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백

덤프버전 :


>
조선 영의정
인조 ~ 경종
[ 펼치기 · 접기 ]
제101·102대}}}
이원익
제103대}}}
윤방
제104대}}}
신흠
제105대}}}
오윤겸
제106대}}}
윤방
제107대}}}
김류
제108대}}}
이홍주
제109대}}}
최명길
제110대}}}
홍서봉
제111대}}}
이성구
제112대}}}
최명길
제113대}}}
신경진
제114대}}}
심열
제115대}}}
홍서봉
제116대}}}
김류

제117대}}}
홍서봉
제118대}}}
김류
제119대}}}
김자점

제120대}}}
이경석
제121대}}}
이경여
제122대}}}
김육
제123대}}}
정태화
제124대}}}
김육
제125대}}}
이시백
제126대}}}
김육
제127대}}}
이시백

제128대}}}
정태화
제129대}}}
심지원
제130대}}}
정태화

제130대}}}
정태화
제131대}}}
홍명하
제132대}}}
정태화
제133대}}}
허적
제134대}}}
정태화
제135대}}}
허적
제136대}}}
김수흥
제137대}}}
허적

제137대}}}
허적
제138대}}}
김수항
제139대}}}
남구만
제140대}}}
김수흥
제141대}}}
여성제
제142대}}}
권대운
제143대}}}
남구만
제144대}}}
류상운
제145대}}}
서문중
제146대}}}
최석정
제147대}}}
서문중
제148대}}}
최석정
제149대}}}
신완
제150대}}}
최석정
제151대}}}
이여

제152대}}}
서종태
제153대}}}
이유
제154대}}}
서종태
제155대}}}
김창집



이시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좌의정 ]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
[ 펼치기 · 접기 ]
1623년 3월 13일 인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김 류이 귀김자점1심기원1
신경진이 서최명길이홍립
구 굉심명세
정사이등공신
이 괄2김경징3신경인이중로
이시백이시방장 유원두표
이 해신경유박호립장 돈
구인후장 신심기성
정사삼등공신
박유명한 교송영망이항
최내길신경식구인기조 흡
이후원홍진도원우남김원량
신 준노수원유백증박 정
홍서봉이의배이기축이원영
송시범김 득홍효손김 련
유순익한여복홍진문유 구
1 김자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624년 이괄의 난으로 인한 제명
3 병자호란 강화도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로 사사되어 삭탈






조선 영의정
연양부원군(延陽府院君) 충익공(忠翼公)
이시백
李時白
파일:이시백 초상.jpg
출생1581년 11월 15일[1]
(음력 선조 14년 10월 10일)
사망1660년 6월 9일 (향년 78세)
(음력 현종 1년 5월 2일)
봉호연양부원군(延陽府院君)
시호충익(忠翼)
본관연안 이씨
돈시(敦詩)
조암(釣巖)
부모부친 - 이귀
모친 - 인동 장씨 장민(張旻)의 딸
형제자매5남 4녀 중 장남
남동생 - 이시담(李時聃, 1584 ~ 1665)
남동생 - 이시방
여동생 - 변경윤의 처, 경주 김씨 김경여(金慶餘)의 처, 김설의 처, 이여순(李女順)
이복 형제 - 이시응(李時應), 이시형(李時衡)
부인남원 윤씨 윤지숙(尹止淑, 1579 ~ ?)[2]
자녀슬하 3남 1녀
장남 - 이흔(李忻, 1598 ~ 1662)
차남 - 이한(李憪, 1601 ~ ?)
3남 - 이열(李悅, 1613 ~ ?
장녀 - 풍양 조씨 조내양(趙來陽)의 처(1617 ~ ?)

1. 개요
2. 생애
3. 평가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의 문신.

인조반정의 1등 공신인 이귀의 아들이며, 이시방의 형이다.


2. 생애[편집]


젊었을 때에는 이항복의 문하에 있으면서 최명길, 장유 등과 친구가 되었다. 광해군인목대비를 폐하려고 하자 동생과 함께 아버지와 모의를 하였다. 인조반정 때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 2등을 받았고, 인조 2년(1624년)에 연양군(延陽君)에 봉해졌다.[3]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모병협수사(募兵協守使)가 되어 이천 일대에서 향병을 모집하였다.#

병자호란 때에 수어사로 남한산성의 서쪽 부분을 지키는데 후금의 군사들이 밤 중에 야습을 가하자 갑옷도 입지 않고 병졸들보다 앞서 화살을 쏘다 적의 화살을 두 발이나 맞았으나 전투가 끝날 때까지는 이를 숨기고 끝까지 지휘했다. 소란과 동요가 심했던 다른 쪽 성들과는 달리 이시백이 지휘한 서쪽 부분은 침착하게 대응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시백도 패배 경험이 있는데, 북문에서는 군사 300을 이끌다 청나라군에게 모두 몰살당한 일도 있다. 물론 인조가 독촉을 했긴 했지만... [4] 인조가 소현세자가 죽은 후 봉림대군세자로 세우는 것을 의논할 때 '옛 역사를 따르면 태자가 없으면 태손으로 잇게 하는 건 바꿀 수 없는 떳떳한 법이니 권도를 버리고 상도를 행하세요'라는 홍서봉의 의견에 동조하였다.# 효종 1년(1650년)에 우의정이 되고 이어 영의정에 올랐다. 김육, 동생인 이시방과 함께 적극적으로 대동법의 시행에 앞장섰다. 현종 시절 1차 예송논쟁(기해예송)에서 영돈녕부사 이경석, 영의정 정태화, 이조 판서 송시열 등과 함께 자의대비의 상복을 기년복(1년복)으로 결정했는데, 윤휴가 3년복을 주장하자 이시백이 정태화에게 서신을 보내 의견을 물어 보니, 정태화가 국제를 근거로 하고 송시열은 대명률에 따라 기년복을 주장하여 그에 따라 기년복으로 결정되었다.

여담으로 인조는 결국 봉림대군을 세자로 책봉한 뒤 술자리를 만들어 이시백을 불러 "병판은 주량이 얼마나 되오?"라고 물은 뒤 이시백이 자신은 술을 잘 못하고 병이 있어 더욱이 못한다라고 답하자 인조가 그 병은 남한산성을 지키다 생긴 병이라며 대답하며 이야기를 이어갔다. 인조는 다시 이시백의 자녀가 몇 명인지 묻고 왜 과거를 보지 않냐고 다시 물으며 나라에 충성하려면 무과라도 좋다며 부친의 공을 자신은 잊지 못한다고 자식들이 과거를 보기를 부탁하자 이에 이시백은 감동하여 "아버지가 눈감기 전에는 오직 나라가 있음을 알 뿐이었습니다. 이제 전하의 말씀을 듣고 보니 감읍하여 눈물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답하자 인조는 자리를 같이한 봉림대군으로 하여금 이시백에게 술을 따르게하며 “내가 이분을 팔다리처럼 여기니 너도 뒷날 이분을 높게 대접하라!”라고 당부했다. 이후 효종이 즉위하자 마자 우의정이 되었다.

현종 1년(1660년) 4월에 병이 위중해져 왕이 약물을 내렸으나 5월에 사망했다. 현종 15년(1674년)에 충익(忠翼)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3. 평가[편집]


청렴하고 충의롭고 근신한 절의는 당대의 재상들 중 따를 자가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5]# 현종 개수 실록에서도 벼슬살이 38년 동안 청렴하고 삼가고 검소한 것이 전혀 변함이 없었다는 선비로서 받을 수 있는 극찬을 받는다. 또한 인척[6]김자점의 역모에도 불구하고 효종의 배려를 받았다는 얘기를 적으면서 그가 임금에게도 많은 총애를 받았다는 얘기까지 곁들여져 있다.#


4. 대중매체[편집]


  • 고전소설 <박씨전>에서는 주인공인 박씨 부인의 남편인데 이시백이 모티브이다. 아버지가 이귀가 아닌 이득춘이라는 인물로 나오며 동시에 윤씨였던 부인 역시 박씨로 나오는 등의 차이가 있으나 이건 이 이야기가 픽션이라는 장치로 보면 된다. 인성이 개차반이라 자기 아내를 못 생겼다는 이유로 매우 박대하고 구박한다.[7]

  • 1976년 TBC 드라마 <별당아씨>에서는 배우 김세윤이 연기했다. 주인공인 박씨 부인의 남편이다.

  • 웹소설 <조선후궁실록 : 호란기연>에서는 유응부의 아들이자 여주인공 이화진의 연인이었던 유정운의 환생으로 나온다. 마지막에는 이화진의 외할아버지 영찬의 희생으로 죽음을 피하고 이화진과 재회하지만 상철의 희생으로 죽음을 피했던 소연도 결국 경민을 낳고 얼마 후에 사망했다는 걸 생각하면 시백 또한...


  • 2017년 개봉한 영화 <남한산성>에서는 배우 박희순이 연기했다. 실제 역사에서는 문관임에도 지휘관이 무쌍난무하는 클리셰 때문에 작중에서 조선 무쌍을 찍는다. 어느 정도냐면 후반부에 무너진 성벽을 타고 청나라군이 밀고 오자 백성들을 징병한 조선군들은 무서워서 다가가지 못하는데 이시백 혼자 무너진 성벽 틈을 칼춤 추며 막으며 혼자 수십 명을 썰어버린다. 다만, 갑옷을 입지 않은 채로 활을 쏜 기록이 있기에 아예 판타지적인 고증오류까지는 아니라고 볼 수 있으며 영화에서는 아예 고증을 의도적으로 비틀어 무관으로 등장하기에 일종의 영화적 허용으로 보는 것이 옳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3:19:18에 나무위키 이시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율리우스력 11월 5일.[2] 영산군의 외고손녀.#[3] 효종 때에 연양부원군으로 높여진다.[4] 이 일 때문에 남한산성 북문의 이름이 전승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5] 동생 이시방도 비슷한 평가를 받았다. 이시방은 김육이 대동법 실시에 실무를 담당할 만한 인재 중 한 명으로 추천한 바 있다.[6] 이시백의 여동생이 김자점의 동생인 김자겸의 부인이고 이시백의 외손자인 김세창은 김자점의 손자이다.[7] 그런데 허물을 벗고 미녀로 둔갑하니까 전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