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경산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경산시(선거구)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fff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fff
]] 포항시



1. 선거구 정보
2. 선거구 특성
3. 역대 선거 결과
3.1. 지방선거
3.2. 총선
3.2.1. 경산군·청도군
3.2.2. 경산시·경산군·청도군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경산시 CI.svg 경상북도 경산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경산시경산시 전역
도의원경산시1남산면, 남천면, 남부동, 서부1동
경산시2하양읍, 진량읍, 와촌면
경산시3중앙동, 중방동, 서부2동, 북부동
경산시4자인면, 용성면, 압량읍, 동부동

1.1.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산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의회의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국민의 힘|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2석, 시장 소속 정당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석
무소속

1석
재적

15석



2. 선거구 특성[편집]


대구위성도시TK답게 보수 세가 강하다고는 하지만, 경산시 내 지역마다 정치 성향 차이가 생각보다 많이 나고, 인근 대구와도 미묘하게 차이가 난다.

경산시 동 지역, 압량읍, 하양읍, 진량읍의 경우 영남대학교, 대구대학교 등 대학, 산업단지, 신도시, 인근 수성구 시지지구, 동구 안심지구의 영향, 청년층과 외지인 비율이 높다 보니 진보세가 어느 정도 있다. 반대로 경산시 읍면 지역[1]의 경우 대구의 위성도시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농촌 지역의 비율이 높고, 토박이와 고령층의 비율이 높다 보니 경북 남부 지역 내 농촌 지역처럼 보수세가 강하다.

그리고 대경권의 평균보다 젊은 층이 선호하는 정당의 표가 조금 더 많이 나온다는 점도 특징이다. 예를 들면 2016년 20대 총선에서의 정의당, 2017년 19대 대선에서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2018년 7회 지선에서 바른미래당, 2020년 21대 총선에서 국민의당을 예로 들 수가 있다. 19대 대선대경권 지역답게 홍준표 후보가 지지율 1위였기는 했지만 유승민 후보가 경북 최다 득표율을 올린 지역이기도 하다. 유승민이 경산에서는 11.23%로 전국에서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7회 지선에서 바른미래당 광역비례는 경북 평균 8.26%였으나, 경산에서 10.53%를 기록해 경북 최고 기록을 넘어 서울 평균에 근접한 결과를 도출했다. 놀라운 사실은 바른미래당 도지사 후보로 나온 권오을 후보가 안동이 고향이어서 안동 인근에서 득표율이 높게 나왔는데, 그 곳들보다도 비례표가 더 나왔다는 점이다. 물론 경북 북부가 원래 보수세가 강한 것은 감안해야 한다. 21대 총선도 마찬가지로 국민의당이 경북 평균 5.57%에 그쳤지만, 경산 7.29%로 경북 최고 기록을 올렸다. 즉 정의당과 국민의당 등 제3지대나 진보 정당의 득표율이 높은 곳이 경산이다.

만일 경산이 대경권이 아닌 다른 지역이었다면 더불어민주당정의당 쪽으로 표가 더 몰렸을 것이다. 그러나 경산은 대구 생활권으로써 대구시민의 정서에 자연히 강하게 영향을 받는 동네기 때문에 전국 평균보다 훨씬 보수적인 젊은 층이 그나마 선호하는 중도보수 성향의 정당으로 표가 몰린다고 볼 수가 있다.

2022년 20대 대선의 경우 중도 보수에 가장 가까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사퇴하면서 사실상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양자 대결로 진행이 되었고,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도 이전 보수 후보들[2]과 비교하면 성향이 중도에 가까운지라 이전 대선들과 다르게 경북 평균보다 윤석열 후보의 득표율이 높았다. 경북 평균은 72.76%, 경산 평균은 73.37%.

참고로 옛날에는 청도군과 함께 국회의원 선거구를 구성했었지만 2016년 20대 총선부턴 경산시 단독 선거구가 되었고, 파트너를 잃은 청도는 특성상 단독으로는 선거구 구성이 불가능하므로 영천시와 새롭게 붙었다. 이 지역구의 패자친박계 좌장으로 불렸던 최경환 전 의원으로, 17대 국회부터 20대 국회까지 여기서만 내리 4선을 지냈다. 그가 나온 마지막 선거인 2016년 20대 총선에서 경산시 지역구에 출마한 후보는 최경환과 배윤주 후보가 전부였기 때문에 최경환 후보가 69.6%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물론 최경환이 압도적으로 당선되었으나, 배윤주 후보도 경산시 내 진보정당 치고는 높은 득표율을 얻었다.

최경환이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상실하고 불출마한 21대 총선에서도 역시 보수정당인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소속 윤두현 후보가 63.5%로 당선되었다. 오히려 이 때는 보수세의 결집으로 인해 더불어민주당 등 범진보세력의 득표율이 줄어들었다. 20대 총선에서 대구 서구에 출마하려 했으나 서구의 현역 의원인 김상훈이 서구 토박이에 지역구 관리도 잘 하였는데 비해 윤두현서구와 먼 경산 출신이라 친박인데도 경선에서 밀렸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경산군·청도군
13대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이재연초선
경산시·경산군·청도군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영창초선
경산시·청도군
15대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종학초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박재욱재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경환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선
경산시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최경환4선[3][4]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윤두현초선

파일:경산시 CI.svg 역대 경산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5 재보궐2006
무소속한나라당한나라당
최희욱윤영조[5]최병국
20102012 재보궐201420182022
무소속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최병국[6]최영조조현일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최희욱 33.28%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박재찬 24.16%
3위:
[[무소속|
무소속
]]
이재기 14.77%
4위:
[[무소속|
무소속
]]
신의웅 12.01%
5위:
[[무소속|
무소속
]]
전수봉 11.01%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최희욱 68.22%

2위:
[[무소속|
무소속
]]
신의웅 31.77%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윤영조 58.89%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천우 18.15%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윤곤 10.84%
2005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병국 61.83%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천우 22.43%
3위:
[[무소속|
무소속
]]
서정환 15.72%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병국 66.90%

2위:
[[무소속|
무소속
]]
서정환 33.09%
2010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최병국 53.64%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우경 46.35%
2012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최영조 20.35%

2위:
[[무소속|
무소속
]]
황상조 19.85%
3위:
[[무소속|
무소속
]]
윤영조 18.75%
4위: 김찬진 16.33%
5위: 이우경 13.71%
6위: 서재건 10.98%
2014년1위: 최영조 63.78%
2위: 황상조 36.21%
2018년1위: 최영조 55.72%
2위: 김찬진 34.71%
2022년1위: 조현일 53.87%
2위: 오세혁 46.12%
[1] 압량읍, 하양읍, 진량읍은 덜하긴 하다.[2] 이회창, 이명박, 박근혜, 홍준표.[3] 19.07.11. 의원직 상실 (뇌물수수)[4]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5] 04.11.25. 시장직 상실 (정치자금법 위반)[6] 시장직 상실 (뇌물수수 등)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경산시 개표 결과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0,784
(21.24%)
77,048
(78.75%)
- 56,264
(▼57.51)
100,056
(43.37%)
구 경산시
득표율10,807
(21.65%)
39,098
(78.34%)
- 28,291
(▼56.68)
50,802
(38.97%)
중앙동[A]18.20%81.79%▼63.5943.44
동부동[B]22.63%77.36%▼54.7238.29
남부동[C]21.28%78.71%▼57.4242.04
서부1동[D]22.27%77.72%▼55.4538.83
서부2동[E]21.53%78.46%▼56.9339.34
중방동19.74%80.25%▼60.5146.49
북부동[F]22.15%77.84%▼55.6929.90
구 경산군
득표율6,959
(18.95%)
29,750
(81.04%)
- 22,791
(▼62.08)
37,732
(42.49%)
하양읍[G]19.50%80.49%▼60.9842.12
진량읍[H]20.40%79.59%▼59.1939.14
압량읍23.40%76.59%▼53.1836.34
와촌면13.96%86.03%▼72.0650.38
자인면[I]13.41%86.58%▼73.1653.03
용성면15.40%84.59%▼69.1958.60
남산면13.91%86.08%▼72.1750.22
남천면[J]14.13%85.86%▼71.7358.47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26.33%73.66%▼47.32
관외사전투표26.91%73.08%▼46.17
국회의원
선거구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경산시[K][지역구]20.51%79.48%▼58.9740.39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동 지역[L]21.65%78.34%▼56.6838.97
읍 지역[M]20.75%79.24%▼58.4839.45
면 지역[N]14.07%85.92%▼71.8453.44
경산시장 선거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조현일오세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2,273
(53.87%)
44,760
(46.12%)
+ 7,513
(△7.74)
100,057
(43.37%)
구 경산시
중앙동[A]44.77%55.22%▼10.4543.46
동부동[B]45.88%54.11%▼8.2238.31
남부동[C]50.76%49.23%△1.5242.04
서부1동[D]53.33%46.66%△6.6638.83
서부2동[E]55.77%44.22%△11.5539.34
중방동51.81%48.18%△3.6246.49
북부동[F]55.67%44.32%△11.3429.90
구 경산군
하양읍[G]60.99%39.00%△21.9942.11
진량읍[H]60.14%39.85%△20.2939.15
압량읍57.19%42.80%△14.3936.34
와촌면62.54%37.45%△25.0950.38
자인면[I]41.53%58.46%▼16.9353.03
용성면45.06%54.93%▼9.8758.60
남산면42.15%57.84%▼15.6950.22
남천면[J]51.89%48.10%△3.7958.47
후보조현일오세혁격차
거소투표67.57%32.42%△35.15
관외사전투표54.47%45.52%△8.95

20대 대선 경산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0,267
(23.05%)
128,158
(73.37%)
- 87,891
(▼50.32)
176,406
(76.43%)
구 경산시
득표율21,244
(23.06%)
67,718
(73.52%)
- 46,474
(▼50.46)
92,809
(74.36%)
중앙동[A]21.68%74.30%▼52.6179.49
동부동[B]24.09%72.35%▼48.2771.91
남부동[C]23.35%73.34%▼49.9975.91
서부1동[D]23.16%73.31%▼50.1572.66
서부2동[E]22.60%74.52%▼51.9278.93
중방동21.09%75.77%▼54.6879.96
북부동[F]23.79%72.15%▼48.3764.63
구 경산군
득표율13,677
(21.65%)
47,238
(74.78%)
- 33,561
(▼53.12)
63,923
(74.29%)
하양읍[G]22.50%74.06%▼51.5775.65
진량읍[H]23.64%72.30%▼48.6671.22
압량읍25.12%71.05%▼45.9371.60
와촌면15.84%81.18%▼65.3577.61
자인면[I]15.70%81.72%▼66.0278.68
용성면14.73%82.12%▼67.3979.22
남산면14.87%82.22%▼67.3579.88
남천면[J]16.69%80.07%▼63.3883.3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6.75%24.01%▼3.95
관외사전투표31.27%29.61%▼1.66
재외투표55.02%7.15%△38.51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경산시[K][지역구]22.49%74.03%▼51.5574.3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L]23.06%73.52%▼50.4674.36
읍 지역[M]23.62%72.59%▼48.9772.77
면 지역[N]15.60%81.48%▼65.8779.35


3.2. 총선[편집]



3.2.1. 경산군·청도군[편집]



3.2.2. 경산시·경산군·청도군[편집]



3.2.3. 경산시·청도군[편집]



3.2.4. 경산시[편집]


21대 총선 경산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전상헌윤두현이권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7,810
(27.18%)
88,684
(63.75%)
8,704
(6.25%)
- 50,874
(▼36.58)
141,092
(62.88%)
[ 펼치기 · 접기 ]
구 경산시
득표율20,940
(27.77%)
48,119
(63.82%)
4,246
(5.63%)
- 27,179
(▼36.05)
76,297
(60.92%)
중앙동[A]24.79%65.40%6.66%▼40.6164.47
동부동[B]28.03%62.90%5.80%▼34.8858.38
남부동[C]27.09%64.31%5.92%▼37.2261.09
서부1동[D]27.14%64.87%5.24%▼37.7359.36
서부2동[E]29.54%62.87%5.33%▼33.3367.05
중방동25.15%66.06%5.82%▼40.9166.18
북부동[F]29.83%62.07%5.51%▼32.2552.90
구 경산군
득표율12,279
(23.57%)
34,671
(66.57%)
3,668
(7.04%)
- 22,392
(▼43.00)
52,856
(60.85%)
하양읍[G]24.01%65.92%7.46%▼41.9162.24
진량읍[H]25.77%63.00%8.36%▼37.2258.46
압량읍30.03%60.75%6.32%▼30.7256.49
와촌면16.92%75.29%5.91%▼58.3763.39
자인면[I]15.78%76.76%5.15%▼60.9866.26
용성면13.97%75.37%5.97%▼61.4067.85
남산면15.50%76.24%5.60%▼60.7465.84
남천면[J]16.39%74.85%4.66%▼58.4671.65
후보전상헌윤두현이권우격차
거소·선상투표29.37%56.10%11.55%▼26.73
관외사전투표39.61%50.67%6.69%▼11.06
재외투표54.31%38.79%4.31%▼15.52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74,683
(55.20%)
22,289
(16.47%)
8,212
(6.07%)
9,864
(7.29%)
4,142
(3.06%)
+ 52,394
(△38.73)
141,103
(62.85%)
[ 펼치기 · 접기 ]
구 경산시
득표율40,231
(54.71%)
12,376
(16.83%)
4,542
(6.17%)
5,795
(7.88%)
2,308
(3.13%)
+ 27,855
(△37.88)
76,301
(60.93%)
중앙동[A]58.68%16.07%5.55%5.67%2.72%△42.6164.47
동부동[B]53.37%17.40%6.29%7.35%3.13%△35.9758.38
남부동[C]54.63%17.21%6.17%7.38%3.28%△37.4161.10
서부1동[D]55.12%15.86%6.56%8.01%2.86%△39.2659.36
서부2동[E]54.46%17.47%6.07%8.93%3.30%△36.9967.06
중방동58.91%15.73%5.27%6.72%3.03%△43.1866.17
북부동[F]51.39%17.10%6.40%9.61%3.56%△34.2952.91
구 경산군
득표율29,534
(58.57%)
7,485
(14.84%)
2,719
(5.39%)
3,120
(6.18%)
1,316
(2.60%)
+ 22,049
(△43.73)
52,859
(60.85%)
하양읍[G]58.00%14.79%5.81%6.79%2.71%△43.2262.24
진량읍[H]55.51%16.35%6.02%6.32%2.85%△39.1658.47
압량읍52.34%18.55%6.21%7.46%3.34%△33.7956.49
와촌면68.21%10.94%3.82%4.12%1.30%△57.2663.39
자인면[I]68.08%10.88%2.96%4.94%1.86%△57.2066.26
용성면68.42%8.54%3.26%3.46%2.11%△59.8867.85
남산면65.79%10.12%3.70%4.59%2.15%△55.6765.84
남천면[J]65.93%10.57%4.63%5.49%1.00%△54.8171.65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9.66%16.21%6.08%10.13%2.02%△33.45
관외사전투표43.33%21.55%8.47%8.28%4.56%△21.78
재외투표35.00%23.33%6.66%12.50%11.66%△11.67

[A] A B C 법정동 중방동(일부)·삼북동. 경산시청이 있는 원도심[B] A B C 법정동 계양동(일부)·삼풍동·사동·평산동·점촌동·유곡동·여천동·내동·남방동·신천동. 영남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가 있는 동네[C] A B C 법정동 서상동·삼남동·신교동·상방동·백천동. 대신대학교가 있는 동네[D] A B C 법정동 옥곡동·사정동·옥산동(일부)[E] A B C 법정동 중산동·정평동·옥산동(일부)[F] A B C 법정동 조영동·임당동·대정동·대평동·대동·갑제동·계양동(일부). 영남대학교가 있는 동네[G] A B C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일대학교국군대구병원이 있는 동네[H] A B C 대구대학교경산산업단지가 있는 동네[I] A B C 대경대학교경산산업단지가 있는 동네[J] A B C 제2수송교육연대가 있는 동네[K] A B 관외투표 제외[지역구] A B 지역구 국회의원 : 윤두현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L] A B 중앙동, 동부동, 남부동, 서부1동, 서부2동, 중방동, 북부동 (구 경산시)[M] A B 하양읍, 진량읍, 압량읍[N] A B 와촌면, 자인면, 용성면, 남산면, 남천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경산시 문서의 r13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경산시 문서의 r13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1:06:11에 나무위키 경산시/정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