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레일 A000호대 전동차 (r27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현황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표제어를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로 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에스지레일_Logo.png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
SG Rail class A000 EMU
파일:GTX-A_Mancheon.jpg
차량 정보
열차 형식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1]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8량 (TC1-M1-T'-M2-M2-T'-M1-TC2)
생산량160량 (20편성)[2]
운행 노선GTX-A
도입시기2023년 1월 17일~12월
제작사파일:현대로템 CI.svg
소유기관파일:에스지레일_Logo.png
운영기관
편성번호 체계A01~A20
차량기지운정차량기지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TC20,670 ㎜
M, T19,500 ㎜
전폭3,050 ㎜(최대 3,150 ㎜)
전고3,750 ㎜
궤간1,435 ㎜
대차공기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
재질알루미늄
급전방식교류 25,000 V 60 Hz
신호장비TVM430(ATC)
제어방식도시바 VVVF-IGBT[1]
동력장치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또는
3상 교류 유도전동기
제동방식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4M 4T
최고속도영업180 ㎞/h
설계198 ㎞/h
가속도2.5 ㎞/h·s
감속도상용3.0 ㎞/h·s
비상4.0 ㎞/h·s
[1]SiC-VVVF도 검토 중이다.

1. 개요
2. 특징
3. 분류
3.1. 1차분 (2023.01.17~12.)
3.2. 2차분 (2023.09.26~12.)




1. 개요[편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에서 운행될 예정인 전동차. 총 20개 편성이 들어올 예정이다.


2. 특징[편집]


  • GTX A노선에서의 운행을 위해 도입된 지하철 차량이다.

  • 출입문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같이 측면 3개의 출입문으로 구성되어 있다.[3] 또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단문형 출입문이 채택되었다. #

  • 당초 크로스시트를 탑재한 근교형 전동차 형태로 발주되는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롱시트를 탑재한 통근형 전동차 형태로 발주, 제작됨으로써 국내에서 가장 빠른 통근형 전동차 타이들을 얻게 될 예정이다.


3. 분류[편집]



3.1. 1차분 (2023.01.17~12.)[편집]


  • 01~15편성 (Ax01~15) (총 1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운정 ~ 삼성 구간 개통을 위해 SG레일이 발주하여 도입되고 있는 차량이다.
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전동차 목업.jpg
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전동차 목업 내부.jpg
목업 외부목업 내부

2021년 4월 11일, 목업이 공개되었다.

4월 20일부터 5월 6일까지 GTX A노선이 정차할 예정인 교통 거점 지역에서 열차 목업 품평회를 개최하였다.국토교통부 보도자료

파일:GTX_A_mock-up_show.png

4월20~22일까지는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에서, 4월 27~29일까지는 수서역에서, 5월 4~6일까지는 정발산역 인근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를 했다.[4]

파일:GTX_A_차량_동탄.jpg
파일:GTX_A_차량_일산.jpg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과 일산동구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된 모습

차량은 전두부 1량이 전시되었고, 차내의 의자 색상, 천장 손잡이 모양, 기둥식 손잡이 모양은 A, B, C 형으로 나누어 전시되었다. 전시기간 중은 방문객을 대상으로 A, B, C 형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5]

계획상 2022년 9월에 초도편성이 반입될 예정이었으나 국토교통부 발표자료를 통해 2023년 1월로 연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2022년 11월 8일, 실차 모습이 유출되었다.

12월 19일,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박완수 경상남도지사, 홍남표 창원시장, 이동환 고양시장, 윤후덕 파주시 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홍정민 고양시 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이용우 고양시 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첫 차량의 출고식이 진행되었다.#1#2#3

오송역으로 반입된 차량은 인근의 오송차량기지와 연결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시험선로에서 시운전을 통해 가동 테스트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3.2. 2차분 (2023.09.26~12.)[편집]


  • 16~20편성 (Ax16~20) (총 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삼성 ~ 동탄 구간 개통을 위해 국가철도공단이 발주하여 도입될 예정인 차량.

세부적인 사항은 1차분과 동일할 것으로 보인다.

편성갑종회송일자운행개시일출발지경유지도착지
162023년 9월 26일시운전 중진해선 신창원역경전선 진례역중부내륙선 충주역
172023년 10월 25일
182023년 11~12월 예정도입 예정
19
202023년 11월 9일시운전 중경전선 진례역중부내륙선 충주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4 04:52:32에 나무위키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계획 당시엔 신쾌속과 비슷하게 지정좌석제를 실시하는 크로스시트 근교형 전동차를 투입하는 것으로 홍보가 이루어졌으나, 실제로는 롱시트의 통근형으로 발주되었다.[2] 120량 및 추가발주분 40량 출처[3]GTX도시철도 노선들과 선로 및 승강장 공유를 하지 않을 예정이기에 3도어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추후에 GTX B노선C노선에 투입될 전동차는 광역철도와 선로 및 승강장을 공유할 예정이기에 디자인이 4도어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4]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상으로는 '킨텍스 문화공원'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다. 킨텍스 인근에 있는 공원은 문화공원이 아니라 일산 호수공원(노래하는 분수대) 쪽이다. 지도와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일산문화공원으로 일산 주민들이 흔히 '정발산역 중앙광장'이라 부른 곳이다.[5] 이보다 이전인 2020년대화역 지하 맞이방 등에 패널을 걸어놓고 스티커를 붙인 방식으로 선호도 조사를 미리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