에 동시치기와 노트하나가 번갈아서 나오는거처럼 보인다[9] 어려움 한정[10] 현재 국내에 어느 정도 풀콤자도 생겼다. 그러나 여전히 어려운건 사실 [11] FREEDOM DiVE↓, Invisible Frenzy와 함께 수록되었다.[12] 아시아 정발판에서는 천본앵이 추가되지 않았으므로 6번째로 수록된 하츠네 미쿠의 곡이다.[13] 특히 후살은 사실상 건반형 리듬게임의 4키 처리 방식으로 처리하는걸 염두에 둔듯 하다. 실제로 노트 배치 또한 3 / 3 / 3 / 3으로 라인을 잘랐을 때, 홀드 노트가 3키 이상을 횡단하는 패턴이 전혀 없으며, 단노트와 플릭 또한 각 라인에 맞춰서 꾸준히 내려온다.[14] 또한 이 곡만이 출시 후 반 년동안 엄지플레이 AP는 커녕 풀콤보를 냈다는 기록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 곡의 엄지플레이 난이도가 무리 수준이라는 것을 증명해주는 셈. 클리어 영상은 나왔다. 그리고, 반 년만에 드디어 첫 엄지 풀콤도 나왔다! 그리고 현재는 엄지 AP까지 등장했다.[15] 위 영상의 1:53 ~ 2:10초 경. 이 구간 동안 무려 241개의 노트가 떨어진다. 다시 말하자면 1초마다 15.1개의 노트를 쳐야 하는 어마어마한 물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2;"
, 4.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2;"
, 4.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7:25:45에 나무위키 하츠네 미쿠의 소실/리듬 게임 수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