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r7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Seoul Metro 2000 series (first generation)
파일:2545.jpg
구 245편성
차량 정보
열차 형식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6량 1편성 / 10량 1편성 / 4량 1편성
생산량90량
사용량3개 편성 18량
운행 노선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신정지선 한정)
도입시기1980 / 1982 / 1986, 1990 / 1993
제작사파일:일본차량제조 로고.svg / 파일:미쓰비시 중공업 로고.svg
파일:대우중공업 로고.svg / 파일:현대정공 로고.png / 파일:한진그룹 심볼.svg
소유기관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운영기관
차량기지신정차량기지
최종 퇴역 연도2023년 3월 31일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19,500㎜
전폭3,120㎜
전고3,750㎜
궤간1,435㎜
차중Mc, M3: 41.5t
M: 40.5t
M4: 38.5t
T: 32.0t
급전방식직류 1,500V 가공전차선,강체가선
신호방식Nippon Signal ATS-S2
제어방식직병렬조합 저항제어
(히타치 MMC-HTB-20R형)
동력장치직류 직권전동기
(미쓰비시 MB-3268-A형)
제동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
최고속도영업90㎞/h
설계110㎞/h
가속도3.0 ㎞/h/s
감속도상용3.5 ㎞/h/s
비상4.5 ㎞/h/s
MT 비4M2T / 6M4T / 4M0T
1. 개요
2. 편성
3. 상세
4. 분류
4.1. 1차분(1980)
4.2. 2차분(1982)
4.3. 3차분(1986, 1990)
4.4. 4차분(1993)
4.5. 개조저항(2005)
5. 기타




1. 개요[편집]


파일:2개통열차.png
1단계 구간 개통 기념열차. 사진 속 승강장은 스크린도어 설치 전의 성수역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운행되고 있는 전동차다. 한때 본선 구간과 지선 구간을 가리지 않고 운행했으나 2023년 2월 기준 남은 편성 수는 신정지선 3개 편성이다.


2. 편성[편집]


까치산 방면
20## (1)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1## (2)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2## (3)T(무동력객차)
23## (4)T(무동력객차)
24## (5)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5## (6)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신도림 방면

[과거 4량 편성]
성수 방면
20## (1)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1## (2)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2##(舊 23##) (3)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3##(舊 25##) (4)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신설동 방면

[과거 10량 편성]
내선순환
20## (1)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1## (2)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2##(舊 26##) (3)T(무동력객차)
23##(舊 27##) (4)T(무동력객차)
24##(舊 22##) (5)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5##(舊 24##) (6)M(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6##(舊 28##) (7)T(무동력객차)
27##(舊 29##) (8)T(무동력객차)
28##(舊 23##) (9)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9##(舊 25##) (10)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외선순환

3. 상세[편집]


구 201편성구 260편성[1]

248편성[2]구 256편성[3]
큰 틀에서는 1호선에 투입된 전동차(초저항)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1호선에 비해 본선 지상구간이 거의 지상고가로 이루어져 있어 상하구배가 심한 2호선에서의 운행을 위해 전동기의 용량을 기존 1호선 전동차(초저항)의 120kW에서 150kW로 향상했으며, 이와 더불어 기존 1호선 전동차에는 없던 신식 냉방장치인 에어컨을 도입해 실내의 쾌적함이 더해졌다. 물론 현재의 전동차들 처럼 막 시원하진 않았다. 다만 그 시절에 에어컨은 거의 보기 힘들었으니 있는 것만으로도 대단했다. 이로 인한 전류 용량 증대 및 팬터그래프 이선 현상 방지를 위해 팬터그래프를 2대 병설해 설치했다. 그 외에도 회생제동을 도입해 전력 소비를 절감했고, 가속도를 2.5km/h/s에서 3.0km/h/s로 상향했다.[4]

당시로쓴 대단한 기술적 진보를 이룩해 낸 차량으로, 새마을호 차량보다도 2년 앞서서 에어 서스펜션을 적용했다. 당시 대통령 전용 열차인 '메기특동'도 코일스프링 대차를 쓰던 시절이었다. 또 국내 최초 차내 냉방 장치[5], 전기지령식 제동장치, WN드라이브 구동방식, 라인데리어 보조송풍기[6], 평천장 구조를 도입했고, 특이하게도 미쓰비시전기의 모터와 히타치 제작소의 저항제어기를 사용하여, 견인전동기와 주제어기의 제조사가 다른 차량 중에 하나이다.

에어 서스펜션, 냉방 장치, 전기지령식 제동장치, WN드라이브 구동방식, 라인데리어 보조송풍기, 평천장은 지금의 전동차에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에 여러 모로 기념비적인 차량이라고 볼 수 있다. 대차의 경우 이 차량에 쓰인 ND-310형 볼스터 대차는 201계의 900번대 시험차에서 쓰이던 대차와 같은 종류로, 3호선의 광폭형 초퍼제어 전동차에서도 우려먹게 된다.
20##21##26##27##22##24##28##29##23##25##
1980년1980년1986년, 1990년1986년, 1990년1993년1993년1993년1993년1980년1980년
2005년 저항제어 차량의 폐차로 인해 편성 개편 및 신형차량 1차분 도입 때 현재와 같이 조정된다. 1993년에는 다른 초퍼제어 차량과 달리 후달리는 가속력을 맞추기 위하여, 증결분 전체를 동력 차량으로 도입하여 최대 8M 2T의 MT비로 운행했다.

201~214편성이 편성이 이에 해당한다.
  • 201~205편성: 본선
  • 206~209편성: 본선 → 신정지선(현 245~248편성)
  • 210~214편성: 본선 → 성수지선(210~211편성(현.256~257편성): 1980년산, 구 212~214편성(현.258~260편성): 1982년산)
도입 년식에 따라 4차로 분류된다. 일부 편성들은 증차되지 않고 각각 성수지선과 신정지선에 전속됐다.
1차분1980년 1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4량 11개 편성)[7]
2차분1982년 2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4량 3개 편성)[8]
3차분1986년, 1990년 6량화에 따라 도입된 무동력 부수 객차[9]
4차분1993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무동력 부수 객차
1990년까지의 도입차량의 경우 낙창식 창문을, 1993년 도입차량은 반개폐식 창문이 적용되어 있다. 전면부 왼쪽 상단에 열차번호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지만 나중에는 막아버리고 운전실 왼쪽 하단에 따로 표시한 방식으로 바뀌었다. 막힌 곳은 201과 같이 세 자리만 표시가 가능했으며 초저항도 마찬가지였다.

MELCO 초퍼 차량과는 달리 측면 롤지식 행선 표시기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1986년, 1990년, 1993년산 부수 객차엔 설치되어 있다(위 영상에서 구 201편성 영상을 참고).

구동음이 초퍼제어 차량에 비해 부드러운 편이며, 차량이 상당히 조용하다. 이유는 MELCO 초퍼 차량이나 1호선의 저항제어 차량과는 달리 M칸에서 모터 장치음이 들리지 않는데, 가장 큰 이유는 MC 개조와 동시에 CM 소리가 VVVF 차량에 쓰인 걸로 교체됐기 때문이다. MC 개조 전, 퇴역을 얼마 안 남긴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에서 2011년까지 쓰이던 C-2000M 피스톤식 컴프레서를 장착했다. MELCO 초퍼 차량도 동일한 컴프레서를 장착했으나, 일자 불명으로 저소음 모델로 교체됐다.

파일:2호선 원형 손잡이.png
2호선 개통 초기엔 위와 같이 원형 손잡이를 장착했다. 1~2차분 저항 차량 뿐만 아니라 MELCO 초퍼 1차분 일부 차량과 GEC 초퍼 1차분 전 차량에 해당 손잡이를 장착했다. 1호선 초저항 차량에 있던 손잡이와는 달리 가죽끈이 긴 형태였다. 1980년대 후반에 초퍼 차량의 모든 가죽끈 손잡이와 더불어 지금의 검은색 스프링 삼각형 손잡이로 교체된 것으로 추정된다.


4. 분류[편집]



4.1. 1차분(1980)[편집]


파일:E3_9_0CVcAMYMAe.jpg파일:attachment/SM2000OLD.png파일:2000내부.jpg
반입 직후[10]의 구 209편성외부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11]
1980년 1차 구간(신설동~종합운동장) 개통시 4량 11개 편성으로 도입됐다. 해당 편성은 201~211편성이다.

개통 초기엔 8개 편성만 투입되고 나머지 부족분은 1호선 소속 차량들로 때웠다. 이후 1980년 12월에 3개 편성이 증차됐다.

이후 내구 연한이 만료된 2005년신형 VVVF 1차분 전동차로 대차됐다. 운행기간은 1980년부터 2005년까지로 25년 동안 운행했다.

구 201편성은 신정차량기지에 보존되어 있으나 운전실 기기는 뜯겨나가 온전하지 못한 상태다.


4.2. 2차분(1982)[편집]


파일:IMG11041.jpg파일:IMG11042.jpg
신설동역의 212편성성수역의 213편성
1982년 2차 구간(종합운동장 ~ 교대) 개통시 4량 3개 편성으로 도입됐다. 해당 편성은 212~214편성이다.

이후 내구 연한이 만료된 2007년신형차량 2차분으로 대차됐다. 운행기간은 1982년부터 2007년까지로 25년 동안 운행했다.

2호선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C-2000M 피스톤식 공기압축기를 장착하고 운행한 전동차였다.


4.3. 3차분(1986, 1990)[편집]


1986년 8개 편성이 6량으로 증차됐다. 해당 편성은 201~208편성이다(206~208편성 → 현 245~247편성).

1990년 1개 편성이 6량으로 증차됐다. 해당 편성은 209편성이다(현 248편성).

일부 편성은 6량화에서 제외됐으며, 성수지선에서 운행했다. 해당 편성은 210~214편성(현 256~260편성)으로 한동안 본선에서 운행하다가, 1983년 성수지선 운행 계통이 분리된 이후 빠져나갔다. 다만 2호선의 멜코쵸퍼를 포함한 상당수 차량은 86년까지 4량 편성으로 운행했으므로 그때까지는 본선을 운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4.4. 4차분(1993)[편집]


1993년 5개 편성이 10량으로 증차됐다. 해당 편성은 201~205편성이다.

일부 편성은 10량화에서 제외됐으며, 신정지선에서 운행했다. 해당 편성은 206~209편성이다(현 245~248편성). 한동안 본선에서 운행하다가, 1992년 신정지선 개통 이후 빠져나갔다.

창문이 낙창식에서 반개폐식으로 변경됐다.


4.5. 개조저항(2005)[편집]


파일:256편성 용답역 접근.jpg파일:2545.jpg
성수지선 구 256편성[12]신정지선 구 245편성[13]
  • 성수지선: 256편성(2021년 1월 퇴역)[14]
  • 신정지선: 245, 247~248편성[15]
1차분 전동차가 내구 연한 만료로 대거 폐차되면서 남는 부수 객차가 발생하게 되자, 4차분 부수 객차를 Mc칸으로 개조하여 새롭게 편성했다.

246~248편성은 1986년산 무동력 부수 객차가 2008년 초퍼 1차분 차량들을 교체할 때 전량 퇴역하게 되는데, 이 때 GEC 초퍼 1차분 264~266편성의 내구 연한이 남는 무동력 부수 객차를 대체하여 투입한 상태다. 대우중공업 패찰을 보면 알 수 있는데, GEC초퍼는 대우중공업이 제작했기 때문이다. 측면 행선지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뚫어서 LED 행선지를 장착했다.
파일:IMG48892.jpg
245편성의 1990년산 부수객차의 낙창식 창문과 고무 출입문
245편성의 무동력 부수 객차 2량은 개조 후 재편성 당시부터 1990년산으로 편성됐다. 245편성의 무동력 부수 객차가 MELCO 초퍼의 부수 객차로 알고 있는 사람도 제법 있는데 절대 아니다. 또한 2021년 9월에 중검수 및 정밀안전진단으로 잠시 휴차됐지만 정밀안전진단 결과 합격 판정을 받아 11월 기준 운행에 복귀했다. 그리고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구 245편성과 신 245편성 둘 다 한꺼번에 같이 운행한 경우가 종종 보인다.

256편성은 2005년에 증결분들을 개조해서 재편성했으며, 257~260편성은 개조되지 않고 신형 VVVF 1~2차분 전동차으로 대체됐다. 256편성은 2021년 1월 말까지 운행했고 2021년 4월에 성수지선용 개조저항 전동차 중 최초로 폐차됐다. 성수지선의 유일한 개조저항 차량이자, 전칸 동력장치가 설치되어 가속도가 빠르기로 유명했다.

확인된 기록상으로 2호선 성수지선의 개조저항 전동차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21년 1월 22일 S1667열차 신설동행으로 운행한 256편성이다.

246편성은 2021년 3월 말, 기지 구내에서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하여 휴차됐으며 이후 매각공고가 나왔고, 2021년 8월에 신정지선용 개조저항 전동차 중 최초로 폐차됐다.[16] 해당 편성의 대타로 220편성이 6량으로 재조성되어 운행 중이었으나 2021년 10월부로 본선으로 돌아간 후, 221편성이 대타로 운행했으며 2022년 3월에 본선으로 돌아갔다. 이로 인해 구 245편성은 신 246편성이 운행 개시될 때까지 구 246편성을 대신해서 운행을 하게 됐다.

도입 당시엔 객실 내 LED 전광판이 있으나, 2011년 LCD 모니터로 조기 교체됐다.[17]

파일:개조저항 초저항출입문.jpg파일:SAM_4086.jpg
구 245편성은 맨 앞차와 맨 뒷차에 초저항의 출입문으로 갈아끼워 넣었다. 기존 출입문의 크랙 현상이 심해 초저항 101편성의 출입문으로 교체됐다. 2호선에서 유일하게 작은 정사각형 창문의 출입문을 달고 운행한 차량이다.


5. 기타[편집]


파일:IMG_20221130_151436.jpg
  • 서울교통공사 차량정비처가 폐차일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했다. 이에 따라 2023년 2월까지 전량 모두 신형 전동차로 대체되어 순차적으로 퇴역될 예정이며, 2호선 전 구간에서 사용했던 ATS 신호체계 역시 1호선 열차가 입출고 한 성수지선을 제외하고 자연스럽게 없어질 예정이다. 2호선 내의 저항제어 전동차가 모두 퇴역하면 남는 저항제어 전동차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로 1호선에서만 볼 수 있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의 r8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4 17:40:03에 나무위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컴프레서 교체 전[2] 6량 1편성 신정지선용[3] 4량 1편성 성수지선용[4] 출처: 서울지하철 2호선 건설지[5] 실내용 에어컨1980년대엔 엄청난 고급 사치품이었고, 2호선 개통 당시로 따지면 최소 무궁화호시외버스는 되어야 에어컨을 구경할 수 있다.[6] 1호선 초저항의 선풍기가 여성 승객들의 머리모양을 망친단 민원 때문에 도입했다고 한다. 하지만 철도청의 경우는 1986년 9월까지 제작된 초저항도 선풍기가 달려있고, 냉방장치를 갖춘 중저항 후기형이나 신저항에도 선풍기가 달려나온 것을 보면, 초저항에도 충분히 라인데리어 송풍기 도입은 당시로써는 얼마든지 가능했다.[7] 현재 전량 퇴역[8] 현재 전량 퇴역[9] 209편성 무동력 부수 객차만 1990년[10] OEM 형태로 반입한 차량으로, 당시 미도색 상태[11] 1980년 촬영[12] 2021년 1월 퇴역[13] 원래는 퇴역 및 폐차했어야 했는데 구 246편성이 화재 사고로 폐차되어 신 246편성이 운행 개시될 때 퇴역 및 폐차할 예정이다.[14] 그와 동시에 VVVF 전동차로 대차됐다.[15] 구 246편성은 신정차량기지 내부 화재에 의해 폐차됐으며, 구 245편성은 구 246편성 대신 운행하고 신 246편성이 운행 개시할 때까지 운행 후 퇴역 및 폐차한다.[16] 매각 공고 내용[17] 출처: 네이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