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親}}}친할 친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6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シン
일본어 훈독
おや, した-しい, した-しむ, みずか-ら
}}}
표준 중국어
qīn, qì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親은 '친할 친'이라는 한자로, '친(親)하다', '가깝다' 또는 '부모', '직접'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파일:chinhalchin2.jpg
親의 자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친하다
중국어표준어jiè
광동어can1
객가어chhîn
민동어chĭng
민남어chhiⁿ[푸젠] / chheⁿ[푸젠] / chhin[푸젠] / cing1[치우차우]
오어qin (T1)
일본어음독シン
훈독おや, した-しい, した-しむ, みずか-ら
베트남어thân
강희자전에는 1136페이지에 수록되었다.

(볼 견)과 亲[1]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과 음을 나타내는 亲(친)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자검정시험 급수 내에서 '친'이라는 음을 가진 한자는 親이 유일하다.

유니코드에는 U+89AA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木月山山(YDBUU)으로 입력하고, 주음부호로는 ㄑㄧㄣ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위에서도 말했듯이 모든 한자어에 들어가는 ''이라는 글자는 모두 親이다.



3.2. 인명[편집]




3.3.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친하다
    • (도타울 독)
    • (도타울 돈)
    • (두터울 후)
  • 친구


5. 상대자[편집]


  • (소통할 소)[2]
  • /(원수 수)
  • (적 적)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새로울 신)


7. 여담[편집]


파일:nwse-cn-jiantizi-4e5b54d8gw1efamzcdznuj20ff0imdii.jpg
간체자에서는 오른쪽의 (볼 견)이 통째로 사라졌는데, 간화자 반대론자들은 '서로를 살피지(見) 않으면서 어떻게 친하다고 할 수 있는가'라고 주장하며 어원 훼손의 우려를 지적하기 위해 親의 예를 들곤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44:1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푸젠] A B C 방언[치우차우] 방언[1] 이 글자는 親의 간체자로 사용되기도 한다.[2] '친소관계(親疏關係), '친수성(親水性)/소수성(疏水性)'에서 볼 수 있듯이 '친하지 않다'라는 뜻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