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리나 비트

덤프버전 :

카타리나 비트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스웨덴 국기.svg 마그다 율린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2회1928 생모리츠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5회1948 생모리츠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6회1952 오슬로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8회1960 스쿼밸리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캐럴 하이스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0회1968 그르노블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11회1972 삿포로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14회1984 사라예보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15회1988 캘거리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16회1992 알베르빌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18회1998 나가노파일:미국 국기.svg 타라 리핀스키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미국 국기.svg 사라 휴즈20회2006 토리노파일:일본 국기.svg 아라카와 시즈카
21회2010 밴쿠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22회2014 소치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23회2018 평창파일:오륜기.svg 알리나 자기토바24회2022 베이징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 다보스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76회1971 리옹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12회1907 빈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77회1972 캘거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13회1908 트로파우파일:헝가리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78회1973 브라티슬라바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렌 마그누센
14회1909 부다페스트파일:헝가리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79회1974 뮌헨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
15회1910 베를린파일:헝가리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80회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이앤 더레이우
16회1911 빈파일:헝가리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81회1976 예테보리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
17회1912 다보스파일:헝가리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82회1977 도쿄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랜티아니
18회1913 스톡홀름파일:헝가리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83회1978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
19회1914 생모리츠파일:헝가리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84회1979 빈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랜티아니
20회1915취소WWI85회1980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
21회1916취소WWI86회1981 하트퍼드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
22회1917취소WWI87회1982 코펜하겐파일:미국 국기.svg 일레인 자약
23회1918취소WWI88회1983 헬싱키파일:미국 국기.svg 로잘린 섬너스
24회1919취소WWI89회1984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25회1920취소WWI90회1985 도쿄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26회1921취소WWI91회1986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
27회1922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92회1987 신시내티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28회1923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93회1988 부다페스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29회1924 맨체스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94회1989 파리파일:일본 국기.svg 이토 미도리
30회1925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95회1990 핼리팩스파일:미국 국기.svg 질 트레나리
31회1926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96회1991 뮌헨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32회1927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7회1992 오클랜드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33회1928 런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8회1993 프라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
34회1929 부다페스트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9회1994 치바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유카
35회1930 뉴욕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100회1995 버밍엄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36회1931 베를린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101회1996 에드먼턴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
37회1932 몬트리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102회1997 로잔파일:미국 국기.svg 타라 리핀스키
38회1933 스톡홀름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103회1998 미니애폴리스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
39회1934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104회1999 헬싱키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부티르스카야
40회1935 빈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105회2000 니스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
41회1936 파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106회2001 밴쿠버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
42회1937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107회2002 나가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43회1938 스톡홀름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108회2003 워싱턴 D.C.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
44회1939 프라하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109회2004 도르트문트파일:일본 국기.svg 아라카와 시즈카
45회1940취소WWII111회2005 모스크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46회1941취소WWII111회2006 캘거리파일:미국 국기.svg 키미 마이즈너
47회1942취소WWII112회2007 도쿄파일:일본 국기.svg 안도 미키
48회1943취소WWII113회2008 예테보리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
49회1944취소WWII114회2009 로스앤젤레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50회1945취소WWII115회2010 토리노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
51회1946취소WWII116회2011 모스크바파일:일본 국기.svg 안도 미키
52회1947 스톡홀름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바버라 앤 스콧117회2012 니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53회1948 다보스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바버라 앤 스콧118회2013 런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54회1949 파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119회2014 사이타마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
55회1950 웸블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120회2015 상하이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56회1951 밀라노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121회2016 보스턴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57회1952 파리파일:프랑스 국기.svg 자케린 두 비에프122회2017 헬싱키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58회1953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텐리 올브라이트123회2018 밀라노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오스먼드
59회1954 오슬로파일:독일 국기.svg 건디 부쉬124회2019 사이타마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60회1955 빈파일:미국 국기.svg 텐리 올브라이트125회2020 몬트리올취소COVID-19
61회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미국 국기.svg 캐롤 하이스126회2021 스톡홀름파일:러시아빙상연맹.png 안나 셰르바코바
62회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캐롤 하이스127회2022 몽펠리에파일:국기.svg ?
63회1958 파리파일:미국 국기.svg 캐롤 하이스128회2023 사이타마파일:국기.svg ?
64회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캐롤 하이스129회2024 몬트리올파일:국기.svg ?
65회1960 밴쿠버파일:미국 국기.svg 캐롤 하이스130회?파일:국기.svg ?
66회1961 프라하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131회?파일:국기.svg ?
67회1962 프라하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32회?파일:국기.svg ?
68회1963 코르티나담페초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33회?파일:국기.svg ?
69회1964 도르트문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34회?파일:국기.svg ?
70회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캐나다 국기.svg 페트라 버카135회?파일:국기.svg ?
71회1966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136회?파일:국기.svg ?
72회1967 빈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137회?파일:국기.svg ?
73회1968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138회?파일:국기.svg ?
74회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139회?파일:국기.svg ?
75회1970 류블랴나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140회?파일:국기.svg ?




||
[ 펼치기 · 접기 ]

40회1930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프리치 버거91회1981 인스브루크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
41회1931 생모리츠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2회1982 리옹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클라우디아 크리스토픽스 바인더
42회1932 파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3회1983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43회1933 런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4회1984 부다페스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44회1934 프라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5회1985 예테보리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45회1935 생모리츠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6회1986 코펜하겐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46회1936 베를린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97회1987 사라예보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47회1937 프라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98회1988 프라하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48회1938 생모리츠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99회1989 버밍엄파일:독일 국기.svg 클라우디아 라이슈트너
49회1939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100회1990 레닌그라드파일:동독 국기.svg 에블린 그로스만
50회1940취소WWII101회1991 소피아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51회1941취소WWII102회1992 로잔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52회1942취소WWII103회1993 헬싱키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53회1943취소WWII104회1994 코펜하겐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54회1944취소WWII105회1995 도르트문트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55회1945취소WWII106회1996 소피아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56회1946취소WWII107회1997 파리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57회1947 다보스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바버라 앤 스콧108회1998 밀라노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부티르스카야
58회1948 프라하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바버라 앤 스콧109회1999 프라하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부티르스카야
59회1949 밀라노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바 폴릭110회2000 빈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60회1950 오슬로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111회2001 브라티슬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61회1951 취리히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112회2002 로잔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부티르스카야
62회1952 빈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113회2003 말뫼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63회1953 도르트문트파일:영국 국기.svg 벌더 오스본114회2004 부다페스트파일:헝가리 국기.svg 율리아 세바스티앙
64회1954 볼자노파일:독일 국기.svg 건디 부시115회2005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65회1955 부다페스트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한나 에이글116회2006 리옹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66회1956 파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잉그리드 벤들117회2007 바르샤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67회1957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한나 에이글118회2008 자그레브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68회1958 브라티슬라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잉그리드 벤들119회2009 헬싱키파일:핀란드 국기.svg 라우라 라페스토
69회1959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한나 월터120회2010 탈린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70회1960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21회2011 베른파일:스위스 국기.svg 사라 마이어
71회1961 서 베를린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22회2012 셰필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72회1962 제네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23회2013 자그레브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73회1963 부다페스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24회2014 부다페스트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74회1964 그르노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25회2015 스톡홀름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75회1965 모스크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레진 하이저126회2016 브라티슬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76회1966 브라티슬라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레진 하이저127회2017 오스트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77회1967 류블랴나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128회2018 모스크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78회1968 베스테로스파일:체코 국기.svg 한나 마스코바129회2019 민스크파일:러시아 국기.svg 소피아 사모두로바
79회1969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130회2020 그라츠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80회1970 레닌그라드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131회2021 자그레브취소COVID-19
81회1971 취리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132회2022 탈린파일:국기.svg ?
82회1972 예테보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133회2023 헬싱키파일:국기.svg ?
83회1973 쾰른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134회2024 부다페스트파일:국기.svg ?
84회1974 자그레브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135회?파일:국기.svg ?
85회1975 코펜하겐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136회?파일:국기.svg ?
86회1976 제네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이앤 데 레이우137회?파일:국기.svg ?
87회1977 헬싱키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138회?파일:국기.svg ?
88회1978 스트라스부르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139회?파일:국기.svg ?
89회1979 자그레브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140회?파일:국기.svg ?
90회1980 예테보리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141회?파일:국기.svg ?




동독선수권 여자 싱글 챔피언
파일:독일 빙상연맹.jpg
아네트 푀치
(1980)
카타리나 비트
(1981~1988)
에블린 그로스만
(1989)


파일:external/cdn.thedailybeast.com/1375797477172.cached.jpg
이름카타리나 비트(Katarina Witt)
국적
파일:동독 국기.svg

(1965~1990)
파일:독일 국기.svg

(1990~)
출생1965년 12월 3일 (58세)
동독 베를린 슈타켄
신체165cm
종목피겨 스케이팅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어린 시절
2.2. 1978-79 시즌
2.3. 1979-80 시즌
2.4. 1980-81 시즌
2.5. 1981-82 시즌
2.6. 1982-83 시즌
2.7. 1983-84 시즌
2.8. 1984-85 시즌
2.9. 1985-86 시즌
2.10. 1986-87 시즌
2.11. 1987-88 시즌
2.12. 1993-94 시즌
3. 은퇴 이후
4. 평가
5. 주요 수상 이력
6. 기타



1. 개요[편집]


동독독일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현재는 독일의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선수 경력[편집]



2.1. 어린 시절[편집]


동독 슈타켄(Staaken)에서 출생했는데, 이 곳은 서베를린과 접하는 동네였다. 이 동네는 원래 베를린의 일부로 베를린의 4개국 분할 당시 영국 관할 지역이었기 때문에 서베를린에 포함되어야 했지만 영국이 자신들이 주둔하던 가토(Gatow) 비행장을 완전히 관할하기 위해[1] 영토 교환으로 소련에게 넘겨주면서 졸지에 서베를린에서 동독으로 이관된 비운의 동네였다.

어쨌든 이 영토 조정 때문에 동독으로 편입된 슈타켄에서 태어난 카타리나는 이후 카를 마르크스 슈타트(現 켐니츠시)에 있는 학교에 들어갔고, 곧 국가 차원에서 운영하는 스포츠 영재학교(Kinder- und Jugendsportschule, KJS)에 발탁되어 동독의 체계적인 체육 프로그램을 통해 엘리트 선수로 길러졌다.

2.2. 1978-79 시즌[편집]


블루 스워드 트로피에서 우승하고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9 동독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고 1979 유럽선수권에서는 14위를 기록했다.

2.3. 1979-80 시즌[편집]


블루 스워드 트로피와 1980 동독선수권에서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0 유럽선수권에서 13위, 1980 세계선수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2.4. 1980-81 시즌[편집]


1980 NHK 트로피와 챌린지 컵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1 동독선수권에서는 처음으로 우승했다. 1981 유럽선수권과 1981 세계선수권에서는 모두 5위로 마쳤다.

2.5. 1981-82 시즌[편집]


블루 스워드 트로피와 챌린지 컵에서 우승했다. 1982 동독선수권에서는 2연패를 달성했다. 1982 유럽선수권과 1982 세계선수권에서는 처음으로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다.[2]

2.6. 1982-83 시즌[편집]


1982 NHK 트로피에서 우승하고 1983 동독선수권에서는 3연패를 달성했다. 1983 유럽선수권에서는 첫 우승을 차지하고 1983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7. 1983-84 시즌[편집]


1983 스케이트 캐나다와 챌린지 컵에서 우승했다. 1984 동독선수권과 1984 유럽선수권에서는 각각 4연패와 2연패를 달성했다.

1984 사라예보 동계올림픽에서는 유력한 우승 후보였던 로잘린 섬너스와 경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섬너스가 프리에서 트리플 점프를 더블링으로 처리하여, 비트가 금메달을 가져갔다.[3] 1984 세계선수권에도 참가하여 첫 우승을 달성했다.

2.8. 1984-85 시즌[편집]


1985 동독선수권, 1985 유럽선수권, 1985 세계선수권에서 모두 우승했다.

2.9. 1985-86 시즌[편집]


1986 동독선수권과 1986 유럽선수권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1986 세계선수권에서는 데비 토머스에게 패배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10. 1986-87 시즌[편집]


1986 NHK 트로피에서 우승했다. 1987 동독선수권과 1987 유럽선수권에서는 7연패와 5연패를 달성했다. 1987 세계선수권에서도 우승하며 3번째 세계선수권 우승을 달성했다.

2.11. 1987-88 시즌[편집]


1987 NHK 트로피, 1988 동독선수권, 1988 유럽선수권에서는 6연패를 달성했다.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 데비 토머스와 함께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 급인 일명 카르멘 전쟁으로 여자 싱글 라이벌리 역사에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이 당시 카타리나는 피겨 프로그램에 최초로 캐릭터와 스토리텔링을 포함시켰고 말 그대로 '연기' 그 자체를 실현한 최초의 스케이터가 되었다.[4] 그러나 컴펄서리와 쇼트에서 1위였던 토마스가 부담감을 느껴 프리에서 실수하고 다른 메달 후보였던 엘리자베스 맨리도 실수함에 따라 비트가 우승을 거머쥐었다.[5] 이로써 소냐 헤니 이후 여자 싱글 부문 두 번째로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다. 1988 세계선수권에서도 우승한 후 였다.[6]

은퇴한 이후로는 동독 국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드물게 미국으로 건너가서 프로 무대에서 활동했다.[7] 그리고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통일이 되면서 완전한 활동의 자유를 얻었고, 영화에 출연하기도 했다.

2.12. 1993-94 시즌[편집]


이 시즌 복귀를 선언했으나, 예전만큼의 기량은 선보이지 못했다. 1994 독일선수권에서는 타나 세젠코에 이어 2위를 하고 1994 유럽선수권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는 각각 8위와 7위를 했다. 그러나 비트는 이 대회를 통해 오히려 더 큰 인기를 끌었는데 "나이가 들어도 선수로 뛸 수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느낀다."고 이야기했다.

3. 은퇴 이후[편집]


아이스 쇼와 영화에도 출연하기도 했으며, 방송 진행도 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했다. 그리고 1998년 플레이보이누드 화보가 실렸을 때는 메릴린 먼로 화보가 실린 창간호 이후 2번째로 전량 매진되는 기염을 토했다.

당시 100만 달러의 거금을 받고 찍었다 보니, 아무래도 "스포츠마저 성 상품화에 오염된 것 아니냐?"라는 논란과 비판의 목소리도 있긴 했다. 이에 카타리나 비트는 나중에 인터뷰에서 "빙판 위에서의 귀엽고 공주 같은 고정된 이미지를 도발적인 이미지로 바꾸고 싶었다."라고 밝혔었다. 은퇴 이후에도 아이스 쇼에서 최고의 인기 스타였고, 프로 활동을 2008년까지 했을 정도로 피겨 스케이팅의 대중화에 관심을 가지고 가장 크게 기여한 선수이기도 하다.

4. 평가[편집]


전설적인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 중 한 명으로, 미셸 콴, 김연아 등으로 이어지는 피겨 여제 계보의 원조다. 올림픽 2회 연속 우승, 세계선수권에 4회 우승을 기록을 갖고 있으며 여자 피겨 스케이팅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하나로 손꼽힌다. 뛰어난 예술성을 지녔으며 기술력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8] 다만, 점프의 역동성은 동시대 선수였던 데비 토머스를 더 인정해준다.

1980년대 공산권 국가들을 비롯해서 2010년대의 김연아가 주목을 받았던 것 이상으로 전세계에서 주목을 한 몸에 받는 빙상의 여제였다. 동독은 물론이고 공산권 국가에서도 동계 스포츠의 자존심이자 간판 선수였으며 "공산권 국가에서 배출한 최고의 자본주의적인 상품" 이라는 평가까지 따라다녔을 정도였고 서구권을 비롯한 세계구급으로 인기가 정말 많았던 선수였다.

지금도 피겨 스케이팅의 역사에서 카타리나 비트의 전성기는 반드시 언급된다. 그녀가 활동했던 냉전 시대에 스포츠는 자본주의공산주의 양 진영의 대리전이나 마찬가지였고, 미국을 비롯한 자본주의 국가들의 수많은 선수들이 그녀의 아성에 도전했으나 선수로서의 역량은 물론이고 스타성으로도 당대에 그녀를 뛰어넘는 여자 싱글 선수는 사실상 아무도 없었다.

5. 주요 수상 이력[편집]


대회
올림픽200
세계선수권420
유럽선수권610
합계1230

올림픽
금메달1984 사라예보여자 싱글
금메달1988 캘거리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금메달1984 오타와여자 싱글
금메달1985 도쿄여자 싱글
금메달1987 신시내티여자 싱글
금메달1988 부다페스트여자 싱글
은메달1982 코펜하겐여자 싱글
은메달1986 제네바여자 싱글
유럽선수권
금메달1983 도르트문드여자 싱글
금메달1984 부다페스트여자 싱글
금메달1985 예테보리여자 싱글
금메달1986 코펜하겐여자 싱글
금메달1987 사라예보여자 싱글
금메달1988 프라하여자 싱글
은메달1982 리옹여자 싱글

국제대회
대회78–7979–8080–8181–8282–8383–8484–8585–8686–8787–8893–94
올림픽1st1st7th
세계선수권10th5th2nd4th1st1st2nd1st1st
유럽선수권14th13th5th2nd1st1st1st1st1st1st8th
스케이트 캐나다1st
NHK 트로피2nd1st1st1st
챌린지 컵2nd1st1st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3rd
블루 스워즈1st2nd1st
국내대회
독일선수권2nd
동독선수권3rd2nd1st1st1st1st1st1st1st1st

6. 기타[편집]


  • 1990년 동서독 통일 직후, 그녀가 8살 때부터 동독의 비밀경찰 슈타지에 의해 그녀의 모든 일상생활이 감시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공개되었다. 동독에서는 그녀가 서방 세계로 망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일상생활을 감시했는데, 3000쪽에 달하는 그녀의 감시 기록에는 "성관계를 몇 시에 시작해서 몇 시에 끝났다."는 기록까지 있었다.[9] 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동독을 나쁘고 끔찍한 나라라고 생각하지는 않으며, 내가 운동선수로서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게 최대한의 지원을 해준 나라이며 그에 맞춰 최상급 대우를 받으며 멋진 삶을 살 수 있게 해준 나라"라고 말했다.
  • 브룩 실즈를 닮은 빼어난 미모와 아직까지도 스포츠 역사상 가장 섹시한 여자 운동선수 랭킹에서 지속적으로 상위권에 들 만큼 뛰어난 몸매를 가졌다. 선수 시절 키는 167cm로, 요즘 기준에서 보았을 때 피겨선수로서는 큰 키다.
  • 1985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한 후 대한민국을 방문해서 서울 태릉 아이스링크와 대구 스포츠센터 아이스링크에서 시범 경기를 하기도 했다. 세계선수권에서 입상한 다른 나라 선수들과 함께 내한했는데, 동독 선수 외에도 소련체코슬로바키아 선수들도 포함되었다. 이는 냉전이 끝나기 전이던 시절 공산권 선수들 여러 명이 한꺼번에 한국을 방문하여 경기를 한 최초의 사례였다. 당시 피겨 스케이팅비인기 종목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의 방한이 상당한 화제가 되었다.
  • 독일테니스 선수인 보리스 베커 등 현역 시절부터[10] 은퇴 이후까지 숱한 염문설이 있었고 구애하는 남자들도 많았으나, 현재까지도 미혼이다. 아무래도 구 동독 시절부터 사생활까지 감시를 당했던 경험도 있거니와, 현역 시절부터 "결혼에 대한 생각이 분명히 없다"고 밝힐 정도로 독립심이 강한 성격인 탓도 있다. 하도 결혼을 안 해서 독일인들도 "제발 결혼 좀 하라"고 할 정도였다. 참고로 도널드 트럼프의 데이트 신청을 거절하기도 했다.
[1] 비행장 부지의 대부분은 영국 관할 지역에 속해있었으나 일부 부지가 소련 점령지인 브란덴부르크에 걸쳐져 있었다.[2] 우승자는 미국의 일레인 자약이였는데, 트리플 토룹 점프를 무려 4번이나 뛰어서 논란이 있었다. 이후 같은 트리플 점프를 2번 이상 뛰지 않고, 두 번 중에 한 번은 반드시 컴비네이션 점프로 뛰게 하는 '자약 룰'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3] 그러나 비트의 경기도 깔끔하지는 않았다. 당시 수행이 2Lz+3T, 2S, 2A, 3S+2Lo+SEQ, 2F+2A+SEQ, 3T, 2A였는데 두번(2S, 2F)의 점프를 더블로 처리하는 실수가 있었다.[4] 피겨는 점프 경연 대회가 아니라며 이러한 부분을 매우 중시했는데 이것이 후대에 개인적으로 김연아를 높게 평가하는데 크게 영향을 준 듯 하다.[5] 프리에선 맨리가 1위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구채점제 규정상, 맨리가 금메달을 따기 위해선 프리에서 자신이 1등, 비트와 토마스가 모두 3위 이하 등수를 차지해야 했는데, 맨리 1위, 비트 2위, 토머스 3위가 됨으로써 총점에서 비트가 금메달을 차지하게 되었다. 맨리는 은메달, 토마스는 동메달을 챙겼다.[6] 여담으로 이 대회에서는 올림픽에서 입상한 선수들이 그대로 그 순위로 입상하였다.[7] 후술할 슈타지 감시 논란도 그렇고, 동독 정부는 자국의 간판급 스포츠 스타였던 비트가 서방 세계로 망명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항상 감시했다. 비트의 코치인 유타 뮐러의 딸이자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가브리엘 세이페르트를 포함하여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아네트 푀치도 제대로 된 프로 활동을 할 수 없을 정도였다. 그러다 ‘소냐 헤니 이후 56년만의 올림픽 2연패’라는 조건으로 겨우 프로 활동을 약속받을 수 있었고, 그마저도 벌어들이는 수입의 대부분을 동독 정부가 가져갔다. 결국 비트에게 두번째 올림픽 도전은(선수로서의 승부욕도 당연히 있었겠지만) 자유가 걸린 상황이었던 것.[8] 트리플 플립 점프를 여자 싱글 선수 최초로 랜딩했다. 그러나 1984년 올림픽 이후 트리플 살코-더블 플립 시퀀스 점프로 대체했으며, 구 채점제 시절 많은 선수들이 그랬듯이 러츠 점프의 정교함은 불분명했다.[9] 첨언하자면, 성관계 기록에 대해서는 그녀 뿐만 아니라 당시 슈타지의 감시하에 있던 동독인이었다면 모두가 피할 수 없었다.[10]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당시, 이탈리아의 세계 정상급 스키 선수인 알베르토 톰바가 그녀에게 관심을 보였던 일이 유명하다. "비트가 금메달을 못 따면 내 금메달을 주겠다"고 말했을 정도였다. 당연히 비트는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정작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기간에는 둘이 데이트를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4:45:11에 나무위키 카타리나 비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