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A 올스타전

덤프버전 : (♥ 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농구 리그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파일:NBA 로고.svg NBA
동부애틀랜틱 / 센트럴 / 사우스이스트
서부노스웨스트 / 퍼시픽 / 사우스웨스트
폐지미드웨스트 (1970~2004) / 센트럴 (1949~1950) / 이스턴 (1946~1970) / 웨스턴 (1946~1970)
2군파일:NBA G League 로고.svg NBA G 리그
동부애틀랜틱 / 센트럴 / 사우스이스트
서부미드웨스트 / 사우스웨스트 / 퍼시픽
서머 리그라스베이거스 / 유타 / 캘리포니아 / 올랜도 (2002~2017)
관련 문서올스타전NBA 올스타전 / NBA G 리그 올스타전 / NBA G 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 / ABA 올스타전 (1968~1976)
결승전NBA 파이널 / NBA G 리그 파이널 / ABA 파이널 (1968~1976)
수상목록NBA 수상목록 / NBA G 리그 수상 목록 / ABA 수상목록 (1967~1976)
NBA MVP / All NBA Team / NBA All Defensive Team
정주년 기념NBA 25주년 팀 / NBA 35주년 팀 / NBA 역사상 위대한 50인 선수 / NBA 75주년 팀
기타행사NBA 드래프트 / 글로벌 게임 / 아프리카 게임 / 네이스미스 컵 / 맥도날드 챔피언십 (1987~99)
여자 프로파일:WNBA 로고.svg WNBA
컨퍼런스동부/서부
올스타전WNBA 올스타전
수상 목록WNBA 수상목록
결승전WNBA 파이널
3x3 리그BIG 3
독립 리그IBA / NBA D리그 / PBL
대학NCAA Division I / NCAA Division II / NCAA Division III
고교Division I / Division II / Division III
유소년리틀 농구
폐지ABA (1967~1976) / BAA (1946~1949) / NBL (1937~1949) / JBA (2018)
* BAA는 NBL을 1949년에 합병한 오늘날 NBA의 전신



파일:nbaallstatfts.png
NBA 올스타전 엠블럼

1. 개요
2. 역사
3. 주요 규정
4. 역대 올스타전
5.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6. 슬램 덩크 콘테스트
7. 쓰리-포인트 슛아웃
8. 스킬즈 챌린지
9. 올스타 위크엔드 셀러브리티 게임
10. 사라진 올스타 위크엔드 이벤트
10.1.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
10.2. 올스타 레전드 게임
10.3. NBA 올스타 vs ABA 올스타 경기
10.4. H–O–R–S–E 컴피티션
11. 참고 자료



1. 개요[편집]


NBA 인기 선수들이 선발되어 치뤄지는 대회를 지칭하며, MVP로 선정되면 코비 브라이언트 어워드[1]를 받는다.


2. 역사[편집]


최초의 경기는 1951년 3월 2일 보스턴 가든에서 10개 팀 스타들을 중심으로 치뤄졌는데, 이 대회는 당시 야구와 풋볼에 밀리던 리그의 흥행을 위한 자구책 차원에서 평론가 해스킬 코헨의 제안으로 이뤄진 것이다. 당시 커미셔너인 모리스 포돌로프와 보스턴 셀틱스 구단주 월터 브라운은 장기적으로 볼 때 이 행사가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고 수익성도 엄청나리라고 보았다. 그 예상은 적중해 해를 거듭할수록 점차 규모가 커졌으며, 1984년부터 '올스타 위켄드'로 개편돼 지금에 이르고 있다.


3. 주요 규정[편집]


  • 올스타전 주전 10명은 팬들의 온/오프라인 투표를 통해 정해지며, 벤치멤버 14명은 감독들의 투표로 정해진다. 그러나 자기 팀 선수들에겐 표를 못 준다. 또 이들 중 부상으로 못 나가면 감독들이 대체 선수를 뽑는다. 그리고 양 팀 감독은 각자의 컨퍼런스에서 선두를 달리는 팀 감독이 맡으며, 트레이너와 의료진은 해당 대회가 개최되는 연고지 팀에서 차출된다.[2]

  • 올스타 선발 선수들은 주말 동안 개최되는 공식 행사와 인터뷰에 의무적으로 참가해야 하며, 이를 어길 시 만 달러 이상의 벌금을 내야 한다.

  • 올스타 승리팀은 선수당 보통 15,000 달러씩 받으며, 패배팀은 7,500달러씩 받는데, 이는 1999년부터 책정된 기준이다.

  • 홈팀은 연한 색, 원정은 짙은 색 유니폼을 각각 입어야 하는데, 1997~2002년까진 팀 유니폼 그대로 입도록 허용했다.

  • 올스타 게임에 참가하는 선수, 감독, 트레이너들이 게스트를 초청할 경우 사전에 개최 팀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동의를 받을 시 NBA로부터 1등석 항공권 및 호텔 룸서비스가 제공된다.

  • 올스타에 못 뽑힌 선수들은 이 기간 동안 휴가를 나가 자유시간이 주어지며, 팀은 단체훈련을 소집할 수 없다.[3]

  • 올스타에 출입하는 기자들은 여러 조건을 거쳐야 하는데, 외신기자들의 경우 사전에 취재신청을 해야 한다. 이들에게는 별도의 크레디셜을 발급하고 지정좌석을 마련한다.

  • 올스타전을 치르는 구단은 리그와의 협의 하에 미디어 및 팬 가이드를 제공토록 하고, 각 팀의 홍보부들은 올스타전에 참가하는 자기 팀 선수들의 정보를 올스타 본부에 제공해야 한다.

  • 1~2년차 선수들은 라이징 스타 챌린지에 참가하는 요건이 주어진다. 팀은 미국 국적 선수단(미국팀)과 미국 외 국적 선수단(월드팀)으로 나뉜다. 라이징 스타 챌린지에 출전하는 선수도 투표로 선정만 된다면 올스타 본게임까지도 참가할수 있다.

4. 역대 올스타전[편집]


연도날짜결과경기장관중수개최팀개최지MVP소속팀
~1999년 [ 펼치기 · 접기 ]
19513월 2일동부 111, 서부 94보스턴 가든10,094보스턴 셀틱스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드 맥컬레이보스턴 셀틱스
19522월 11일동부 108, 서부 9110,221폴 아리진필라델피아 워리어스
19531월 13일서부 79, 동부 75앨런 카운티 워 메모리얼 콜리시엄10,322포트웨인 피스톤즈인디애나 주 포트웨인조지 마이칸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19541월 21일동부 98, 서부 93 (OT)매디슨 스퀘어 가든16,487뉴욕 닉스뉴욕 주 뉴욕밥 쿠지보스턴 셀틱스
19551월 18일동부 100, 서부 9115,564빌 셔먼
19561월 24일서부 108, 동부 94로체스터 워 메모리얼8,517로체스터 로열스뉴욕 주 로체스터밥 페티트세인트루이스 호크스
19571월 15일동부 109, 서부 97보스턴 가든11,178보스턴 셀틱스매사추세츠 주 보스턴밥 쿠지보스턴 셀틱스
19581월 21일동부 130, 서부 118세인트루이스 아레나12,854세인트루이스 호크스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밥 페티트세인트 루이스 호크스
19591월 23일서부 124, 동부 108올림피아 스타디움10,541디트로이트 피스톤즈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엘진 베일러
밥 페티트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세인트 루이스 호크스
19601월 22일동부 125, 서부 115필라델피아 컨벤션 홀10,421필라델피아 워리어스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윌트 체임벌린필라델피아 워리어스
19611월 17일서부 153, 동부 131오논다가 카운티 워 메모리얼 콜리시엄8,016시러큐스 내셔널즈뉴욕 주 시러큐스오스카 로버트슨신시내티 로열스
19621월 16일서부 150, 동부 130세인트루이스 아레나15,112세인트루이스 호크스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밥 페티트세인트 루이스 호크스
19631월 16일동부 115, 서부 108로스앤젤레스 스포츠 아레나14,838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빌 러셀보스턴 셀틱스
19641월 14일동부 111, 서부 107보스턴 가든13,464보스턴 셀틱스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오스카 로버트슨신시내티 로열스
19651월 13일동부 124, 서부 123세인트루이스 아레나16,713세인트루이스 호크스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제리 루카스신시내티 로열스
19661월 11일동부 137, 서부 94신시내티 가든13,653신시내티 로열스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아드리안 스미스
19671월 10일서부 135, 동부 120카우 팰리스13,972샌프란시스코 워리어스캘리포니아 주 데일리 시티릭 베리샌프란시스코 워리어스
19681월 23일동부 144, 서부 124매디슨 스퀘어 가든18,422뉴욕 닉스뉴욕 주 뉴욕핼 그리어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19691월 14일동부 123, 서부 112볼티모어 시빅 센터12,348볼티모어 불리츠메릴랜드 주 볼티모어오스카 로버트슨신시내티 로열스
19701월 20일동부 142, 서부 135더 스펙트럼15,244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윌리스 리드뉴욕 닉스
19711월 12일서부 108, 동부 107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14,378샌디에이고 로키츠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레니 윌킨스시애틀 슈퍼소닉스
19721월 18일서부 112, 동부 110더 포럼17,214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잉글우드제리 웨스트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731월 23일동부 104, 서부 84시카고 스타디움17,527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데이브 코웬스보스턴 셀틱스
19741월 15일서부 134, 동부 123시애틀 센터 콜리시엄14,360시애틀 슈퍼소닉스워싱턴 주 시애틀밥 레이니어디트로이트 피스톤즈
19751월 14일동부 108, 서부 102애리조나 베터런스 메모리얼 콜리시엄12,885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월트 프라이저뉴욕 닉스
19762월 3일동부 123, 서부 109더 스펙트럼17,511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데이브 빙워싱턴 불리츠
19772월 13일서부 125, 동부 124밀워키 아레나10,938밀워키 벅스위스콘신 주 밀워키줄리어스 어빙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19782월 5일동부 133, 서부 125옴니 콜리시엄15,491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랜타랜디 스미스버펄로 브레이브스
19792월 4일서부 134, 동부 129폰티액 실버돔31,745디트로이트 피스톤즈미시건 주 폰티액데이비드 톰슨덴버 너기츠
19802월 3일동부 144, 서부 136 (OT)캐피털 센터19,035워싱턴 불리츠메릴랜드 주 랜도버조지 거빈샌안토니오 스퍼스
19812월 1일동부 123, 서부 120콜리시엄 앳 리치필드20,239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리치필드네이트 아치볼트보스턴 셀틱스
19821월 31일동부 120, 서부 118브렌든 번 아레나20,149뉴저지 네츠뉴저지 주 이스트러더퍼드래리 버드
19832월 13일동부 132, 서부 123더 포럼17,505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잉글우드줄리어스 어빙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19841월 29일동부 154, 서부 145 (OT)맥니콜스 스포츠 아레나17,500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아이제아 토마스디트로이트 피스톤즈
19852월 10일서부 140, 동부 129후지어 돔43,146인디애나 페이서스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랠프 샘슨휴스턴 로키츠
19862월 9일동부 139, 서부 132리유니언 아레나16,573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댈러스아이제아 토마스디트로이트 피스톤즈
19872월 8일서부 154, 동부 149 (OT)킹돔34,275시애틀 슈퍼소닉스워싱턴 주 시애틀톰 챔버스시애틀 슈퍼소닉스
19882월 7일동부 138, 서부 133시카고 스타디움18,403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마이클 조던시카고 불스
19892월 12일서부 143, 동부 134애스트로돔44,735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칼 말론유타 재즈
19902월 11일동부 130, 서부 113마이애미 아레나14,810마이애미 히트플로리다 주 마이애미매직 존슨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912월 10일동부 116, 서부 114샬럿 콜리시엄23,530샬럿 호네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찰스 바클리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19922월 9일서부 153, 동부 113올랜도 아레나14,272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매직 존슨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932월 21일서부 135, 동부 130 (OT)델타 센터19,459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칼 말론
존 스탁턴
유타 재즈
19942월 13일동부 127, 서부 118타깃 센터17,096미네소타 팀버울브스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스코티 피펜시카고 불스
19952월 12일서부 139, 동부 112아메리카 웨스트 아레나18,755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미치 리치먼드새크라멘토 킹스
19962월 11일동부 129, 서부 118알라모돔36,037샌안토니오 스퍼스텍사스 주 샌안토니오마이클 조던시카고 불스
19972월 9일동부 132, 서부 120건드 아레나20,562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글렌 라이스샬럿 호네츠
19982월 8일동부 135, 서부 114매디슨 스퀘어 가든18,323뉴욕 닉스뉴욕 주 뉴욕마이클 조던시카고 불스
1999파업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다.
(개최지 : 퍼스트 유니언 센터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2000년~2019년 [ 펼치기 · 접기 ]
20002월 13일서부 137, 동부 126더 아레나 인 오클랜드18,325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팀 던컨
샤킬 오닐
샌안토니오 스퍼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012월 11일동부 111, 서부 110MCI 센터20,674워싱턴 위저즈워싱턴 D.C.앨런 아이버슨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20022월 10일서부 135, 동부 120퍼스트 유니언 센터19,581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코비 브라이언트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032월 9일서부 155, 동부 145 (2OT)필립스 아레나20,325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랜타케빈 가넷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042월 15일서부 136, 동부 132스테이플스 센터19,662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샤킬 오닐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052월 20일동부 125, 서부 115펩시 센터18,227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앨런 아이버슨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20062월 19일동부 122, 서부 120토요타 센터18,652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르브론 제임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072월 18일서부 153, 동부 132토머스 & 맥 센터15,694-네바다 주 패러다이스코비 브라이언트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082월 17일동부 134, 서부 128뉴올리언스 아레나17,271뉴올리언스 호네츠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르브론 제임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092월 15일서부 146, 동부 119US 에어웨이스 센터16,382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코비 브라이언트
샤킬 오닐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피닉스 선즈
20102월 14일동부 141, 서부 139카우보이 스타디움108,713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알링턴드웨인 웨이드마이애미 히트
20112월 20일서부 148, 동부 143스테이플스 센터17,163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코비 브라이언트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122월 26일서부 152, 동부 149암웨이 센터17,125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케빈 듀란트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132월 17일서부 143, 동부 138토요타 센터16,101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크리스 폴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142월 16일동부 163, 서부 155스무디킹 센터14,727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카이리 어빙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152월 15일서부 163, 동부 158매디슨 스퀘어 가든17,198뉴욕 닉스뉴욕 주 뉴욕러셀 웨스트브룩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162월 14일서부 196, 동부 173에어 캐나다 센터18,298토론토 랩터스온타리오 주 토론토
20172월 19일서부 192, 동부 182스무디킹 센터15,701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앤서니 데이비스뉴올리언스 펠리컨스
20182월 18일팀 르브론 148, 팀 스테픈 145스테이플스 센터17,801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르브론 제임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192월 17일팀 르브론 178, 팀 야니스 164스펙트럼 센터19,077샬럿 호네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케빈 듀란트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2020년대 [ 펼치기 · 접기 ]
20202월 16일팀 르브론 157, 팀 야니스 155유나이티드 센터17,808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카와이 레너드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213월 7일[1]팀 르브론 170, 팀 듀란트 150스테이트팜 아레나[2]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랜타야니스 아데토쿤보밀워키 벅스
20222월 20일팀 르브론 163, 팀 듀란트 160로키 모기지 필드하우스18,721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스테판 커리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20232월 19일팀 르브론 175, 팀 야니스 184비빈트 스마트홈 아레나17,886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제이슨 테이텀보스턴 셀틱스
20242월 18일게인브릿지 필드하우스인디애나 페이서스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1] 코로나-19로 인해 단축시즌으로 시작되어 3월 초에 열린다.[2] 코로나-19로 인해 무관중으로 개최됨.

《참고사항》
  • 동부 컨퍼런스가 37승 29패로 앞서가고 있다.
  • NBA 연고지 중에서 올스타 게임을 개최하지 못한 곳은 포틀랜드, 새크라멘토, 멤피스, 오클라호마시티, 브루클린이다.
  • 새로운 경기장에서 올스타전을 개최하지 못한 곳은 리틀 시저스 아레나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파이서브 포럼 (밀워키 벅스), TD 가든 (보스턴 셀틱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아레나 (마이애미 히트),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댈러스 매버릭스), AT&T 센터 (샌안토니오 스퍼스), 바클레이스 센터 (브루클린 네츠), 골든 1 센터 (새크라멘토 킹스), 체이스 센터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이다.
  • 2010년 올스타전은 텍사스 주 알링턴에서 개최되어 NBA 팀이 없지만, 댈러스-포트워스 메트로플렉스로 했던 NBA 팀이 있다. (댈러스 매버릭스)
  • 2007년 올스타전은 NBA 팀 연고지가 없는 곳에서 열린 첫 번째 올스타 게임이다.
  • 1979년 올스타전, 1985년 올스타전, 1987년 올스타전, 1989년 올스타전, 2010년 올스타전은 MLB 또는 NFL 스타디움에서 열린 올스타 게임이다.
  • 올스타전을 최다 출전한 선수는 카림 압둘 자바(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로 19번 출전했다.
  • 올스타전 MVP를 최다 수상한 선수는 밥 페티트(1956년, 1958년, 1959년, 1962년)와 코비 브라이언트(2002년, 2007년, 2009년, 2011년)로 4회 수상했다.
  • 역대 최고령 MVP는 2009년 올스타전 MVP인 샤킬 오닐(36세 346일)이다.
  • 역대 최연소 MVP는 2006년 올스타전 MVP인 르브론 제임스(21세 51일)이다.
  • 역대 최연소 올스타 주전 멤버는 1998년 올스타전에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소속으로 출전한 코비 브라이언트(18세 169일)이다.
  • 역대 최고령 올스타 주전 멤버는 2003년 올스타전에 워싱턴 위저즈 소속으로 출전한 마이클 조던(39세 357일)이다.
  • 역대 올스타전 최다관중수는 2010년 텍사스 주 알링턴 카우보이 스타디움에 열린 경기로 108,713명이다.
  • 올스타전 MVP를 최다 배출한 팀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1953년, 1959년, 1972년, 1990년, 1992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7년, 2009년, 2011년)로 11명을 배출했다.(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포함.)
  • 최다 개최한 도시는 뉴욕으로 (1954년, 1955년, 1968년, 1998년, 2015년) 총 5회 개최했다.
  • 최다 개최한 주는 뉴욕 주로 (1954년, 1955년, 1956년, 1961년, 1968년, 1998년, 2015년) 총 7회 개최했다.
  • 최다 개최한 경기장은 뉴욕 닉스의 홈구장인 매디슨 스퀘어 가든으로 구 매디슨 스퀘어 가든 (1954년, 1955년, 1968년) 3회, 신 매디슨 스퀘어 가든 (1998년, 2015년) 2회로 총 5회 개최했다.
  • 198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후지어 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마켓 스퀘어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 1987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킹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시애틀 센터 콜리시엄에서 개최되었다.
  • 1989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애스트로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더 슈미트에서 개최되었다.
  • 2010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카우보이 스타디움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 션은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201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 역사상 처음으로 뉴욕과 브루클린이 공동개최하였다. 올스타 게임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 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2016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 역사상 처음으로 캐나다에서 개최되는 올스타 게임이었다.
  • 2017년 올스타전은 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 (스펙트럼 센터)에서 개최하기로 하였으나, 노스캐롤라이나 주가 성(性) 소수자 차별법에 반대해 2017년 올스타전 개최지가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 (스무디킹 센터)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샬럿은 2019년 올스타전을 다시 개최하였다.
  • 2018년 올스타전부터는 제1회 올스타전부터 유지해온 동부와 서부 콘퍼런스 맞대결 구도를 폐지되고 최다 투표자 두명이 캡틴이 되어 선수를 선발하였다. 팀이름도 팀 ○○ vs 팀 △△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동부와 서부 콘퍼런스 각 12명으로 구성된 올스타 선발 과정은 예전과 동일하였다.
  • 2020년 올스타전은 1월 26일 헬리콥터 추락사고로 사망한 코비 브라이언트와 딸 지아나 브라이언트를 추모하기 위해서 팀 르브론은 지아나의 등번호인 2번을 착용하고, 팀 야니스는 코비의 등번호인 24번을 착용하였다. 또한 3쿼터가 끝날 때 리드한 팀의 점수에 브라이언트의 등번호 '24'를 더해 4쿼터 목표 점수가 설정되었는데 예를 들어 3쿼터가 100-95로 끝났다면, 4쿼터 목표 점수는 124점이 되며, 4쿼터는 시간 제한 없이 이 점수를 두 팀 중 한 팀이 달성하면 종료되었다. 이 시즌을 기점으로 타겟 스코어 룰이 정식화 되어 올스타전의 4쿼터는 타겟 스코어 제도로 치러진다.
  • 2020년 올스타전 경기부터 MVP 명칭이 코비 브라이언트 어워드로 변경되었다.


5.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편집]


연도날짜결과경기장개최팀개최지MVP소속팀
19942월 12일피넘즈 74, 센세이션스 68타깃 센터미네소타 팀버울브스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앤퍼니 하더웨이올랜도 매직
19952월 11일화이트 83, 그린 79 (OT)아메리카 웨스트 아레나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에디 존스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962월 10일동부 94, 서부 92알라모돔샌안토니오 스퍼스텍사스 주 샌안토니오데이먼 스타더마이어토론토 랩터스
19972월 8일동부 96, 서부 91건드 아레나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앨런 아이버슨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19982월 8일동부 85, 서부 80매디슨 스퀘어 가든뉴욕 닉스뉴욕 주 뉴욕지드루나스 일가우스카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1999NBA 파업.
개최지: 퍼스트 유니언 센터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20002월 11일루키 92, 소포모어 83 (OT)더 아레나 인 오클랜드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엘튼 브랜드시카고 불스
20012월 10일소포모어 121, 루키 113MCI 센터워싱턴 위저즈워싱턴 D.C.월리 저비악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022월 9일루키 103, 소포모어 97퍼스트 유니언 센터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제이슨 리차드슨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20032월 8일소포모어 132, 루키 112필립스 아레나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랜타길버트 아레나스
20042월 13일소포모어 142, 루키 118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아마레 스타더마이어피닉스 선즈
20052월 18일소포모어 133, 루키 106펩시 센터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카멜로 앤서니덴버 너기츠
20062월 17일소포모어 106, 루키 96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안드레 이궈달라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20072월 16일소포모어 155, 루키 114토머스 & 맥 센터-네바다 주 패러다이스데이비드 리뉴욕 닉스
20082월 15일소포모어 136, 루키 109뉴올리언스 아레나뉴올리언스 호네츠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대니얼 깁슨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092월 13일소포모어 122, 루키 116US 에어웨이스 센터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케빈 듀란트오클라호마시티 선더
20102월 12일루키 140, 소포모어 128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댈러스타이릭 에반스새크라멘토 킹스
20112월 18일루키 148, 소포모어 140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존 월워싱턴 위저즈
20122월 24일팀 척 146, 팀 샤크 133암웨이 센터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카이리 어빙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132월 15일팀 척 163, 팀 샤크 135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케네스 페리드덴버 너기츠
20142월 14일팀 힐 142, 팀 웨버 136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안드레 드러먼드디트로이트 피스톤즈
20152월 13일팀 월드 121, 팀 USA 112바클레이스 센터브루클린 네츠뉴욕 주 브루클린앤드류 위긴스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162월 12일팀 USA 157, 팀 월드 154에어 캐나다 센터토론토 랩터스온타리오 주 토론토잭 라빈
20172월 17일팀 월드 150, 팀 USA 141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자말 머레이덴버 너기츠
20182월 16일팀 월드 155, 팀 USA 124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보그단 보그다노비치새크라멘토 킹스
20192월 16일팀 USA 161, 팀 월드 144스펙트럼 센터샬럿 호네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카일 쿠즈마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202월 15일팀 USA 151 , 팀 월드 131유나이티드 센터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마일스 브리지스샬럿 호네츠
2021코로나 19로 인해 단축시즌되면서 올스타전도 하루만 개최되면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미개최됨.
(개최지 : 스테이트팜 아레나 (조지아 주 애틀랜타))
20222월 18일워디 49, 아이재아 50페이튼 48, 배리 50로키 모기지 필드하우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케이드 커닝햄디트로이트 피스톤스
팀 배리 25, 팀 아이재아 20
20232월 18일비빈트 스마트홈 아레나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호세 알바라도뉴올리언스 팰리컨스
2024뱅커스 라이프 필드하우스인디애나 페이서스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참고사항》
  • 1994년 루키 챌린지 (현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MVP인 앤퍼니 하더웨이는 초대 챔피언전 MVP이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진 팀 선수가 MVP를 수상하였다.
  • 1994년부터 2011년까지 경기명칭이 루키 챌린지였다.
  •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루키팀(1년차)과 소포모어팀(2년차)의 대결로 변경되었다.
  • 최연소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MVP는 2012년 MVP인 카이리 어빙(19세 338일)이다.
  • 최고령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MVP는 2018년 MVP인 보그단 보그다노비치(25세 182일)이다.
  • 2010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카우보이 스타디움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2012년, 2013년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는 찰스 바클리(팀 척)와 샤킬 오닐(팀 샤크)의 드래프트에 따라 나뉜 20명의 1, 2년차 선수들이 기량을 겨루는 경기로 변경되었다.
  • 2014년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는 크리스 웨버(팀 웨버)와 그랜트 힐 (팀 힐)의 드래프트에 따라 나뉜 20명의 1, 2년차 선수들이 기량을 겨루는 경기로 변경되었다.
  • 201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 역사상 처음으로 뉴욕과 브루클린이 공동개최한다. 올스타 게임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는 팀 USA(미국 출신 유망주)와 팀 월드(비미국 출신 유망주)로 나뉜 20명의 1, 2년차 선수들이 기량을 겨루는 경기로 변경되었다.
  • 2022년 라이징 스타스 챌린지는 NBA 창설 75주년 특집으로 NBA 올타임 75인에 선정된 레전드 네 명(릭 베리,제임스 워디,아이재이아 토마스,게리 페이튼)이 감독으로 이끄는 네 팀의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준결승은 50점, 결승은 25점, 합계 75점 내기 경기로 펼쳐졌다.
  • 라이징 스타스 MVP를 최다 배출한 팀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1998년, 2008년, 2012년)로 3명의 라이징 스타 MVP를 배출했다.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는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루키 챌린지 포함) 역사상 최초로 2년 연속 (2002년, 2003년) MVP를 배출했다.


6. 슬램 덩크 콘테스트[편집]


연도경기장개최팀개최지우승자소속팀
1984맥니콜스 스포츠 아레나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래리 낸스피닉스 선즈
1985마켓 스퀘어 아레나인디애나 페이서스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도미니크 윌킨스애틀랜타 호크스
1986리유니언 아레나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주 댈러스스퍼드 웹
1987시애틀 센터 콜리시엄시애틀 슈퍼소닉스워싱턴 주 시애틀마이클 조던시카고 불스
1988시카고 스타디움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
1989더 슈미트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케니 워커뉴욕 닉스
1990마이애미 아레나마이애미 히트플로리다 주 마이애미도미니크 윌킨스애틀랜타 호크스
1991샬럿 콜리시엄샬럿 호네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디 브라운보스턴 셀틱스
1992올랜도 아레나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세드릭 세발로스피닉스 선즈
1993델타 센터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해롤드 마이너마이애미 히트
1994타깃 센터미네소타 팀버울브스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아이재이아 라이더미네소타 팀버울브스
1995아메리카 웨스트 아레나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해롤드 마이너마이애미 히트
1996알라모돔샌안토니오 스퍼스텍사스 주 샌안토니오브렌트 배리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1997건드 아레나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코비 브라이언트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98개최되지 않다.
(개최지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주 뉴욕))
1999파업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다.
(개최지 : 퍼스트 유니언 센터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2000더 아레나 인 오클랜드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빈스 카터토론토 랩터스
2001MCI 센터워싱턴 위저즈워싱턴 D.C.데스몬드 메이슨시애틀 슈퍼소닉스
2002퍼스트 유니언 센터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제이슨 리차드슨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2003필립스 아레나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랜타
2004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프레드 존스인디애나 페이서스
2005펩시 센터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조시 스미스애틀랜타 호크스
2006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네이트 로빈슨뉴욕 닉스
2007토머스 & 맥 센터-네바다 주 패러다이스제랄드 그린보스턴 셀틱스
2008뉴올리언스 아레나뉴올리언스 호니츠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드와이트 하워드올랜도 매직
2009US 에어웨이스 센터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네이트 로빈슨뉴욕 닉스
2010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댈러스
2011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블레이크 그리핀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12암웨이 센터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제레미 에반스유타 재즈
2013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테렌스 로스토론토 랩터스
2014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폴 조지
테렌스 로스
존 월
인디애나 페이서스
토론토 랩터스
워싱턴 위저즈
2015바클레이스 센터브루클린 네츠뉴욕 주 브루클린잭 라빈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16에어 캐나다 센터토론토 랩터스온타리오 주 토론토
2017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글렌 로빈슨 3세인디애나 페이서스
2018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도노반 미첼유타 재즈
2019스펙트럼 센터샬럿 호네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하미두 디알로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20유나이티드 센터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데릭 존스 주니어마이애미 히트
2021스테이트팜 아레나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주 애틀랜타앤퍼니 사이먼스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2022로키 모기지 필드하우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오비 토핀뉴욕 닉스
2023비빈트 스마트홈 아레나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맥 맥클렁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2024뱅커스 라이프 필드하우스인디애나 페이서스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참고사항》
  • 2008년부터 투표제로 변경되었다.(2012년에는 트위터까지 확대하였다.)
  • 역대 최다 우승한 선수는 네이트 로빈슨으로 3회(2006년, 2009년, 2010년) 우승했다.
  • 역대 최다 참가한 선수는 클라이드 드렉슬러 (1984년, 1985년, 1987년, 1988년, 1989년)와 도미니크 윌킨스 (1984년, 1985년, 1986년, 1988년, 1990년)으로 5회 참가했다.
  • 역대 우승자를 최다 배출한 팀은 애틀랜타 호크스 (1985년, 1986년, 1990년, 2005년)와 뉴욕 닉스 (1989년, 2006년, 2010년, 2011년)로 4명의 우승자를 배출했다.
  • 2년 연속 우승한 선수는 마이클 조던 (1987년, 1988년), 제이슨 리차드슨 (2002년, 2003년), 네이트 로빈슨 (2009년,2010년), 잭 라빈 (2015년, 2016년)으로 4명이다.
  • 역대 최연소 우승자는 1997년 우승자인 코비 브라이언트 (18세 169일)이다.
  • 역대 최고령 우승자는 1990년 우승자인 도미니크 윌킨스 (30세 29일)이다.
  • 198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후지어 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마켓 스퀘어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 1987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킹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시애틀 센터 콜리시엄에서 개최되었다.
  • 1989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애스트로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더 슈미트에서 개최되었다.
  • 2010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카우보이 스타디움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2014년에는 개인전이 아닌 팀 간 대결로 바뀌었으며 컨퍼런스별로 총 3명이 나와 두 팀은 각각 프리스타일 라운드와 배틀 라운드로 나눠서 치르게 되었다. 프리스타일 라운드는 90초간 3명이 자유롭게 덩크슛을 하는 라운드이며 동부 팀이 먼저 하면 그 다음 서부팀이 하게 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성공하는 덩크슛의 개수는 상관이 없으나. 한 선수는 반드시 1개 이상의 덩크슛을 해야 하며 승자는 심판진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프리스타일 라운드를 이긴 팀은 배틀 라운드의 순서를 먼저 결정할 수 있었다, 배틀라운드는 개인간 대결을 펼쳐서 이긴 선수는 그대로 남고 진 선수는 탈락하는 서바이벌 방식이었으며 세 번을 먼저 이긴 팀이 승자가 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2015년 올스타 게임은 올스타전 역사상 처음으로 뉴욕과 브루클린이 공동개최한다. 올스타 게임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7. 쓰리-포인트 슛아웃[편집]


연도경기장개최팀개최지우승자소속팀결과
1986리유니언 아레나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댈러스래리 버드보스턴 셀틱스30점 중 22점
1987시애틀 센터 콜리시엄시애틀 슈퍼소닉스워싱턴 주 시애틀30점 중 16점
1988시카고 스타디움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30점 중 17점
1989더 슈미트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데일 엘리스시애틀 슈퍼소닉스30점 중 19점
1990마이애미 아레나마이애미 히트플로리다 주 마이애미크레이그 호지스시카고 불스30점 중 19점
1991샬럿 콜리시엄샬럿 호네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30점 중 17점
1992올랜도 아레나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30점 중 16점
1993델타 센터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마크 프라이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30점 중 18점
1994타깃 센터미네소타 팀버울브스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30점 중 24점
1995아메리카 웨스트 아레나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글렌 라이스마이애미 히트30점 중 17점
1996알라모돔샌안토니오 스퍼스텍사스 주 샌안토니오팀 레글러워싱턴 불리츠30점 중 20점
1997건드 아레나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스티브 커시카고 불스30점 중 22점
1998매디슨 스퀘어 가든뉴욕 닉스뉴욕 주 뉴욕제프 호나섹유타 재즈30점 중 16점
1999NBA 파업
(개최지 : 퍼스트 유니언 센터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2000더 아레나 인 오클랜드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제프 호나섹유타 재즈30점 중 13점
2001MCI 센터워싱턴 위저즈워싱턴 D.C.레이 앨런밀워키 벅스30점 중 19점
2002퍼스트 유니언 센터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페자 스토야코비치새크라멘토 킹스30점 중 19점
2003필립스 아레나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랜타30점 중 22점
2004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보션 레너드덴버 너기츠30점 중 18점
2005펩시 센터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퀸튼 리차드슨피닉스 선즈30점 중 19점
2006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디르크 노비츠키댈러스 매버릭스30점 중 18점
2007토머스 & 맥 센터-네바다 주 패러다이스제이슨 카포노마이애미 히트30점 중 24점
2008뉴올리언스 아레나뉴올리언스 호네츠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토론토 랩터스30점 중 25점
2009US 에어웨이스 센터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대쿠안 쿡마이애미 히트30점 중 19점
2010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댈러스폴 피어스보스턴 셀틱스30점 중 20점
2011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제임스 존스마이애미 히트30점 중 20점
2012암웨이 센터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케빈 러브미네소타 팀버울브스30점 중 17점
2013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카이리 어빙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30점 중 23점
2014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마르코 벨리넬리샌안토니오 스퍼스34점 중 24점
2015바클레이스 센터브루클린 네츠뉴욕 주 브루클린스테판 커리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34점 중 27점
2016에어 캐나다 센터토론토 랩터스온타리오 주 토론토클레이 탐슨34점 중 27점
2017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에릭 고든휴스턴 로키츠34점 중 21점
2018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데빈 부커피닉스 선즈34점 중 28점
2019스펙트럼 센터샬럿 호니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조 해리스브루클린 네츠34점 중 26점
2020유나이티드 센터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버디 힐드새크라멘토 킹스40점 중 27점
2021스테이트팜 아레나애틀란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란타스테판 커리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40점 중 28점
2022로키 모기지 필드하우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칼 앤서니 타운스미네소타 팀버울브스40점 중 29점
2023비빈트 스마트홈 아레나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데미안 릴라드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2024뱅커스 라이프 필드하우스인디애나 페이서스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참고사항》
  • 최다 우승한 선수는 래리 버드 (1986년, 1987년, 1988년)와 크레이그 호지스 (1990년, 1991년, 1992년)로 3회 우승했다.
  • 최다 참가한 선수는 크레이그 호지스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로 8회 참가했다.
  • 최다 우승자를 배출한 팀은 보스턴 셀틱스 (1986년, 1987년, 1988년, 2010년)와 시카고 불스 (1990년, 1991년, 1992년, 1997년) 그리고 마이애미 히트 (1995년, 2007년, 2009년, 2011년)로 4명의 우승자를 배출했다.
  • 역대 최연소 우승자는 2013년 우승자인 카일리 어빙 (20세 330일)이다.
  • 역대 최고령 우승자는 2000년 우승자인 제프 호나섹 (36세 286일)이다.
  • 198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후지어 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마켓 스퀘어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 1987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킹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시애틀 센터 콜리시엄에서 개최되었다.
  • 1989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애스트로돔에서,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는 더 슈미트에서 개최되었다.
  • 2010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카우보이 스타디움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1986년 올스타전부터 2013년 올스타전까지 만점은 30점(1점 일반공 20개+2점 머니볼 5개)이었으나 2014년 올스타전부터 만점이 34점(1점 일반공 16개+2점 머니볼 9개)으로 늘어났다.
  • 201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 역사상 처음으로 뉴욕과 브루클린이 공동개최한다. 올스타 게임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2020년 올스타전부터 새롭게 딥쓰리 구역이 생겨나 만점이 40점(1점 일반공 16개+2점 머니볼 9개+3점 듀볼 2개)이 되었다. 5개 구역에 있는 25개의 볼을 던지는 종전 방식에 중앙과 45도 구간 사이에 3점슛 라인보다 약 180c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초록색 듀볼을 성공시키면 3점이 주어지게 되는 방식이다. 딥쓰리는 3점슛 라인보다 약 세 걸음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3점슛을 시도하는 것이다.
  • 2023년 기준 역대 최고득점자는 2021년 1라운드에서 40점 만점에 31점을 기록한 스테판 커리와 2023년 1라운드에서 역시 40점 만점에 31점을 기록한 타이리스 할리버튼이다. 그러나 이는 2020년부터 기존의 공 25개를 던지던 방식이 바뀌어 딥쓰리 위치에 있는 공 2개가 더해진 27개를 던지고 세운 기록이라 기존의 기록들과 좀 케이스가 다르다. 3점슛 콘테스트의 형식은 2013년까지는 공 25개 중 2점짜리 '머니볼' 5개로 총 30점 만점제였고, 2014년부터는 머니볼 갯수가 9개로 늘어나 34점 만점이 되었다. 34점 만점제에서 최고 득점자는 2018년에 28점을 넣은 데빈 부커였고, 30점 만점제에서 최고 득점자는 25점을 넣은 크렉 하지스와 제이슨 카포노였다.
"누가 가장 많은 슛을 넣었나" 기준으로 보면 기존처럼 25개 공을 던지던 시절(2019년까지) 1위는 크렉 하지스로, 타이 기록 두 개를 혼자 갖고 있었는데 1986년과 1991년에 한 라운드에서 21개의 슛을 넣었다. 25개+딥쓰리 2개를 던지는 현재 포맷 기준으로는 위에 언급된 커리가 2021년 대회에서 21개를 넣었는데 기존에 던지던 방식으로 던지는 25개 중에는 20개를, 그리고 딥쓰리 두 개 중 하나를 넣었다.[4]

  • 여담으로 높이 점프하는 점프슈터에게 다소 불리한 대회이기도 하다. NBA선수들은 매우 강한 체력을 지녔지만, 쉬지 않고 짧은 시간에 25개 (2020년부터 27개)를 던져야 하는 특성상 체력 이슈가 아예 없을 순 없기 때문. 이 점이 극명하게 드러난게 초대 대회에서 래리 버드크레이그 호지스의 대결이었는데, 86년 대회에서 점프슈터 하지스는 1라운드에서 무려 25점을 획득했지만 라운드가 갈수록 지친 모습을 보이며[5] 결국 최종 라운드에선 12점에 그쳤고, 반면 세트슛을 쏜 버드는 여유있게 22점을 넣었다.[6] 이 점은 높이 점프하는 레이 알렌도 마찬가지로, 06년 대회나 11년 대회에서처럼 1라운드에서 고득점을 하고도 결승에서 다소 저조한 성적을 낸 적이 여러번 있었다. 이 때문에 3점슛 대회 참가자들을 보면 커리나 클레이 탐슨처럼 평상시 경기에서 쏠 때보다 하체힘을 적게 써서 살짝 점프하거나 아예 세트슛을 쏘는 선수들도 많다. 물론 전체적인 경향이 그렇다는 거지, 제이슨 카포노처럼 점프슛을 쏘면서 안정적인 페이스를 유지한 선수도 있다. 카포노의 경우 알렌처럼 높이 점프하진 않으며, 대회랑 똑같은 형식으로 공 25개를 놓고 연습하는 영상이 여러번 올라왔던 것을 보면 페이스를 잃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를 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8. 스킬즈 챌린지[편집]


연도경기장개최팀개최지우승자소속팀시간
2003필립스 아레나애틀랜타 호크스조지아 주 애틀랜타제이슨 키드뉴저지 네츠35.1초
2004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배런 데이비스 뉴올리언스 호네츠31.6초
2005펩시 센터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스티브 내시피닉스 선즈25.8초
2006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드웨인 웨이드마이애미 히트26.1초
2007토머스 & 맥 센터-네바다 주 패러다이스26.4초
2008뉴올리언스 아레나뉴올리언스 호네츠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데론 윌리엄스유타 재즈25.5초
2009US 에어웨이스 센터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데릭 로즈시카고 불스35.3초
2010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댈러스스티브 내시피닉스 선즈29.9초
2011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스테판 커리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28.2초
2012암웨이 센터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토니 파커샌안토니오 스퍼스32.8초
2013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데미안 릴라드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29.8초
2014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트레이 버크
데미안 릴라드
유타 재즈
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
45.2초
2015바클레이스 센터브루클린 네츠뉴욕 주 브루클린패트릭 베벌리휴스턴 로키츠-
2016에어 캐나다 센터토론토 랩터스온타리오 주 토론토칼 앤써니 타운스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17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뉴욕 닉스-
2018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스펜서 딘위디브루클린 네츠-
2019스펙트럼 센터샬럿 호네츠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제이슨 테이텀보스턴 셀틱스-
2020유나이티드 센터시카고 불스일리노이 주 시카고뱀 아데바요마이애미 히트-
2021스테이트팜 아레나애틀랜타조지아주 애틀랜타도만타스 사보니스인디애나 페이서스
2022로키 모기지 필드하우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재럿 앨런
다리우스 갈랜드
에반 모블리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23비빈트 스마트홈 아레나유타 재즈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조던 클락슨
워커 케슬러
콜린 섹스턴
유타 재즈-
2024뱅커스 라이프 필드하우스인디애나 페이서스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참고사항》
  • 최다 우승한 선수는 드웨인 웨이드 (2006년, 2007년)와 스티브 내시 (2005년, 2010년)로 2회 우승했다.
  • 최다 참가한 선수는 크리스 폴 (2006년, 2007년, 2008년, 2011년)과 토니 파커 (2003년, 2009년, 2012년, 2013년)로 4회 참가했다.
  • 최다 우승자를 배출한 팀은 피닉스 선즈 (2005년, 2010년)와 마이애미 히트 (2006년, 2007년) 그리고 유타 재즈 (2008년, 2014년)로 2명을 배출했다.
  • 역대 가장 빠른 시간에 성공한 선수는 2008년 우승자인 데론 윌리엄스 (25.5초)이고, 가장 늦은 시간에 성공한 선수는 2014년 우승자인 《서부 콘퍼런스 1》트레이 버크, 데미안 릴라드 (45.2초)이다.
  • 역대 최연소 우승자는 2016년 우승자인 칼 앤써니 타운스(20세 90일)이다.
  • 역대 최고령 우승자는 2010년 우승자인 스티브 내시(36세 6일)이다.
  • 2010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카우보이 스타디움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2014년부터 팀 대결로 변경되었으며 두 명이 한 팀을 이루어 릴레이를 하는 방식으로 슛팅스타즈와 마찬가지로 컨퍼런스별로 2팀이 나오고, 컨퍼런스 팀끼리 대결을 치른 후 이들의 승자들이 결승전을 치른다.
  • 201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 역사상 처음으로 뉴욕과 브루클린이 공동개최한다. 올스타 게임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그리고 경기 방식이 토너먼트로 변경되었다.
  • 2022년 올스타전은 팀당 3명이 출전하였으며 3라운드가 진행되는 동안 모든 팀이 동점이 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여 4라운드에서 승부를 가리게 되었고 하프라인 슛을 먼저 성공시킨 팀 캐벌리어스가 우승을 거머쥐었다.

9. 올스타 위크엔드 셀러브리티 게임[편집]


연도결과경기장개최지MVP직업
2002스타즈 100, 써 스트라입스 99-텍사스 주 휴스턴--
2003케니 스미스 앤드 더 제츠 46, 써 찰스 앤드 더 코트 제스터스 43조지아 월드 콩그레스센터조지아 주 애틀랜타--
2004버펄로 브레이브스 60,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 52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저스틴 비버가수
2005팀 너기츠 55, 팀 덴버 54콜로라도 컨벤션 센터콜로라도 주 덴버브라이언 맥나이트
2006클러치시티 팀 37, H-타운 팀 33조지 R. 브라운 컨벤션 센터텍사스 주 휴스턴넬리
2007서부 40, 동부 21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네바다 주 윈체스터토니 포츠기자
2008팀 뉴올리언스 51, 팀 호네츠 50어네스트 엔 모리얼 컨벤션 센터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터렐 오웬스미식축구 선수
2009이스트 선라이즈 60, 웨스트 센셋스 57피닉스 컨벤션 센터애리조나 주 피닉스
2010서부 41, 동부 37댈러스 컨벤션 센터텍사스 주 댈러스
2011동부 54, 서부 49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저스틴 비버가수
2012동부 86, 서부 54오렌지카운티 컨벤션 센터플로리다 주 올랜도케빈 하트영화배우
2013동부 38, 서부 58조지 R. 브라운 컨벤션 센터텍사스 주 휴스턴
2014동부 60, 동부 56어네스트 엔 모리얼 컨벤션 센터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아른 던컨정치인
2015서부 57, 동부 51매디슨 스퀘어 가든뉴욕 주 뉴욕케빈 하트영화배우
2016팀 캐나다 74, 팀 USA 64리코 콜리시엄온타리오 주 토론토윈 버틀러가수
2017동부 88, 서부 59메르세데스-벤츠 슈퍼돔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브랜든 암스트롱전 NBA 선수
2018팀 클리퍼스 75, 팀 레이커스 66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쿠아보가수
2019홈팀 82, 어웨이팀 80보쟁글스 콜리시엄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페이머스 로스코미디언
2020팀 월본 62, 팀 스티븐 A 47윈트러스트 아레나일리노이 주 시카고커먼가수
2021코로나 19로 인해 단축시즌되면서 올스타전도 하루만 개최되면서 올스타 위크엔드 셀러브리티 게임 미개최됨.
(개최지:조지아 주 애틀랜타)
2022팀 월튼 65, 팀 니크 51로키 모기지 필드하우스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알렉스 투상사이클 강사
2023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
2024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참고사항》
  • 2004년부터 2011년까지는 각 쿼터 8분씩 진행되었고, 2012년부터는 각 쿼터 10분씩 진행되었다.


10. 사라진 올스타 위크엔드 이벤트[편집]



10.1.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편집]


연도경기장개최팀개최지우승 팀참가선수시간
2004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데릭 피셔, 매직 존슨, 리사 레슬리43.9초
2005펩시 센터덴버 너기츠콜로라도 주 덴버팀 피닉스숀 매리언, 댄 멀리, 다이애나 터라시28초
2006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팀 샌안토니오토니 파커, 스티브 커, 켄드라 베커25.1초
2007토머스 & 맥 센터-네바다 주 패러다이스팀 디트로이트천시 빌럽스, 빌 레임비어, 스원 캐쉬50.5초
2008뉴올리언스 아레나뉴올리언스 호네츠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팀 샌안토니오팀 던컨, 데이비드 로빈슨, 베키 해먼35.8초
2009US 에어웨이스 센터피닉스 선즈애리조나 주 피닉스팀 디트로이트아론 아플라로, 빌 레임비어, 케이티 스미스58.4초
2010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댈러스 매버릭스텍사스 주 댈러스팀 텍사스디르크 노비츠키, 케니 스미스, 베키 해먼34.3초
2011스테이플스 센터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팀 애틀랜타알 호포드, 스티브 스미스, 코코 밀러70초
2012암웨이 센터올랜도 매직플로리다 주 올랜도팀 뉴욕랜드리 필즈, 앨런 휴스턴, 캐피 폰덱스터37.3초
2013토요타 센터휴스턴 로키츠텍사스 주 휴스턴팀 보시크리스 보시, 도미니크 윌킨스, 스원 캐쉬89초
2014스무디킹 센터뉴올리언스 펠리컨스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크리스 보시, 도미니크 윌킨스, 스원 캐쉬31.4초
2015바클레이스 센터]브루클린 네츠뉴욕 주 브루클린크리스 보시, 도미니크 윌킨스, 스원 캐쉬57.6초

《참고사항》
  • 2010년 팀 텍사스는 텍사스 주를 연고지로 하는 NBA팀과 WNBA팀에서 뛰거나 뛰었던 선수들로 이루어진 팀으로 디르크 노비츠키(NBA 댈러스 매버릭스), 벡키 헤먼(WNBA 샌안토니오 스타스), 케니 스미스 (전 휴스턴 로키츠)로 이루어졌다.
  • 2010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은 카우보이 스타디움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최다 우승한 팀은 팀 보시 (2013년, 2014년, 2015년) 로 3회 우승했다.
  • 최다 참가한 팀은 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9년, 2011년)로 6회 참가했다. (2010년은 팀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와 한 팀으로 참가하여 제외하였다.)
  • 역대 가장 빠른 시간에 성공시킨 팀은 2006년 우승팀인 팀 샌안토니오 (25.1초)이고, 가장 늦은 시간에 성공시킨 팀은 2013년 우승팀인 팀 보시 (89초)이다.
  • 팀 보시 (크리스 보시, 도미니크 윌킨스, 스윈 캐쉬)는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 역사상 최초로 3연패(2013년, 2014년, 2015년)를 달성했다.
  • 2012년부터 우편주문으로 유명해진 미국의 종합유통업체인 시어즈가 후원하면 시어스 슛팅 스타즈로 변경되었다.
  • 2015년 올스타전은 올스타 게임 역사상 처음으로 뉴욕과 브루클린이 공동개최한다. 올스타 게임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슬램 덩크 콘테스트, 쓰리-포인트 슛아웃, 스킬즈 챌린지, 슛팅 스타즈 컴피티션은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10.2. 올스타 레전드 게임[편집]


연도결과개최지
1957서부 38, 동부 52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1964서부 46, 동부 50
1984동부 63, 서부 64콜로라도 주 덴버
1985동부 63, 서부 53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1986동부 44, 서부 53텍사스 주 댈러스
1987동부 43, 서부 54워싱턴 주 시애틀
1988동부 47, 서부 45 (OT)일리노이 주 시카고
1989동부 53, 서부 54텍사스 주 휴스턴
1990동부 37, 서부 36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1991동부 41, 서부 34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
1992동부 38, 서부 46플로리다 주 올랜도
1993동부 58, 서부 45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

10.3. NBA 올스타 vs ABA 올스타 경기[편집]


연도날짜결과경기장관중수개최지MVP소속팀
19715월 28일NBA 올스타 125, ABA 올스타 120애스트로돔16,364텍사스 주 휴스턴월트 프라이저뉴욕 닉스 (NBA)
19725월 25일NBA 올스타 106, ABA 올스타 104나소 베터런스 메모리얼 콜리시엄14,086뉴욕 주 유니언데일밥 레이니어디트로이트 피스톤즈 (NBA)


10.4. H–O–R–S–E 컴피티션[편집]


연도우승자소속팀
1978폴 웨스트팰피닉스 선즈
2009케빈 듀란트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10


11. 참고 자료[편집]


  • 중앙일보 NBA 히스토리 자료(2003): 1화, 2화, 3화

  • I LOVE NBA - 손대범 저/김민석 그림. 루키. 2004. p256~257, 267~26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7:35:04에 나무위키 NBA 올스타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0년 올스타전부터의 명칭. 참고로 코비는 선수 생활 동안 18번의 올스타전에 출전해 4번의 MVP를 수상했다. 이후 코비의 갑작스런 사망 이후 추모의 의미로 지정되었다.[2] 반면 원정팀은 NBA 외과지원팀이 맡는다.[3] 그렇기 때문에 올스타 행사 동안 NBA 정규시즌이 중지되는 이 기간을 All-Star Break라고 부른다. 루키게임이 열리는 금요일부터 슬램덩크 대회 등 다양한 대회가 열리는 토요일, 올스타전 본게임이 열리는 일요일을 통틀어 All-Star Weekend라고 부르는데, 보통 루키게임 바로 직전까지 정규시즌 경기를 잡지 않고 최소 하루 이상 휴식일을 둔다. (당연한게 만약 시즌전에 목요일에 경기를 잡아뒀는데 그 팀의 선수가 금요일 열리는 루키게임에 선발되었다면 그 선수에게 루키게임은 백투백 원정경기가 된다.) 또한 일요일 본경기 이후로도 휴식일을 주기 때문에 올스타나 다른 대회에 아예 참가하지 않는 선수들은 시즌 중 일주일 가까이 꿀맛같은 휴식을 즐길 수 있다.[4] 기존 기록들과 비교가 심히 애매한데, 2019년까지의 포맷은 머니볼 개수는 달라도 어쨌든 같은 위치에서 같은 시간(60초) 이내에 공 25개를 던지는 형식이라 갯수로 비교가 가능했는데, 현재는 시간도 70초로 늘어났고 공도 27개를 던지고 있어서 비교하기가 어렵다. "공 두개를 더 던지니 더 유리한 것 아니냐"고 볼 수 있겠지만 딥쓰리 두 개를 전혀 다른 위치에서 따로 던지는 거라 기존과 달리 리듬이 깨지기도 쉬운 문제가 있어서 유불리를 섣불리 말하기 힘들다.(데빈 부커같은 경우 획득 가능 점수가 6점이나 늘었는데 점수는 오히려 떨어졌다).[5] 오해가 있을까봐 첨언하면 진짜 지쳤다는게 아니라 슛을 쏠 때 영점이 흐뜨러지는 등 페이스를 잃었다는 얘기다. 아무리 하지스가 백업선수라도 NBA선수가 고작 슛 25개 던졌다고 지치진 않는다. 다만 3점슛이 정교한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페이스가 흐뜨러진 상태에선 정확도가 떨어진 것.[6] 위에 언급된대로 공 25개 체제에서 그는 가장 많은 슛을 넣은 슈터였고 19개 연속 성공(21점), 25점 타이 기록 두개 등 화려한 기록을 갖고 있으나, 3연속 우승 시절만 놓고 봐도 결승성적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