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돈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민선 7기 의왕시장에 대한 내용은 김상돈(1961) 문서
김상돈(1961)번 문단을
김상돈(1961)# 부분을
, 前 서울메트로 사장에 대한 내용은 김상돈(1950) 문서
김상돈(1950)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김상돈(1950)#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형민
제2대
윤보선
제3·4대
이기붕
제5·6대
김태선
제7대
고재봉
제8대
허정
제9대
임흥순
제10대
장기영
제11대
김상돈
제12대
윤태일
제13대
윤치영
제14대
김현옥
제15대
양택식
제16대
구자춘
제17대
정상천
제18대
박영수
제19대
김성배
제20대
염보현
제21대
김용래
제22대
고건
제23대
박세직
제24대
이해원
제25대
이상배
제26대
김상철
제27대
이원종
제28대
우명규
제29대
최병렬
제30대
조순
제31대
고건
제32대
이명박
제33·34대
오세훈
제35-37대
박원순
제38·39대
오세훈
파일:SEOUL MY SOUL 한글병기.svg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경기도 경성부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민의원 (서울 마포구)
초대초대
김상돈
분리
오성환[A]
이종현[B]
통합
김상돈[A]
함두영[B]
제4-5대
김상돈
[1]
제5대
신상초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마포구 갑)
제2대
오성환
제3대
김상돈
통합
김상돈[A]
함두영[B]
파일:민주당(1955년) 로고_white.png [[파일:민주당(1955년)글씨.png 1960년 지방선거 시도지사 후보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0080> 서울시장 ||<width=25%> 경기지사 ||<width=25%> 강원지사 ||<width=25%> 충북지사 ||
||<gold> 김상돈 ||<gold> 신광균 ||<gold> 박영록 ||<gold> 조대연 ||
||<rowbgcolor=#000080><width=25%> 충남지사 ||<width=25%> 전북지사 || 전남지사 ||<width=25%> 경북지사 ||
|| 김양현 ||<gold> 김상술 || 최의남 ||<gold> 이호근 ||
||<rowbgcolor=#000080><width=25%> 경남지사 || 제주지사 ||
|| 안성수 || 김선옥 ||
||<-5> ||


[A] A B C 마포구 갑[B] A B C 마포구 을[1] 1960년 지방선거 서울 시장 출마로 인한 사퇴.

제11대 서울특별시장
김상돈
金相敦 | Kim Sang-don
파일:TiWVAZXD.jpg
출생1901년 6월 9일
황해도 재령군 북율면
사망1986년 4월 30일 (향년 84세)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직업정치인, 공무원, 기자
재임기간제11대 서울특별시장
1960년 12월 30일 ~ 1961년 5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父 김정연
학력메이지가쿠인 (신학부)
태평양종교대학 (사회사업과)
지역구서울시 마포구 갑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 3, 4, 5
약력재미 대한인 국민회 교육부장
조선일보 취체역 이사
제헌 국회의원 (서울시 마포구/무소속)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제3대 국회의원 (서울시 마포구/민주국민당)
민주당 중앙훈련소장
제4대 국회의원 (서울시 마포구/민주당)
제5대 민의원 (서울시 마포구/민주당)
제11대 서울특별시장
개헌반대투쟁위원회 위원장

1. 개요
2. 일생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wolyo.co.kr/28422_22113_5958.jpg
▲ 최초 민선 서울시장을 지낼 당시 1961년 3.1절 행사에 참석한 김상돈[1]

대한민국의 정치인. 1960년 제11대 서울특별시장으로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 제1, 3, 4, 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2. 일생[편집]


1901년 황해도 재령군 북율면#에서 김정연(金貞淵)의 아들로 태어나 일본 메이지가쿠인[2] 신학부를 졸업했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목사일을 하다가 해방 이후에 귀국했다. 초대, 3대, 4대, 5대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등을 지냈고, 초대 국회의원 재임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책임자가 되었다. 카이저 수염과 국민복 차림이 인상적인 미남으로 키가 크고 훤칠했다. 서울특별시장을 지내다가[3] 5.16 군사정변 이후 정계를 떠났다. 그러다 신민당으로 복귀해 박정희 정권과 대립각을 세웠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신민당 후보로 경기도 수원시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병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10월 유신이 선포될 무렵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하고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파일:11b5ab27-d997-4c.png
노년의 모습

반민특위 책임자로 활동한 것이 나름 유명하다.

1949년에 지프차를 운전하다가 마포에서 어린이를 치어죽인 흑역사가 있다.# 김상돈은 이걸 업무상 과실치사로 공판 청구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죽은 사람을 밀장(남몰래 지내는 장사, 암매장을 의미)과 사망일자를 전일로 소급하여 공문서를 작성한 건 김상돈의 호위기관인 안현모에게 있다고 했다. 1회 공판록.


3. 제헌 국회 활동[편집]


  • 1948년 6월 2일 김준연,백관수과 함께 연락위원으로 뽑혔다.
  • 1948년 6월 16일 연락위원으로서 보고를 하였다.
  • 1948년 8월 5일 반민처벌법 기초위원회 소집책임자로 뽑혔다.
  • 1948년 9월 22일 이동녕 차이석 열사의 장례식에 참석할것이 결정되었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45정계 입문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1945 - 1948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48 - 1949탈당

1949 - 1955입당

1955 - 1961합당[4]

[[무소속|
무소속
]]
1961 - 1967정계 은퇴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7 - 1967정계 복귀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67 - 1969정계 은퇴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9 - 1971정계 복귀

[[무소속|
무소속
]]
1971김대중의 대선 출마를 반대하며 탈당

[[국민당(1971년)|
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71 - 1972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72 - 1986정당 해산
정계 은퇴
사망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48제헌 국회의원 선거서울제8선거구 [A]
[[무소속|
무소속
]]
20,056 (35.94%)당선 (1위)초선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11선거구[5]
5,342 (13.19%)낙선 (2위)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9,835 (52.05%)당선 (1위)재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제12선거구[A]
44,857 (79.52%)3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59,029 (77.66%)4선
19601960년 지방선거서울특별시장217,475 (60.25%)초선[6]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경기제4지역구[7]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26,277 (40.65%)낙선 (2위)

역대 선거 벽보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1] 사진 가운데 콧수염에 국민복을 입은 게 특징이다.[2] 지금은 일본의 사립대학이지만 아직 정식대학으로 인가되지 않았다.[3] 서울시장을 역임할 때, 시청 직원들이 자유당 정권아래에서 부정부패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도둑놈들이라고 부르고 다니고, 인사도 무시하면서 지내다가 시정이 반쯤 마비된 상태였다고 한다.[4] 민주당에 흡수 합당[A] A B 마포구[5] 마포갑구[6] 최초의 민선 서울시장[7] 수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