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운

덤프버전 :


>
조선 영의정
인조 ~ 경종
[ 펼치기 · 접기 ]
제101·102대}}}
이원익
제103대}}}
윤방
제104대}}}
신흠
제105대}}}
오윤겸
제106대}}}
윤방
제107대}}}
김류
제108대}}}
이홍주
제109대}}}
최명길
제110대}}}
홍서봉
제111대}}}
이성구
제112대}}}
최명길
제113대}}}
신경진
제114대}}}
심열
제115대}}}
홍서봉
제116대}}}
김류

제117대}}}
홍서봉
제118대}}}
김류
제119대}}}
김자점

제120대}}}
이경석
제121대}}}
이경여
제122대}}}
김육
제123대}}}
정태화
제124대}}}
김육
제125대}}}
이시백
제126대}}}
김육
제127대}}}
이시백

제128대}}}
정태화
제129대}}}
심지원
제130대}}}
정태화

제130대}}}
정태화
제131대}}}
홍명하
제132대}}}
정태화
제133대}}}
허적
제134대}}}
정태화
제135대}}}
허적
제136대}}}
김수흥
제137대}}}
허적

제137대}}}
허적
제138대}}}
김수항
제139대}}}
남구만
제140대}}}
김수흥
제141대}}}
여성제
제142대}}}
권대운
제143대}}}
남구만
제144대}}}
류상운
제145대}}}
서문중
제146대}}}
최석정
제147대}}}
서문중
제148대}}}
최석정
제149대}}}
신완
제150대}}}
최석정
제151대}}}
이여

제152대}}}
서종태
제153대}}}
이유
제154대}}}
서종태
제155대}}}
김창집




권대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좌의정 ]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조선 영의정
권대운
權大運
출생1613년 2월 10일
(음력 1612년, 광해군 4년 12월 21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현 경상북도 안동시)
사망1699년 12월 12일 (향년 86세)
(음력 숙종 25년 10월 22일)[1]
경기도 금천현
본관안동 권씨 (추밀공파)
시회(時會)
석담(石潭)
부모부친 - 권근중(權謹中)
모친 - 전주 이씨 이숙희(李淑姬, 1588 ~ ?)[2]
부인단양 우씨 - 우정(禹鼎)의 딸
자녀장남 - 권위(權瑋)
차남 - 권규(權珪, 1648 ~ 1722)
장녀 - 신양(申暘)의 처
차녀 - 허담(許湛)의 처
3녀 - 전주 이씨 이운징(李雲徵)의 처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남인 출신으로 제2차 예송논쟁송시열을 처형할 것을 주장한 허목, 윤휴에 반대하여 허적과 함께 탁남의 지도자가 되었다.


2. 생애[편집]


예조판서를 지낸 권협의 손자로, 1612년 경상도 안동대도호부(현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아버지 권근중(權謹中, 1586 ~ 1650. 2. 7.)[3]과, 이유혼(李幼渾)의 딸인 어머니 전주 이씨 이숙희(李淑姬) 사이의 4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642년(인조 20) 식년 생원시에 2등 10위로 입격한 뒤 1649년(인조 27) 별시(別試) 문과에 을과 3위로 급제했다. 같은 해 효종 즉위 후 사간원 정언이 되고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청요직이조 정랑을 지냈다. 현종 즉위 후에는 형조, 병조, 예조의 참의를 지낸 뒤 한성부 우윤, 개성 유수를 거쳐 1667년(현종 8) 대사간, 함경도#조선 관찰사가 되었다. 1670년(현종 11) 호조판서, 1673년(현종 14) 형조판서를 거쳐 1674년(현종 15) 우참찬판의금부사가 되었다.

제2차 예송논쟁 후 1674년(숙종 즉위) 예조판서를 거쳐 1675년(숙종 1) 병조판서가 되었고 같은 해 우의정으로 승진했다 얼마 안 되어 좌의정이 되었다. 1679년(숙종 5) 판중추부사로 물러났다.

1680년(숙종 6) 경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파직되고 좌천되었다가 결국 영일(지금의 포항)에 위리안치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다시 집권하자 복귀하여 영의정이 되었다. 이후 궤장을 하사받았으나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다시 파직되고 섬에 안치되었다가 형벌 완화로 경기도 일대에 마련한 셋집으로 들어갔다. 1699년(숙종 25) 죽고 복권되었다.

[1] 세는나이 88세.[2] 이유혼(李幼渾)의 장녀로 족보상 담양군의 6대손이나, 담양군은 자식이 없어 형 계양군의 차남을 양자로 들였기 때문에 실제로는 계양군의 6대손이다.#[3] 음양력 불분명
이 문서의 r1~11 버전에 위키백과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5:15:29에 나무위키 권대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