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1581)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

[ 펼치기 · 접기 ]
1623년 3월 13일 인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김 류
이 귀
김자점1
심기원1
신경진
이 서
최명길
이홍립
구 굉
심명세


정사이등공신
이 괄2
김경징3
신경인
이중로
이시백
이시방
장 유
원두표
이 해
신경유
박호립
장 돈
구인후
장 신
심기성

정사삼등공신
박유명
한 교
송영망
이항
최내길
신경식
구인기
조 흡
이후원
홍진도
원우남
김원량
신 준
노수원
유백증
박 정
홍서봉
이의배
이기축
이원영
송시범
김 득
홍효손
김 련
유순익
한여복
홍진문
유 구
1 김자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624년 이괄의 난으로 인한 제명
3 병자호란 강화도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로 사사되어 삭탈








完豊府院君 李曙(완풍부원군 이서)
1581년 1월 7일[1](음력 1580년, 선조 13년 11월 22일) ~ 1637년 1월 28일(음력 인조 15년 1월 3일) (향년 56세)[2]

이서는 이경록[3]의 아들이며, 조선시대 인조반정에 가담해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추증된 조선시대의 군인이다.

인조반정 당시 광해군의 측근 중 하나였던 영의정 박승종의 친척이었는데, 본래 박승종은 살려주는 것을 조건으로 반정에 가담하였다. 그러나 인조가 허락하지 않자 무척 상심하였고, 본래 이서에게 약속을 했던 김류이귀가 끈질기게 인조를 설득하여 일단 후일에 다시 논의하는 것으로 양보를 받아냈으나, 그때 지방으로 도망친 박승종은 이미 장남과 같이 음독자살한 뒤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되자 인조에게 박승종의 시신을 거두게 해달라고 청했고, 인조에게서 의리 있는 사람이라고 칭찬을 받으며 장례를 허락받는다.

남한산성의 전략적 중요성을 깨닫고 재상 이귀의 지원을 받아 남한산성을 수축하고 전쟁 대비를 했다. 병자호란때 왕을 호종하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지키다가 1637년 1월 적군이 성을 겹겹이 포위하고 항복을 재촉하는 가운데 과로로 순직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10:56:05에 나무위키 이서(158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율리우스력 1580년 12월 28일.[2] 세는나이 58세.[3] 충무공 이순신의 무과 급제 동기이자 녹둔도 전투에서 같이 동고동락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주목사를 지내며 임진왜란기 제주를 수호하는 공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