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명전 이름이 김준연이었던 키움 히어로즈 소속 야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김시우(야구선수) 문서
김시우(야구선수)번 문단을
김시우(야구선수)# 부분을
, 1964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준연(1964) 문서
김준연(1964)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김준연(1964)#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법무부장관.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인
제2대
권승렬
제3대
이우익
제4대
김준연
제5대
조진만


제6대
서상환
제7대
조용순
제8대
이호
제9대
홍진기
제10대
권승렬


장도영 내각


송요찬 내각


김현철 내각

제11대
조재천
제12대
이병하
제13대
고원증
제14대
조병일
제15대
장영순

김현철 내각


제16-18대
민복기
제19대
권오병
제20대
이호

제21대
배영호
제22대
신직수
제23대
이봉성
제24·25대
황산덕



제26대
이선중
제27대
김치열
제28대
백상기
제29·30대
오탁근

제31대
이종원
제32대
정치근
제33대
배명인
제34대
김석휘
제35대
김성기


제36·37대
정해창
제38대
허형구
제39대
이종남
제40대
김기춘


제41대
이정우
제42대
박희태
제43대
김두희
제44대
안우만
제45대
최상엽


제46대
김종구
제47대
박상천
제48대
김태정
제49대
김정길
제50대
안동수


제51대
최경원
제52대
송정호
제53대
김정길
제54대
심상명
제55대
강금실


제56대
김승규
제57대
천정배
제58대
김성호
제59대
정성진
제60대
김경한



제61대
이귀남
제62대
권재진
제63대
황교안
제64대
김현웅
제65대
박상기


제66대
조국
제67대
추미애
제68대
박범계
제69대
한동훈
임시정부 법무부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4대 법무부 장관
김준연
金俊淵 | Kim Jun-yeon


파일:낭산 김준연.jpg

출생
1895년 3월 14일
전라도 영암군 군시면 교리
(現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영암로 1498)[1]
사망
1971년 12월 31일 (향년 76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대저택
본관
김해 김씨

낭산(朗山)
재임기간
제4대 법무부 장관
1950년 11월 23일 ~ 1951년 5월 6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김상경, 어머니 청주 한씨
배우자
김옥성
자녀
장녀 김자옥[1], 차녀 김자향[2], 3녀 김자선[3]
학력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법률학과 독법전공 / 학사)
도쿄제국대학 대학원 (교육학 / 박사)
런던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
베를린 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
종교
유교 (성리학) →불교 →개신교(감리회)
→천주교(세례명: 요셉)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1, 3, 4, 5, 6
경력
조선일보 모스크바 특파원
보성전문학교 강사
동아일보 편집국장
동아일보 주필
한국민주당 상무집행위원
제헌 국회의원 (영암군)
제4대 법무부 장관
제3~5대 국회의원(영암군)
제6대 국회의원(영암군·강진군)
서훈
대통령표창 수훈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건국훈장 애국장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1. 개요
2. 생애
4. 가족
5. 선거이력
6. 대중매체에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 정치인.


2. 생애[편집]


1895년 3월 14일 전라도 영암군 군시면 교리(현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서 향리 김상경과 청주한씨 사이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2]

6세 때부터 서당에서 수학하며 한학을 배우다 1908년 영암보통학교에 입학했고, 동년 4살 연상의 부인 김옥성과 혼인했다. 1910년 영암보통학교를 수석 졸업하고, 한성고등학교(現 경기고등학교)에 들어가 공부하던 중 도쿄제국대학이 최고의 대학이라는 얘기를 듣고 진학을 결심했다.#

한일합방 이후 한성고교에서 이름이 바뀐 경성고등보통학교를 1914년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세이소쿠영어학교(正則英語學校, 현재 일본의 세이소쿠가쿠인고등학교)에 석 달 동안 다니다가 1914년 7월 제6고등학교(現 오카야마대학)에 입학했다. 1917년 제6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법률학과(독법전공)로 진학하여 1920년 졸업하였다. 1921년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연구실 조수로 근무하다가 1922년 독일로 유학하여 1924년까지 베를린대에서 정치학 및 법학을 연구하였다.

1925년 조선일보 모스크바 특파원으로 근무하다가 귀국하여, 1926년 조선공산당 선전부장을 맡았고 1927년 9월부터 11월까지는 안광천의 뒤를 이어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를 맡았다. 1928년 동아일보 편집국장으로 재직할 때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세칭 ML당 사건)이 터지면서 7년 동안 복역하였다. 출감 후 1934년부터 동아일보에서 주필을 지내다 1936년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사임한 뒤, 1937년부터 해방시까지 경기도 연천군 전곡면에서 김성수의 해동농장을 관리하면서 소일하였다.#

8.15 광복 후인 1946년 한국민주당 상무집행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영암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1949년 민주국민당 상임당무위원이 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국민당 류인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법무부장관을 지냈다.[3] 1952년 이긍종 국회의원의 별세로 치러진 연기군 재보궐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범승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영암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6년 민주당 최고위원과 유엔 한국대표를 역임하였다.

1957년 갑자기 이승만 지지를 선언하면서 민주당을 탈당하고, 통일당을 창당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당 후보로 영암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3.15 부정선거에서 부통령에 출마하였다. 같은 해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당 후보로 영암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5.16 군사정변 후인 1963년 자유민주당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남도 영암군-강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4년 박정희 대통령이 한일기본조약 추진 과정에서 일본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하였다는 발언을 하였다가 명예훼손죄로 고발되어, 김대중이 주목받게 된 1964년 국회 필리버스터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중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같은 해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중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윤재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고, 그 후 정계를 은퇴하였다.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3. 제헌 국회 활동[편집]


  • 1948년 6월 2일 김상돈,백관수와 함께 연락위원으로 뽑혔고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30인 으로 뽑혔다.[4]
  • 1948년 6월 8일 연락위원으로서 보고를 하였다.
  • 1948년 6월 8일 국회의원 특별 승차권에 대해서 이야기 하였다.
  • 1948년 8월 4일 국회 의장 투표때 39표,부의장 투표때 59표,74표를 받으며 떨어졌다.
  • 1948년 9월 4일 유엔 총회 정부 파견단의 임명이 절차에 따라 진행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4. 가족[편집]


일반적인 당대 인물들과 달리 13세에 결혼한 4살 연상의 부인 김옥성과 60년을 해로했다. 집안 어른이나 주위 사람들은 낭산에게 아들이 없으니 다른 젊은 여성을 얻어서라도 아들을 낳아 대를 이을 것을 권유했는데, 낭산은 이를 단호하게 거절했다고 한다.#

김옥성과 사이에 딸 셋을 두었는데 장녀 김자옥(화가)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을 역임한 조규찬과 결혼했고, 차녀 김자향(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동창회장)은 사업가 이종만과 결혼했으며, 3녀 김자선(천주교 여신도회 회장)은 사도법관 김홍섭과 결혼했다.#

5. 선거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20선거구)[5]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
당선
초선(무투표 당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13선거구)[6]


18,191 (37.95%)
낙선 (2위)

1952
1952년 재보궐선거 (충남 제3선거구)[7]
-
낙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21선거구)[8]
21,198 (53.07%)
당선
재선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22선거구)[9]

파일:통일당(1957년) 글씨(흰색).png

22,219 (51.99%)
당선
3선
1960
제5대 부통령 선거
249,095 (2.36%)
낙선 (3위)
재선거 결정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22선거구)
14,878 (33.56%)
당선
4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12선거구)[10]

파일:자유민주당1963.png

28,027 (39.76%)
당선
5선
1967
제6대 대통령 선거

[[민중당(1967년)|
]]

248,369 (2.24%)
낙선 (4위)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12선거구)
8,617 (9.70%)
낙선 (3위)


역대 선거 벽보[11]

[ 펼치기 · 접기 ]

파일:6대대선 김준연.jpg


파일:7대총선 김준연.jpg

6대 대선
7대 총선 (전남 12[A])



6. 대중매체에서[편집]


  • 1981년작 MBC 드라마 <제1공화국>에선 배우 최명수가 연기했다.

  • 1985년작 KBS1 대하드라마 <새벽>에선 배우 김진해가 연기했다.


7. 둘러보기[편집]












[1] 김해 김씨 집성촌이다.[2] 이외에 계모 조씨 소생의 이복형제 3남 3녀가 있다.[3] 역대 법무부장관들 중에서는 드물게 법조인이 아닌 법학자 출신 장관이다.[4] 류성갑,김옥주,김준연, 오석주,윤석구,신현돈,백관수,오용국,최규옥,김명인,이종린,이훈구,류홍렬,연병호,서상일,조헌영,김익기,정도영,김상덕,이강우,허정,구중회,박해극,김효석,김병회,홍익표,서성달,조봉암,이윤영,이청천. [5] 영암군[6] 영암군[7] 연기군[8] 영암군[9] 영암군[10] 영암군-강진군[11] 제헌 ~ 제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2:29:51에 나무위키 김준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