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트리다테스 2세(보스포로스)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아르치에낙스 왕조
초대---
아르치에낙스---
스파르토코스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스파르토코스 1세사티로스 1세셀레우코스레우콘 1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고르기포스스파르토코스 2세파이리사데스 1세사티로스 2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프리타니스에우멜로스스파르토코스 3세파이리사데스 2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스파르토코스 4세레우콘 2세에기에논스파르토코스 5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카마사리에파이리사데스 3세파이리사데스 4세스파르토코스 6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21대---
파이리사데스 5세---
사우마코스 왕조
초대---
사우마코스---
미트리다테스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미트리다테스 1세파르나케스뒤나미스
아산드로스
미트리다테스 2세
미트리다테스 왕조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뒤나미스
아산드로스
뒤나미스
스크리보니우스
뒤나미스
폴레몬 1세
뒤나미스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스푸르고스게파이피리스미트리다테스 3세코티스 1세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레스쿠포리스 1세사우로마테스 1세코티스 2세로메탈케스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에우파토르사우로마테스 2세레스쿠포리스 2세코티스 3세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사우로마테스 3세레스쿠포리스 3세체도스비오스인닌티마이오스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레스쿠포리스 4세파르산제스테이라네스사우로마테스 4세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21대제22대제23대-
토토르시스라담사데스레스쿠포리스 5세-
도우토노스 왕조
초대---
도우토노스---
훈족의 지배
초대제2대--
그로도스무겔--



보스포로스 왕국 미트리다테스 왕조 제4대 군주
Mιθριδάτης | 미트리다테스 2세
제호한국어미트리다테스 2세
그리스어Mιθριδάτης
라틴어Mithridates II
생몰 년도미상 ~ 기원전 44년
재위 기간기원전 47년 ~ 기원전 44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보스포로스 왕국 미트리다테스 왕조 4대 군주.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보스포로스 군주로 선임되었지만 아산드로스에게 폐위되었다.

2. 생애[편집]


폰토스 왕국 제8대 군주 미트리다테스 6세와 갈라티아 출신의 정부 대 아도보기오나의 사생아이다. 여자 형제로 소 아도보기오나가 있었다. 그는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 국가들 사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기원전 59년 아시아 총독을 맡다가 속주민을 약탈한 혐의로 기소된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의 재판 때 기소를 위한 주요 증인 중 한 사람이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에 따르면, 그는 플라쿠스가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걸 눈치채고 갑옷을 입은 채 로마를 돌아다녔다고 한다.

기원전 48년 12월, 율리우스 카이사르알렉산드리아 전쟁에서 위급한 지경에 몰리자 아시아 속주 총독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칼비누스는 그에게 시리아와 킬리키아에서 지원군을 이끌고 카이사르를 도우라고 지시했다. 그는 재빨리 군대를 모아 기원전 47년 1월 육로를 통해 펠루시움으로 이동하여 하루만에 수비대의 완강한 저항을 물리치고 점거한 후 알렉산드리아로 진군했다. 이에 프톨레마이오스 13세는 그를 저지하고자 나일 강 삼각주에 도착한 그를 공격했지만 격파당했다.

카이사르는 알렉산드리아 봉쇄가 풀리자 즉시 도시를 빠져나가 그와 합세했고, 뒤이은 나일 강 전투에서 그의 활약에 힘입어 프톨레마이오스 13세를 무찌르고 클레오파트라 7세를 이집트 파라오로 공인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에 따르면, 그는 이두매인 통치자 안티파트로스로부터 3,000 명을 지원받는 등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유대의 대제사장 요한 히르카노스 2세도 이 원정에 참여했다고 한다.

기원전 47년 젤라 전투에서 소아시아를 침략하던 그의 이복형이자 폰토스 왕국의 왕 파르나케스 2세를 무찌른 후, 카이사르는 자신을 도와준 그에게 보답하고자 보스포로스 왕국의 군주로 임명했다. 그는 즉시 흑해 연안을 따라 이동해 파르나케스 2세를 제거했지만 카이사르로부터 "군주를 시해한 역적"이라는 낙인이 찍혀 왕으로 인정받지 못한 아산드로스뒤나미스 부부를 몰아내고 보스포로스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사건이 벌어지면서 뒷배가 사라지자 아산드로스의 반격을 받고 폐위되었다. 그는 이때 살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6:16:56에 나무위키 미트리다테스 2세(보스포로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