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5

덤프버전 :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펼치기 · 접기 ]

153051
58-1[a]
58-2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파일:부산15신도색.png
파일:부산 버스 15HL.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2. 이용 시 유의할 점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4.4.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5번
기점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주공1단지)종점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4가(남포동)
종점
첫차05:00기점
첫차06:11
막차22:05막차23:15
평일배차출퇴근 6분 / 평시 7분주말배차토요일 8분 / 공휴일 9분
운수사명삼진여객인가대수32대[주말]
노선금곡주공1단지 - 금곡중학교 - 금곡주공4단지 - 율리역 - 벽산아파트 - 와석 - 수정역 - 구포시장 - 구포역 - 북구청 - 모라역 - 동원아파트 -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새벽시장 - 학장교차로 - 구덕고교 - 구덕터널 - 구덕운동장 - 동아대부민캠퍼스 - 영락교회 → 국제시장 → 부산데파트 → 남포동 → 서구청 → 남포주유소[단독] → 영락교회 → 이후 역순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5 노선도.pn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5번
기점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주공1단지)종점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4가(남포동)
종점행첫차22:35기점행첫차23:45
막차22:55막차00:00
배차간격20분 (1일 2회)
운수사명삼진여객인가대수2대
노선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입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파일:busanold15200.jpg
좌석버스가 운행하던 모습. (출처 : 뉴스뱅크)






4. 특징[편집]

















4.1. 가축수송[편집]







4.2. 이용 시 유의할 점[편집]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23242.43
2015년24897.86△ 1655.43
2016년24294.57▽ 603.29
2017년25350.86△ 1056.29
2018년22988.71▽ 2362.15
2019년24135.71△ 1147.00


4.4.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5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구덕로
서구청(충무동) ▼▲ 남포동
보수대로중앙대로
영락교회 ▼▲ 부산데파트
대청로
동아대부민캠퍼스 ▼▲ 영락교회
구덕로
▲ 동대신역
망양로
동아대병원입구 ▼
보수대로
구학초등학교 ▼▲ 구덕초등학교
학감대로
학장입구 ▼▲ 사상전화국
가야대로
대풍주유소 ▼▲ 학장입구
새벽로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신한은행
사상로
덕포초등학교 ▼▲ 덕포시장
삼덕로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덕포초등학교
백양대로
모라1동행정복지센터 ▼▲ 동원아파트
모라로
모라역 ▼▲ 모라동새마을금고앞
사상로
구포삼거리 ▼▲ 북구청
낙동대로
구포시장종점 ▼▲ 구포시장
금곡대로37번길금곡대로
덕천교차로 ▼
금곡대로
금곡주공5단지 ▼▲ 율리역
금곡대로470번길
금곡주공4단지후문 ▼▲ 금곡주공5단지
효열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5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구덕로
서구청(충무동) ▼▲ 남포동
보수대로중앙대로
영락교회 ▼▲ 부산데파트
대청로
동아대부민캠퍼스 ▼▲ 영락교회
구덕로
▲ 동대신역
망양로
동아대병원입구 ▼
보수대로
구학초등학교 ▼▲ 구덕초등학교
학감대로
학장입구 ▼▲ 사상전화국
가야대로
대풍주유소 ▼▲ 학장입구
새벽로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신한은행
사상로
덕포초등학교 ▼▲ 덕포시장
삼덕로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덕포초등학교
백양대로
모라1동행정복지센터 ▼▲ 동원아파트
모라로
모라역 ▼▲ 모라동새마을금고앞
사상로
구포삼거리 ▼▲ 북구청
낙동대로
구포시장종점 ▼▲ 구포시장
금곡대로37번길금곡대로
덕천교차로 ▼
금곡대로
금곡주공5단지 ▼▲ 율리역
금곡대로470번길
금곡주공4단지후문 ▼▲ 금곡주공5단지
효열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
1004[단]
일반
15[단]
59[단]
125[단]
127[단]
128-1[양]
강서구
강서5[단]
북구
김해시
8-1[단]
[단] 단방향 경유 노선 | [양] 양방향 같은 정류소 정차



파일:동아대학교 엠블럼.jpg 동아대학교 경유버스
[ 펼치기 · 접기 ]

승학캠퍼스
급행10011005
일반21668123
126138168338
마을사하10[A]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일반8[C]15[C]16[B][C]40[B][C]
67[C]81[B][C]161[C]167[B][D]
190[B][D]
마을서구1[B][C]서구3[B][C]서구3-1[B][C]서구5[A]
중구1[D]
부민캠퍼스
일반15164070
81123126[B]161
190
[A] 교내 진입 / [B] 단방향 경유 / [C]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정류소 / [D] 동아대병원 정류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03:55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말] 토요일 26대 / 공휴일 23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1] 현 북부면허시험장. 현재 이 구간에는 59번이 대신 다닌다. 지금 15번은 모라역교차로에서 좌회전 후 우신아파트 앞으로 다시 우회전하여 바로 덕포역 방향으로 빙 돌아가기 때문에 북부시험장을 미경유하는 반면 59번은 모라역에서 모덕역으로 직진하기 때문에 서부터미널은 59번이 더 빨리 간다.[2] 현 동아대 부민캠퍼스[3] 이 노선이 워낙 빗자루 노선이라 사람들 체감 배차간격은 거의 똑같을 것이다.[4] 승객수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15번 235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5] 1위는 37대인 68번, 2위는 35대인 31번이다. 원래 1위는 운행대수가 45대였던 68번이었다가 2015년 11월 28일168번 분리 신설로 인해 30대로 감차되었다가 7대 증차되어 37대로 운행중이다. 그 후 31번과 33번이 공동 1위였으나 2017년 11월 4일부로 31번의 인가대수가 39대에서 35대로 감차되고, 33번마저 2021년 9월 4일부로 33-1번이 신설되면서 25대로 감차되는 바람에 이 타이틀은 15번으로 넘어갔다가 68번의 증차로 68번으로 다시 넘어왔다.[6] 운행거리가 이보다 짧은 51번(49.4km)이 왕복운행시간이 200분 남짓 된다. 허나 전체 선형만 놓고 보면 그렇게 굴곡 구간이 많은 것도 아니다.[7] 2017년에 다시 4대 증차가 이루어졌다.[8] 회동동으로 연장된 43번이랑도 노선길이가 비슷해졌는데 배차간격은 2배 이상 차이난다. 물론 수요가 적은 노선은 아니지만 인가대수가 턱없이 부족하다.[9] 굳이 쉴 곳을 하나 추가하자면 왕복 6차로에 차량 통행량이 적은 남포주유소 정류장 부근이 있다. 다만 통행량이 적어서 불법 주·정차 차량이 많은데다 편도 순환 회차구간이라 승객 편의를 위해 휴식 없이 바로 금곡동으로 돌아간다.[10] 이 노선은 15번과는 달리 아예 휴식할 만한 장소가 없다.[11] 대티터널에서 부산터널로 넘어가려는 차량들로 인하여 헬게이트를 방불케 한다. 실제로 대티터널 - 부산터널 간 신호유지 시간이 구덕운동장 - 부민동 간 신호유지 시간보다 길다.[12] 국제시장과 보수동책방골목이 있어 유동 인구가 매우 많을 뿐더러 왕복 4차로에 불법 주정차가 극심한 지역이라 정체가 빈번히 발생한다.[13] 참고로 1994년 9월부터 도시철도 개착공사로 인해 사상로 일대를 1년 간 전면통제 시켰고 1996년~97년경 노면복구 공사로 인해 한번 더 전면통제를 시켰다.[14] 예를 들어 ~~~가나요? 라고 물어보면 짜증스럽게 말하시는 경우도 있다. 같은 회사 노선인 59번도 마찬가지다.[15] 서울로 치면 서울 버스 141의 도봉산역~염곡동 구간 소요시간과 비슷하다. 실제로 운행거리도 비슷하고 직선노선이나 이동소요시간은 이 노선이 훨씬 짧다.[16] 구포시장 쪽에서 금곡동으로 갈려면 126번도 화명동에서 돌아 가기 때문에 금곡대로만 가는 59번이 낫다. 다만, 충무동 쪽은 126번을 타고 가는게 낫다. 왜냐하면 59번도 부산역으로 돌아 가기 때문이다.[17] 신성여객 23번, 삼성여객 54번, 동원여객 81번도 마찬가지다.[18] 구포 ↔ 금곡 구간은 59번이나 111번, 126번을 이용하자. 111번은 배차간격이 많이 길고, 59번은 배차간격이 15번보다는 길기 때문에 저속주행은 하지 않는다. 특히 126번은 같은 회사인 것이 믿기지 않게 매우 밟아댄다(..) 사상~금곡 구간 이동의 경우 편하게 2호선을 타고 가자.[19] 백산기념관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