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우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장두현고원훈최린박창하이동식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김규면신흥우유억겸윤치호유억겸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여운형유억겸정환범신익희신흥우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조병옥이기붕이철승김동하이주일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이효민관식김용우김택수박종규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조상호정주영노태우김종하김종열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김운용이연택김정길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이연택박용성김정행강영중이기흥
제41대
이기흥




제7대 대한체육회 회장
신흥우
申興雨 | Hugh Heungwo cynn
창씨명다카유레이 쿄우(高霊興雨)
자 / 호 윤시(胤詩) / 금하(錦霞)
본관고령 신씨[1]
출생1883년 3월 26일[2]
충청도 청주목 산내이상면 관정리
(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 묵정마을)[3]
사망1959년 3월 15일 (향년 75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자택
학력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의학 / 학사)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의학 / 석사)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
경력배재학당 교장
제2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종교개신교(감리교)

1. 개요
2. 생애
2.1. 구한말
2.2. 일제강점기
2.3. 광복 이후
3. 선거 이력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창씨개명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고령(高靈). 자는 윤시(胤詩), 호는 금하(錦霞), 종교는 개신교(감리교)이다.


2. 생애[편집]



2.1. 구한말[편집]



파일:Syngman Rhee in San Francisco 1906.png
19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아랫 줄 왼쪽 두번째가 이승만, 세번째가 신흥우.

1883년 3월 26일 충청도 청주목 산내이상면 관정리(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 묵정마을)에서 아버지 신면휴(申冕休, 1845. 11. 21 ~ 1933. 2. 10)와 어머니 안동 김씨(1844 ~ ?)[4] 사이의 3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대한제국 때 만민공동회와 독립협회에 가담했다. 그 후 미국에 유학,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고등과 및 의과·문과를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및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더럼 스티븐스 저격 사건 당시에 전명운장인환의 재판에서 통역을 맡기도 했다.


2.2. 일제강점기[편집]


1912년 YMCA 청년회 이사와 배재학당 교장을 지냈다. 1919년의 3.1 운동에는 참여를 거부하였다. 1920년 조선체육회(현 대한체육회) 발기에 참여하였으며 제7대 회장을 지냈다. 1927년 이상재, 허헌, 김병로 등과 함께 신간회 조직에 참여하여 개신교 대표의 한사람으로 활동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일본의 전쟁에 협력해 조선임전보국단 상무이사#, 임전대책협의회 위원# 등을 지냈다.

이런 행적으로 인해 2002년의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 2009년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일제 말기의 행적으로 인해 친일파에 지정된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듯 본 행적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2.3. 광복 이후[편집]


8.15 광복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고 이 시기에는 이승만을 지지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인 1949년 제4대 대한체육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서대문구 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무소속 윤기섭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1952년 제2대 대통령 선거에서 무소속 대한민국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으나 현직인 자유당 이승만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1959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168번지 자택에서 지병협심증으로 별세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10[5]
무소속

6,547표 (20.55%)낙선 (2위)
1952제2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219,696표 (3.12%)낙선 (4위)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6:57:20에 나무위키 신흥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성군파 24세 우(雨) 항렬.[2] 음력 2월 18일.[3] 인근의 귀래리·추정리·호정리와 함께 고령 신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신백우도 이 마을 출신이다.[4] 김노승(金魯承)의 딸이다.[5] 서대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