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 수치치

덤프버전 :


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1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틀:FC 레드불 잘츠부르크|{{{-1 2022-23 시즌 스쿼드}}}]]
1 만틀 · 2 판데르브렘트 · 3 테르지치 · 4 피옹트코프스키 · 5 오코 · 6 바이두 · 7 카팔도 · 8 카메리
10 수치치 · 11 페르난두 · 14 키에르고르 · 15 디암부 · 17 울머 (C) · 18 비스트룹 · 20 코이타
21 라트코프 · 22 솔레 · 24 슐라거 · 27 구르나 · 30 글루크 · 31 파블로비치 · 33 발케
36 오모레기 · 39 모르갈라 · 40 스테스칼 · 44 티자니 · 70 데디치 · 95 베르나르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게르하르트 스트루버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루카 수치치.webp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No. 10
루카 수치치
Luka Sučić
출생2002년 9월 8일 (21세)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린츠
국적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신체 185cm / 체중 71kg
포지션중앙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주발왼발
등번호FC 레드불 잘츠부르크 - 10번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25번
유스 클럽SV 알코벤 (2009~2012)
유니온 에델바이스 린츠 (2012~2016)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016~2019)
프로 클럽FC 리퍼링 (2019~2020)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020~ )
국가대표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5경기 (크로아티아 / 2021~ )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대회 기록
6. 여담
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크로아티아의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소속 축구선수.


2. 클럽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루카 수치치/클럽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파일:루카 수치치 크로아티아.jpg

자신의 나고 자란 오스트리아, 부모의 국가인 보스니아와 크로아티아를 선택할 수 있었다. 오스트리아 축구협회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대표팀 합류 제안을 시도했으나, 그는 거절했고 크로아티아 유소년 대표팀에서 활약했다.

그리고 2021년 10월, U-21 대표팀에서 맹활약 중이던 수치치는 A대표팀 감독인 달리치 감독의 부름을 받아 A대표팀에 합류했다. 기존의 자원 마테오 코바치치의 징계로 인해 합류하게 되었으며, 이틀 뒤 슬로바키아전을 통해 A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2022년 11월 9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최종 명단에 들었다. 그러나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월드컵을 마무리했다. 수치치가 아직 20살로 월드컵을 뛰기에는 너무 어렸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기술적으로 훌륭한 선수로, 예로부터 양질의 미드필더들이 쏟아져나왔던 크로아티아 선수답게 볼 컨트롤을 비롯한 퍼스트 터치가 매우 안정적이다. 피지컬도 큰 편이라 제공권에서 우위를 점할 수도 있고,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로도 활약할 수 있을 정도의 활동량을 보여준다. 위치선정이 좋고 동료를 보는 시야도 동 나이대에 비해 뛰어나다. 하지만, 가장 돋보이는 장점은 바로 날카로운 왼발 킥에서 시작되는 플레이메이킹이다. 잘츠부르크 이적 후 팀 내 세트피스, 데드볼 키커로 활약하거나 중거리 슛을 시도해 득점도 가능하다.

다만 플레이메이킹을 맡고는 있지만 패스의 질은 생각보다 떨어진다. 때문에 패스를 못하는 건 아닌데 생각보다 위협적인 찬스를 자주 만들어내지는 못하는 편. 또한 어린 선수답게 실수를 하거나 기복이 있고, 피지컬도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기에 몸이 단단하지는 않아서 몸싸움 시에 우위를 점하지 못한다. 또한 왼발 편향적인 플레이를 보인다.

비슷한 선수로는 에밀 스미스 로우, 빌랄 엘 카누스가 있다.


5. 대회 기록[편집]




6. 여담[편집]


  • 수치치의 부모는 보스니아 전쟁을 피해 오스트리아로 피난을 오게 됐고, 그 곳에서 수시치를 낳았다고 한다. 수시치는 오스트리아의 린츠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 아버지와 어머니는 모두 폴란드인이다. 그 외의 가족으로는 여동생이 있다.

  • 상당히 잘생겨서 여성팬이 많다.


7. 같이 보기[편집]


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
2023-24 시즌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조건비고
1파일:독일 국기.svgGK니코 만틀Nico Mantl2000.02.06193cm, 88kg
2파일:벨기에 국기.svgDF이그나스 판데르브렘트Ignace Van Der Brempt2002.04.01187cm, 71kg
3파일:스위스 국기.svgDF브라이언 오코Bryan Okoh2003.05.16187cm, 77kg
4파일:폴란드 국기.svgDF카밀 피옹트코프스키Kamil Piątkowski2000.06.21191cm, 86kg
6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DF샘슨 바이두Samson Baidoo2004.03.31187cm, 78kg
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MF니콜라스 카팔도Nicolás Capaldo1998.09.14177cm, 73kg
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MF디욘 카메리Dijon Kameri2004.04.30181cm, 81kg
10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MF루카 수치치Luka Sučić2002.09.08185cm, 71kg
11파일:브라질 국기.svgFW페르난두Fernando1999.03.01176cm, 72kg
14파일:덴마크 국기.svgMF마우리츠 키에르고르Maurits Kjaergaard2003.06.26186cm, 82kg
15파일:말리 국기.svgMF마마디 디암부Mamady Diambou2002.11.11176cm, 73kg
17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DF안드레아스 울머Andreas Ulmer1985.10.30175cm, 73kg주장
18파일:덴마크 국기.svgMF마스 비스트룹Mads Bidstrup2001.02.25176cm, -kg
20파일:말리 국기.svgFW세쿠 코이타Sekou Koita1999.11.28170cm, 66kg
21파일:세르비아 국기.svgFW페타르 라트코프Petar Ratkov2003.08.18193cm, -kg
22파일:프랑스 국기.svgDF우마 솔레Oumar Solet2000.02.07192cm, 81kg
27파일:프랑스 국기.svgMF뤼카 구르나Lucas Gourna2003.08.05185cm, 78kg
31파일:세르비아 국기.svgDF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Strahinja Pavlović2001.05.24194cm, 84kg
33파일:독일 국기.svgGK알렉산더 발케Alexander Walke1983.06.06189cm, 88kg
36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MF저스틴 오모레기Justin Omoregie2003.09.21191cm, 90kg
39파일:독일 국기.svgMF레안드로 모르갈라Leandro Morgalla2004.09.13186cm
40파일:체코 국기.svgGK아담 스테스칼Adam Stejskal2002.03.28189cm, 88kg
44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MF삼손 티자니Samson Tijani2002.05.17166cm, 63kg
70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DF아마르 데디치Amar Dedic2002.08.19180cm, 67kg
77파일:스위스 국기.svgFW노아 오카포르Noah Okafor2000.05.24185cm, 85kg
95파일:브라질 국기.svgDF베르나르두Bernardo1995.05.14186cm, 76k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GK알렉산더 슐라거Alexander Schlager1996.02.01184cm, 77kg
구단 정보
구단주: 레드불 유한회사 / 감독: 마티아스 야이슬레 / 구장: 레드불 아레나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2월 20일
[각주]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1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1995년 1월 9일 (29세)41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12이보 그르비치
(Ivo Grbić)
1996년 1월 18일 (28세)20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3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1995년 2월 1일 (29세)50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포스 FC
DF2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2000년 4월 2일 (24세)80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3보르나 바리시치
(Borna Barišić)
1992년 11월 10일 (31세)291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5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998년 1월 24일 (26세)4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6데얀 로브렌
(Dejan Lovren)
1989년 7월 5일 (34세)785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19보르나 소사
(Borna Sosa)
1998년 1월 21일 (26세)13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20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2002년 1월 23일 (22세)19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21도마고이 비다
(Domagoj Vida)
1989년 4월 29일 (35세)1004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22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1995년 8월 16일 (28세)270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24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2000년 2월 28일 (24세)4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MF7로브로 마예르
(Lovro Majer)
1998년 1월 17일 (26세)184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8마테오 코바치치
(Mateo Kovačić)
1994년 5월 6일 (30세)913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0루카 모드리치 파일:주장 아이콘.svg
(Luka Modrić)
1985년 9월 9일 (38세)16223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1마르첼로 브로조비치
(Marcelo Brozović)
1992년 11월 16일 (31세)837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13니콜라 블라시치
(Nikola Vlašić)
1997년 10월 4일 (26세)48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15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1995년 2월 9일 (29세)50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25루카 수치치
(Luka Sučić)
2002년 9월 8일 (21세)40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6크리스티얀 야키치
(Kristijan Jakić)
1997년 5월 14일 (27세)50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FW4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1989년 2월 2일 (35세)12333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9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33세)8122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4마르코 리바야
(Marko Livaja)
1993년 8월 26일 (30세)204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16브루노 페트코비치
(Bruno Petković)
1994년 9월 16일 (29세)297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17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1991년 7월 22일 (32세)171파일:스페인 국기.svg CA 오사수나
18미슬라브 오르시치
(Mislav Oršić)
1992년 12월 29일 (31세)272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트라브존스포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5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3:16:44에 나무위키 루카 수치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