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5621

덤프버전 :

>
서울특별시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50125413551155135515[a]
551655175519[a]55225523
55245525552855305531
5535553655375611[a]5615
56165617561856195620
5621[a]5623562556265627
56305633563457125713
5714854185518552856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범일1403.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2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621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삼익아파트)종점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구로디지털단지역)
종점
첫차05:20기점
첫차05:30
막차23:50막차00:00
평일배차6~9분주말배차토요일 6~9분 / 공휴일 7~10분
운수사명범일운수인가대수8대[1]
노선삼익아파트 - 독산동정훈단지 - (→ 독산4동주민센터 → 남문시장입구 →/← 독산초등학교 ← 금천우체국 ←) - 독산고개 - 구로디지털단지역


2. 개요[편집]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45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금천구 마을버스 1-2번이 전신이다.

  • 2000년 12월에 482번 지역순환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5621번으로 바뀌었다. 개편 당시 어린이 요금을 250원으로 받는 등 시내버스지만 마을버스 요금을 받고 다녔다.

  • 2007~2008년 쯔음에 지선버스 차등요금을 징수하기 시작했다. 요금 인상 당시 붙여놨던 안내문은 "우리 버스는 시내버스임에도 그동안 마을버스 요금을 받아왔지만 이제부터 시내버스 요금을 받는다"였다. 단 일반적인 지선버스 요금은 아니고 차등요금 수준으로 인상했으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2019년 8월 21일을 기해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 각각 9회씩, 공휴일 2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토요일의 최대 배차간격은 8분에서 9분으로, 공휴일의 최대 배차간격은 9분에서 11분으로 늘어어났다.관련 공문

  • 2021년 9월 15일을 기해 상세 배차 조정으로 평일과 토요일의 최소 배차간격은 5분에서 6분으로 늘어났고,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11분에서 10분으로 줄었다.(단,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 2022년 1월 9일부터 구로디지털단지역 환승센터가 폐쇄되면서 중앙버스전용차로 상행정류장 옆에 위치한 회차노선 정류장에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시흥4동 주민들의 빛과 소금같은 존재이다. 그래서인지 금천01번, 6637번과 함께 범일운수의 주력 노선 역할을 한다.

  • 개편 초기에 버스 요금이 인상된 탓에 민원이 있었는지 '우리버스는 마을버스가 아닙니다.'라는 홍보문이 붙기도 하였다. 그만큼 지역주민에게는 마을버스로 인식되는 노선이었다. 실제로 순환버스가 도입되기 전인 80년대 초반에도 마을버스로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 노선 길이는 서울 지선버스 중 가장 짧고, 서울 시내버스 중에서도 가장 짧다. 차등지선요금을 적용한다.

  • 대부분의 이용객은 시흥4동 주민들이며, 이 노선이 없으면 지하철역에 가기 힘들다. 독산역금천구청역으로 운행하는 금천08번, 석수역으로 운행하는 금천11번도 있으나, 많은 주민이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2호선을 이용하므로 이 노선이 매우 요긴하게 활용된다.

  • 대당 승하차량만 보면 대형버스를 투입하는 게 맞겠지만, 기점인 삼익아파트 인근이 회차하기가 매우 어려운 환경인지라 중형 버스를 투입한다. 그래서 범일운수 노선들 중 마을버스와 8551번, N51번을 제외한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저상버스가 없는 노선이다. 2023년, 저상버스 의무화로 인한 실사 검증에서 전기충전소가 미설치된 관계로 전기 충전시설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에서 예외로 인정받았다.

  • 중앙버스전용차로는 구로디지털단지역 회차노선 정류장만 경유한다. 그래서 출퇴근시간대에는 시흥대로에서 일반 차량들과 함께 거북이 운행하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일부 차량은 독산역 차고지와 본사에서 주박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2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8,489명-
2014년8,230명▽ 259
2015년8,208명▽ 22
2016년7,978명▽ 230
2017년7,692명▽ 286
2018년7,416명▽ 276
2019년7,357명▽ 59
2020년5,719명▽ 1,638
2021년5,757명△ 38
2022년5,452명▽ 305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21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구로디지털단지역
21002
독산고개
18146
독산고개
18147
독산사거리앞
18148
남문시장.청춘삘딩
18149
금천우체국.독산1동주민센터
18150
남문시장입구
18225
독산초등학교
18187
독산동성당앞
18190
-독산4동주민센터
18188
독산동정훈단지
18184
독산동정훈단지
18185
남부여성발전센터앞
18657
남부여성발전센터앞
18658
한울중학교
18741
한울중학교
18740
삼익아파트 · 삼익아파트앞
18221 · 18220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 펼치기 · 접기 ]
103104172774
0017101410171114
1119112211261129
1130113111331136
1137114111421143
1162116412211226
2113211421154318
4433551956216617
6624664966547024
77268003
{{{-2 비고 * 2023년도 기준 38개 노선 * 시설개량 및 의견수렴 후 2024년도 재검토 예정
* 4318번은 풍납동 소속 차량만 해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06:45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562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휴일 7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