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41

최근 편집일시 :



파일:IMG_1659.jpg

파일:attachment/141_1.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4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41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입구)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능인선원)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5
막차
22:40
막차
00:05
평일배차
5~12분
주말배차
5~12분
운수사명
아진교통
인가대수
36대[1]
노선
도봉산입구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종암경찰서 - 고려대역.고대앞삼거리 - 경동시장 - 마장축산물시장 - 성동구청 - 뚝섬서울숲 - 성수대교 - 도산공원.호림아트센터 - KT강남지사 - 강남세브란스병원 - 매봉터널 - 현대아파트.경남아파트 - 도곡교회.인바디빌딩 - 도로교통공단서울지부.KOTRA


2. 개요[편집]


아진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4.1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 2016년 2월 11일부터 평일 운행횟수가 2회 증회되었다.관련 공문

  • 2017년 12월 1일부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6회씩, 토요일의 경우 7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로 인한 배차간격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 2018년 10월 15일부터 평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늘어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4회 감회되었다. 단, 이번에도 실질적인 배차간격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19년 10월 1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 1대가 단축운행차량으로 전환되고, 그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2월 1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평일의 경우는 증편되고, 토요일/공휴일의 경우는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의 경우엔 1회 증회되고,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9회/7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다.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부로 예비차 3대 중 1대와 평일 단축운행차량 3대 중 1대가 감차되었다.[2]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43회에서 141회로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지사항(공문 1) 관련 공문 2


4. 특징[편집]


  • 노선 선형이 도봉산입구삼거리부터 구룡터널사거리까지 51번 서울특별시도를 따라 100% 직진만 하며, 도봉산역입구삼거리, 구룡터널사거리 및 회차지점으로 1왕복당 회전이 단 5회뿐. 부산에 99번이 있다면, 서울에는 이 노선이 있다.

  • 구룡터널사거리부터 성수대교까지 언주로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유하지만 수요는 많지 않다. 애초에 지하철역들이 언주로를 빗겨간 위치에 소재해서, 언주로 쪽 정류소에서 전철로 환승하려면 평균 500m 정도는 걸어가야 한다. 애초에 왕십리역 이남엔 직접연계 역이 없다.[3]

  • 도봉로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여 나름 빨리 갈 수 있지만 그 이남 구간인 종암로, 고산자로, 언주로, 양재대로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없다보니 차량통행이 조금만 많아져도 헬게이트가 쉽게, 자주 열린다.[4] 강남세브란스병원 앞 매봉터널은 길이가 짧음에도 통과에 10분 이상 걸리기도 하고, 성수대교남단 역시 상습 정체구간이며 경동시장 사거리는 너무 신호가 짧아 늘 헬게이트다. 주말에는 도봉산 등산객이 많아 장시간 서서 가야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으니 이용에 참고하자.

  • 회차지점인 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 근처에 여러 대가 줄지어 쉬고 있어 회차 직후의 배차간격은 10분 정도로 상당히 넓다. 하지만 언주로 중간 지점이 지나면 간격은 줄어든다.[5]

  • 도봉로 구간에서 도봉소방서, 방학사거리 정류소는 중앙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소가 아닌 가로변에 정차한다. 당초에 도봉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개통과 함께 기존 신도봉시장 가로변 정류소가 폐쇄되었고 신도봉사거리 다음이 도봉소방서였기 때문에 정류소간 간격이 너무 멀었었다. 그래서 버스 이용 불편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이 노선만 가로변으로 빼줬던 것인데, 이후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북부역 중앙 정류소가 신설되었음에도 해당 구간에서 이 노선의 가변 정류장 정차를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6]

  • 경유하는 대학이 고려대 한 곳뿐이라, 저녁에 염곡동 방향으로 이 버스를 타고 가는 학생이 있다면 대부분 고대생이다. 서늘한 계절에는 같은 버스 안에서 고잠 입은 학생 여러 명을 볼 수 있다.

  • 매봉터널을 지나는 유일한 노선이라[7] 개포동, 매봉역 쪽에선 이 노선을 타는게 여러 모로 편하다. 매봉터널이 공기가 정말 안 좋은데다 가끔 터널 안에서 담배피시는 아재들과 풀페달 밟는 자전거들 때문에 걷기엔 상당히 불편하고, 위험하다.

  • 경동시장, 마장축산물도매상을 경유하는 관계로 148번 못지 않게 매 운행횟수마다 노인 탑승률이 마을버스 뺨칠정도로 높은 노선이다. 대낮엔 물론이고, 새벽이나 밤에도 경동시장이나 마장축산물도매상으로 새벽장이나 저녁장을 보고 오는 할머니들이 큰 구르마를 끌고 몰려들다보니 경동시장 구간 전후로 엄청난 혼잡률을 자랑한다. 심지어는 앉을 자리도 없어 서서 가는 할머니들도 상당히 많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4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2,574명
-
2014년
21,936명
▽ 639
2015년
21,634명
▽ 302
2016년
20,723명
▽ 911
2017년
20,336명
▽ 387
2018년
18,913명
▽ 1,423
2019년
18,624명
▽ 289
2020년
15,063명
▽ 3,561
2021년
15,405명
△ 342
2022년
16,677명
△ 1,272
※ 하차 인원 미포함

  • 개포주공1단지의 재건축 영향이 있었는지 하락세가 지속되는 중에 2018년에는 1423명의 승하차량 감소가 발생했다. 개포래미안포레스트가 입주한다면 하락세는 둔화되겠지만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이 끝나는 2024년까지는 하락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역, 방학역, 제기동역[8]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용두역, 왕십리역[A]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왕십리역[A]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왕십리역[A]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역[A]
  • 서울 경전철 동북선: 미아사거리역, 종암경찰서역, 종암역, 고려대역, 제기동역, 마장축산물시장역, 왕십리역
  • 일반 철도역: 왕십리역(ITX-청춘)[A]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8:16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4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33대 / 공휴일 28대 운행[2] 감차분은 모두 N16번으로 이동되었다.[3] 정류장에서 그나마 가까운 역과의 거리는 학동역, 언주역이 약 400m, 압구정역, 선정릉역, 매봉역이 약 500m 그리고 응봉역이 약 600m 정도이다[4] 중앙차로는 애초부터 도봉로 구간 외에는 없다.[5] 가끔은 염곡공영차고지로 들어가서 기사들이 대기하거나 도봉산 차고지에서 충전하지 못한 차량의 경우에는 가스충전도 같이 하고 나오기도 한다.[6] 도봉동 구간에도 가변차로 정류소가 있지만, 버스 이용 불편 문제가 없기 때문에 다른 노선들처럼 중앙차로 정류소에 정차한다.[7] 지금은 N64번도 추가되었다.[8] 경동시장 사거리 하차 후 도보[A] A B C D E 성동구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