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병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파일:떡종류 틀.png
}}} 떡의 종류
[ 펼치기 · 접기 ]


파일:석탄병.jpg

惜呑餠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석탄병은 찹쌀과 말린 으로 만들어서 시루에 찐 이다. 쉽게 말하면 감설기다. 이름의 의미는 한자 그대로인 아낄 석(惜), 삼킬 탄(呑), 떡 병(餠)으로, 삼키기가 아까운 떡이라는 뜻이다. 석탄 나르는 석탄병(石炭兵)이 아니다. 진폐증도 아니다


2. 상세[편집]


고려의 감설기가 발전한 떡이다. 감가루와 견과류, 등을 넣어 만든 떡으로 감가루를 섞은 까닭에 자줓빛이 난다. 이 떡의 핵심은 무엇보다 이다. 가을철에 수확한 을 건조한 뒤, 감을 가루내야 먹을 수 있는 떡이다. [1] 이후 감가루와 찹쌀(또는 멥쌀)과 같은 분량을 넣고 쪄 먹는다. 여기에 대추, 계핏가루, 등을 버무려 먹는다. 주로 양반가에서 많이 먹은 떡이다. <시의전서>에 조리법이 수록돼 있으며, 특히 <규합총서>에는 조리법과 더불어 "석탄병은 그 맛이 좋아 차마 삼키기 아까운 떡"으로 묘사돼 있다.

감이 잘 나오는 남부지방에서 자주 해먹었으며 떫은맛을 없앤 침감(소금물에 우린 감을 말한다.)으로 만들어서 맛을 더 좋게 만들 수도 있다. 참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8:42:24에 나무위키 석탄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딱딱한 감으로 말리는 것이 좋다. 물렁한 감은 가루로 만들기 어렵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