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나 소사

덤프버전 : r20230302



1 뮐러 · 2 안톤 (VC) · 3 엔도 (C) · 4 파그노만 · 5 마브로파노스 · 7 쿨리발리 · 8 밀로 · 9 기라시
10 토마스 · 11 J.페레아 · 14 실라스 · 15 슈텐첼 · 16 카라초어 · 17 하라구치 · 20 파이퍼 · 21 히로키
22 퓌리히 · 23 자가두 · 24 소사 · 25 에글로프 · 27 쿠올 · 28 나르티 · 31 디아스 · 32 아마다
33 브레틀로 · 34 베야즈 · 36 울리히 · 37 아이도니스 · 39 카스타나라스 · 42 쇼크 · 44 글라우스
파일:독일 국기.svg 브루노 라바디아 · 파비안 볼게무트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VfB 슈투트가르트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dfl-obj-0028pv-dfl-clu-00000d-dfl-sea-0001k5.png}}}
VfB 슈투트가르트 No. 24
보르나 소사
Borna Sosa

출생
1998년 1월 21일 (25세)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국적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파일:독일 국기.svg


신체[1]
187cm / 체중 79kg
포지션
레프트백, 윙백
주발
왼발
유스 클럽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5~2015)
소속 클럽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5~2018)
VfB 슈투트가르트 (2018~ )
국가대표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3경기 1골[2] (크로아티아 / 2021~ )
등번호
크로아티아 대표팀 - 19번
GNK 디나모 자그레브 - 3번, 35번
VfB 슈투트가르트 - 24번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같이보기



1. 개요[편집]


크로아티아 국적의 VfB 슈투트가르트 소속 축구선수. 주 포지션은 레프트백이다.


2. 클럽 경력[편집]



2.1. GNK 디나모 자그레브[편집]


고향팀 GNK 디나모 자그레브 유스에서 성장했으며 만 17세인 2015년 3월에 NK 자그레브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하였다.

소사는 4시즌간 디나모에서 41경기 6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2. VfB 슈투트가르트[편집]


2018년 5월 14일, VfB 슈투트가르트와 2023년까지 5년 계약을 맺었다.

2021년 5월 7일, 스카이스포츠에서 소사가 독일로 귀화한다는 소식을 밝혔다. #

2021년 5월 13일 밤,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를 통해 FIFA 규정으로 인해 독일 시민권을 취득하더라도 독일 대표팀에 승선할 수 없다고 전했고 이어 소사는 잘못된 결정이었다는 사과를 했다.

2020-21 시즌에 리그 26경기 9도움을 기록하였다. 특히 90분당 크로스 성공 3.3이라는 유럽 5대 리그 전체 2위 스탯을 찍으며, 크로스에 일가견을 드러내고 있다.

2021-22 시즌 리그 개막전 그로이터 퓌르트전에서 크로스 3개로 3도움을 기록했다.

2021-22 시즌 겨울 이적시장때 첼시 FC가 관심 있다고 전했다.

21R 프랑크푸르트전 1-2로 끌려가는 상황에 크로스를 올려 사샤 칼라이지치의 시즌 첫 골을 어시스트하며 팀에 동점에 기여했지만 팀의 패배를 막을 수 없었다.

현재 크리스티안 폴크에 의하면 저번 리즈 유나이티드, 아스톤 빌라에 이어 현재 첼시FC, 아스날 FC, 토트넘 홋스퍼 FC가 그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빌레펠트전은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

독일의 빅클럽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또한 소사를 노리고 있다고 한다.

21-22 시즌 종료 후 맨유에 새로 부임한 텐하흐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진지한 수준의 관심은 아니고 아직은 주시하는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첼시와 지속적으로 링크가 뜨고 있다. 예상 이적료는 €25M.

2022년 7월, 더 선에 따르면 맨체스터 시티 FC도 보르나 소사 영입 경쟁에 합류했다고 한다. 또한 맨시티의 마르크 쿠쿠렐라 영입 가능성이 낮아지자 소사를 대책으로 노리고 있다고 한다.

2022년 여름 이적시장 데드라인을 앞둔 8월 31일,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로빈 고젠스를 보낼 확률이 높은 인테르가 그의 대체자로 소사를 노리고 있다고 한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소사는 크로아티아 대표팀 소속으로 2015 UEFA U-17 챔피언십과 2015 FIFA U-17 월드컵에 참가했다. 2018년 5월에는 러시아 월드컵 32인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2019년과 2021년 UEFA U-21 챔피언십 최종 엔트리에 승선했지만 후자의 대회에는 무릎부상으로 불참했다.

이렇게 크로아티아 연령대 대표팀에 많은 경기를 소화했으나 2021년에 독일로 귀화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크로아티아인들의 많은 비판을 받았고 본인이 사과하기에 이르었다.

그러다 8월에 다음달에 있을 카타르 월드컵 유럽예선 3연전을 앞두고 첫 소집이 되었다. 그리고 1일 러시아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르면서 커리어 기간동안 조국의 유니폼을 입고 뛸 수 있게 되었다.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서는 크로아티아 대표팀의 좌측 풀백 1옵션으로, 16강을 제외한 모든 경기를 선발 출장하여 풀타임 소화했다. 그러나 수비능력은 여전히 처참했고, 본인의 장점이라고 여겨졌던 공격적인 부분에서 심각한 결함을 드러내며, 크로아티아 대표팀의 좌측 공격 활로를 완전히 막아버렸다. 스피드로 상대를 압도하지 못하니 상대를 제치는 과감한 드리블을 전혀 보여주지 못했고, 전방까지 올라가놓고 자꾸 백패스로 공을 돌려야 했으며, 결정적으로 왼발과 오른발을 가리지 않고 시종일관 똥크로스만 올리며 이번 대회 크로아티아의 빈약한 공격력에 크게 일조했다. 이렇게 본인이 왼쪽 공격에서 아무런 도움을 못주다보니 좌측면 윙어로 출장하는 이반 페리시치가 계속 혼자 고립되어 아무것도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실제로 저번 월드컵과 현재 클럽에서 공격적으로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던 페리시치는 상대 수비에 계속 가로막혀 무리한 크로스를 시도하거나, 백패스를 돌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수비적으로도 역시 최악이었다. 조별리그 3차전 벨기에 전에서 날아오는 크로스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며 로멜루 루카쿠 앞에 완벽하게 떨궈주어 실점 위기를 만들었다. 요슈코 그바르디올이 완벽한 태클로 방어하였기에 망정이지 그 전부터 이미 팬들의 비난을 한몸으로 받고 있던 터라 그 골이 들어가 패배했으면 아마 더 심한 비난을 감수했어야 할 것이다. 8강전 브라질 전에서 어느정도 선방하는 듯 하다가 네이마르의 침투를 너무 허무하게 놓치며 연장 전반에 실점을 하게 되었고, 우여곡절 끝에 올라간 4강에서는 메시알바레스에게 요리당하며 다소 굴욕적인 실점까지 제공하고 말았다. 이번 대회 최악의 레프트백이라 봐도 전혀 문제 없는 수준. 옆에 그바르디올이 월드컵 베스트급 활약을 펼쳐서 묻혔지 수비적인 문제 역시 공격 능력만큼 심각했다. 문제는 이 선수 대체로 일본전에 나온 보르나 바리시치는 더 못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공격적인 성향으로, 풀백과 윙백 모두 소화할 수 있다. 좋은 신체조건과 빠른 스피드로 활발하게 치고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드리블과 연계 능력이 준수해서 공이 없을 때의 움직임도 좋은 편이다. 하지만 가장 뛰어난 장점은 바로 크로스 능력으로, 슈투트가르트의 주요 공격 루트로 꼽힐 정도로 날카로운 왼발 킥력을 갖췄다.[3]

대신 공격적인 성향이다 보니 수비력이 상대적으로 아쉽다. 속도 싸움이나 공중볼은 괜찮은 편이지만, 위치 선정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상대에게 공간을 내주는 실수가 나온다. 또한 현재는 덜하지만 슈투트가르트 이적 이후 2시즌 동안은 제대로 뛰지 못하는 유리몸 기질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상술했던 장점은 카타르 월드컵을 기점으로 모두 거품이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경기 내내 말도 안되는 크로스들은 차치하더라도 기본적인 패스조차 제대로 주지 못하며 드리블은 애초에 시도조차 하지 못할정도로 속도적인 측면에서도 전혀 장점을 보여주지 못했다. 4강전 아르헨티나 전에서는 어처구니 없는 수비 실수로 2번째 실점을 허용하는 등 원래 좋지 않았던 수비 역시 개선이 안 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2 월드컵 크로아티아 선수들 중 제일 좋지 않은 폼을 보여주는 선수.

5. 여담[편집]



6. 같이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VfB 슈투트가르트 2022-23 시즌
번호
국적
포지션
이름
영문이름
비고
1
파일:독일 국기.svg
GK
플로리안 뮐러
Florian Müller

2
파일:독일 국기.svg
DF
발데마르 안톤
Waldemar Anton
부주장
3
파일:일본 국기.svg
MF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주장
4
파일:독일 국기.svg
DF
요샤 파그노만
Josha Vagnoman

5
파일:그리스 국기.svg
DF
콘스탄티노스 마브로파노스
Konstantinos Mavropanos

7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탕기 쿨리발리
Tanguy Coulibaly

8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엔조 미요
Enzo Millot

9
파일:기니 국기.svg
FW
세루 기라시
Serhou Guirassy
[A]
1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티아구 토마스
Tiago Tomás
[B]
1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FW
후안 호세 페레아
Juan José Perea

14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FW
실라스 카톰파 음붐파
Silas Katompa Mvumpa

15
파일:독일 국기.svg
DF
파스칼 슈텐첼
Pascal Stenzel

16
파일:독일 국기.svg
DF
아타칸 카라초어
Atakan Karazor

17
파일:일본 국기.svg
MF
하라구치 겐키
Genki Haraguchi

20
파일:독일 국기.svg
FW
루카 파이퍼
Luca Pfeiffer

21
파일:일본 국기.svg
DF
이토 히로키
Hiroki Ito

22
파일:독일 국기.svg
FW
크리스 퓌리히
Chris Führich

23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단악셀 자가두
Dan-Axel Zagadou

2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DF
보르나 소사
Borna Sosa

25
파일:독일 국기.svg
MF
릴리안 에글로프
Lilian Egloff

27
파일:호주 국기.svg
MF
알루 쿠올
Alou Kuol

28
파일:독일 국기.svg
MF
니콜라스 나르티
Nikolas Nartey

32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나우이루 아마다
Naouirou Ahamada

33
파일:독일 국기.svg
GK
파비안 브레틀로
Fabian Bredlow

3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MF
외메르 베야즈
Ömer Beyaz

36
파일:독일 국기.svg
MF
라우린 울리히
Laurin Ulrich

37
파일:독일 국기.svg
DF
안토니스 아이도니스
Antonis Aidonis

39
파일:독일 국기.svg
FW
토마스 카스타나라스
Thomas Kastanaras

42
파일:독일 국기.svg
GK
플로리안 쇼크
Florian Schock

44
파일:스위스 국기.svg
GK
니콜라스 글라우스
Nicolas Glaus

구단 정보
감독: 브루노 라바디아 / 홈 구장: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
[A] 스타드 렌 FC에서 임대[B] 스포르팅 CP에서 임대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1995년 1월 9일 (28세)
4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12
이보 그르비치
(Ivo Grbić)
1996년 1월 18일 (27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3
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1995년 2월 1일 (28세)
5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NK 오시예크
DF
2
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2000년 4월 2일 (23세)
8
0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3
보르나 바리시치
(Borna Barišić)
1992년 11월 10일 (31세)
29
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5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998년 1월 24일 (25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6
데얀 로브렌
(Dejan Lovren)
1989년 7월 5일 (34세)
78
5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19
보르나 소사
(Borna Sosa)
1998년 1월 21일 (25세)
13
1
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20
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2002년 1월 23일 (21세)
19
2
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21
도마고이 비다
(Domagoj Vida)
1989년 4월 29일 (34세)
100
4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22
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1995년 8월 16일 (28세)
27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24
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2000년 2월 28일 (23세)
4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MF
7
로브로 마예르
(Lovro Majer)
1998년 1월 17일 (25세)
18
4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렌 FC
8
마테오 코바치치
(Mateo Kovačić)
1994년 5월 6일 (29세)
91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0
루카 모드리치 파일:captainarmband3.png
(Luka Modrić)
1985년 9월 9일 (38세)
162
2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1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Marcelo Brozović)
1992년 11월 16일 (31세)
83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3
니콜라 블라시치
(Nikola Vlašić)
1997년 10월 4일 (26세)
48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15
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1995년 2월 9일 (28세)
50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25
루카 수치치
(Luka Sučić)
2002년 9월 8일 (21세)
4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6
크리스티얀 야키치
(Kristijan Jakić)
1997년 5월 14일 (26세)
5
0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FW
4
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1989년 2월 2일 (34세)
123
3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9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32세)
81
22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4
마르코 리바야
(Marko Livaja)
1993년 8월 26일 (30세)
20
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16
브루노 페트코비치
(Bruno Petković)
1994년 9월 16일 (29세)
29
7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17
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1991년 7월 22일 (32세)
17
1
파일:스페인 국기.svg CA 오사수나
18
미슬라브 오르시치
(Mislav Oršić)
1992년 12월 29일 (30세)
27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우스햄튼 FC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12월 19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3 10:02:00에 나무위키 보르나 소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VfB 슈투트가르트 공식 프로필[2] 2022년 12월 14일 기준[3] 상술했듯 20-21 시즌에는 90분당 크로스 3.3개를 성공시킬 정도로, 유럽 5대 리그 전체에서 2위 스탯을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