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국제공항/운항노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김포국제공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공항 파일:공항 픽토그램.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 펼치기 · 접기 ]
중추공항
인천
거점공항
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무안
일반공항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공항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공사 중인 공항

울릉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폐쇄된 공항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1. 개요
2. 운항 노선
2.1. 국내선
2.2. 국제선
3. 국제선 확충에 대한 논란들


1. 개요[편집]


김포국제공항2001년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자마자 국제선 기능을 인천국제공항에 이관하였다. 다만 2002 한일 월드컵 이후 일본 노선을 시작으로 일부 단거리 국제선이 부활하였다. 이중 가장 수요가 큰 김포 - 하네다 노선은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접근성으로 인해 높은 상용 수요를 보이고 있다. 또한 유일한 김포일본행 저가항공 노선인 제주항공김포 - 오사카 노선[1] 또한 평균적으로 인천 - 나리타 저가항공 노선보다 더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국내선에서 가장 대표적인 노선은 제주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들이며 그 외 울산공항, 여수공항 등 거리가 조금 멀거나 가까워도 수요가 있는 남부 지방공항에 국내선이 조금씩 취항 중이다. 대구공항, 광주공항 등 근거리에 가깝거나 육상교통이 더 유리한 노선은 소멸했거나 감편되었으나, 명절에 한해서 이전처럼 운항하고 있다.

국제선은 일본 도쿄도 하네다 공항, 오사카부 간사이 국제공항 등으로 취항 중이다.

특히 일본 국적사 일본항공전일본공수는 인천행 항공편 없이 이 공항으로만 오고 인천 - 나리타, 인천 - 간사이는 각각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코드셰어로 땜빵해 버렸다. 한국 국적사와의 차이점이 있다면 이코노미 승객에게도 수하물을 2개까지 무료로 위탁을 해주며, 각 클래스별 최저 운임이 한국 항공사보다 저렴하다는 것이다. 대체로 이코노미는 한국 국적사쪽이 적립되는 마일리지가 더 많으나, 일본항공의 비즈니스 특가운임과 전일본공수의 비즈니스 일반운임은 한국 국적사보다 가격이 합리적이다. 대한항공은 비즈니스 특가운임이 거의 없어 왕복운임이 89만원부터 시작하며, 아시아나항공의 특가운임은 전일본공수쪽보다 효율이 좋으나 일반운임의 경우 같은 적립률로 전일본공수쪽보다 16만원이나 비싼 운임을 내야한다. 그리고 전일본공수는 이코노미 승객에게도 비즈니스 라운지 이용권을 6,000엔에 판매하는데, 라운지 이용권을 구매해도 아시아나쪽의 이코노미 특가하고 요금이 비슷하다. 이처럼 양국 4개 항공사가 승객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하기 때문에 양국에서 모두 인기가 좋으며, 특히 짐이 많은 승객들과 유학생들 사이에서 일본 항공사들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2. 운항 노선[편집]





2.1. 국내선[편집]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
제주, 부산(김해), 울산
[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svg[S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Z
제주, 광주, 여수
[파일:제주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C
제주, 부산(김해)
[파일:진에어 CI_좌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J
제주, 부산(김해), 포항경주, 진주(사천), 여수, 울산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W
제주, 부산(김해)
[파일:에어부산 CI.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X
제주, 부산(김해)
[파일:에어서울 CI.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S
제주
[파일:이스타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
제주

1번, 3번, 4번, 6번, 8번, 10번, 11번, 14번, 16번, 17번, 18번, 20번 탑승구는 탑승교가 설치되어 있다. 2번, 5번, 7번, 9번, 12번, 13번, 15번, 19번 탑승구는 리모트[2] 탑승구이다.

서편쪽 1번부터 10번 탑승구는 대한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이 사용하고 동편쪽 11번부터 20번 탑승구는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제주항공이 사용한다. 하이에어는 13번 게이트만 사용한다. 간혹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이 서편쪽 탑승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스타항공의 경우 항공편에 따라서 서편 게이트, 또는 동편 게이트를 번갈아 사용한다.

2.2. 국제선[편집]


  • 대한민국 주변 3국의 수도 및 제2도시[3][4]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
동북아시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도쿄(하네다)[ICN], 오사카(간사이)[ICN]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베이징(서우두)[ICN], 상하이(훙차오)
[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svg[S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Z
동북아시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도쿄(하네다)[ICN], 오사카(간사이)[ICN]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베이징(서우두)[ICN][5], 상하이(훙차오)
[파일:제주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C
동북아시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오사카(간사이)[ICN]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W
동북아시아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타이베이(쑹산)
[파일:이스타항공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
동북아시아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타이베이(쑹산)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OW]
파일:일본 국기.svg
JL
도쿄(하네다)
[파일:전일본공수 로고.svg[SA]
파일:일본 국기.svg
NH
도쿄(하네다)
[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svg[[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 화이트.svg[SA]
파일:중국 국기.svg
CA
베이징(서우두)[ICN]
[파일:중국남방항공 로고.svg
파일:중국 국기.svg
CZ
베이징(다싱)[ICN][6]
[파일:중국동방항공 로고.svg[ST]
파일:중국 국기.svg
MU
상하이(훙차오)
[파일:상하이항공 로고.svg[ST]
파일:중국 국기.svg
FM
상하이(훙차오)
[파일:중화항공 로고.svg[[파일:중화항공 로고 화이트.svg[ST]
파일:대만 국기.svg
CI
타이베이(쑹산), 가오슝[ICN]
[파일:에바항공 로고.svg[SA]
파일:대만 국기.svg
BR
타이베이(쑹산)
[파일:ttw.png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틀:국기|
]][[틀:국기|
]]

IT
가오슝

R1 탑승구를 제외하면[7] 나머지 탑승구 (34번, 35번, 36번, 37번, 38번, 39번)는 탑승교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의 FSC인 일본항공전일본공수는 이 곳으로만 들어온다. 김포-하네다 항공노선의 도심 접근성이란 최대의 이점을 누리고 있기 때문.[8] 거기에 인천발 노선은 한국의 LCC들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기 때문에, 일본 양사는 한 때 다양한 노선을 운항했지만 전부 철수하고 김포행만 남겨두고 있다.[9]

3. 국제선 확충에 대한 논란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포국제공항 이전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4:10:37에 나무위키 김포국제공항/운항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제주항공은 김포 - 나고야 노선에도 취항했으나 2016년부터 인천 - 나고야로 변경되었다.[ST] A B C D E 스카이팀[SA] A B C D E 스타얼라이언스[2] 항공기까지 버스로 이동[3] 일본 : 도쿄(하네다), 오사카
중국 : 베이징(서우두, 다싱), 상하이(훙차오)
대만 : 타이베이(쑹산), 가오슝
[4] 일반적으로 국제선 운수권을 조정할 시 도심에서 접근성이 더 용이한 국제공항으로 바꿔달라는 요구가 나오기 때문에 유리한 운수권을 얻어 취항까지 확정되면 당연히 다른 항공사들도 소식을 접하고 동일한 요청을 하게 된다. 그럼에도 아시아권에서 김포 - 인천, 훙차오 - 푸둥, 송산 - 타오위안, 돈므앙-수완나품 등은 국제선 분리 기준이 깔끔한 편이며, 유럽북미권으로 넓히면 오를리 - 샤를 드 골, 말펜사 - 리나테, 라과디아 - 존 F. 케네디 등도 국제선 분리 기준이 깔끔한 편이다. 반대로, 베이징도쿄는 중장거리 국제선까지 취급하는 국제공항이 두 곳씩이나 있는데 물론 도시들의 인구규모, 경제규모를 고려하면 전혀 이상할 점이 없으나 이면에는 정부 간, 항공사 간, 정부-항공사 간, 민군관 간 이해관계가 복잡히 얽혀서 여전히 노선 분리가 깔끔하게 되지 못한 이유가 있다.[ICN] A B C D E F G H I J 인천국제공항 발착편도 운항중[5] 2024년 01월 01일 ~ 03월 30일 비운항[OW] 원월드[6] 기존에는 서우두 착발으로 운항하였으나, 중국남방항공의 허브공항 정책 변경으로 국제선 노선들을 서우두에서 다싱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다싱 착발로 변경되었다.[7] 리모트 탑승구라 항공기까지 버스로 이동. 평시에는 사실상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8] 일본 도쿄 자주 가는 사람들의 경우 하네다행을 자주 탄다. 그러나 인천발의 경우 아시아나항공, 대한항공, 피치 항공 밖에 없으며 그나마 가격이 저렴한 피치 항공의 경우 심야 편성이다. 이런 연유로 괜찬은 시간대에 출발하는 하네다행이 많은 김포를 찾는다고 한다.[9] 그래서 인천-나리타에는 일본항공의 자회사이자 저비용 항공사인 집에어, 인천-하네다에는 전일본공수의 자회사이자 저비용항공사인 피치항공이 운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