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사정기비각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창덕궁 사정기비각
昌德宮 四井記碑閣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
건축시기
1690년 (창건)

파일:사정기비각2.png}}}
사정기비각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주합루, 서향각, 희우정, 천석정과 같이 소개한다.

1. 개요
2. 역사
3. 구조



1. 개요[편집]


창덕궁 후원 부용지 권역에 있는 비각이다. 부용정의 서북쪽, 주합루의 서남쪽에 있다.


2. 역사[편집]


〈동궐도〉 사정기비각과 우물
1460년(세조 6년)에 세조가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겼을 때, 조카들을[1] 시켜 이 일대에서 샘물을 찾게 했다. 그리고 4곳을 발견하여 우물을 만들고 각각 ‘옥정(玉井)’, ‘마니(摩尼)’, ‘유리(流璃)’, ‘파려(玻瓈)’란 이름을 붙였다.

그러다 세월이 흘러 우물 4개 중 절반은 없어지고 2개만 남았다. 그런데 그마저도 망가졌다. 숙종이 이를 안타깝게 여겨 남은 우물 2개를 수리한 뒤# 우물의 역사를 담은 비석과 비각을 1690년(숙종 16년)에 지었다. 그래서 이름이 ‘4개(四)의 우물(井)에 대해 기록한(記) 비각(碑閣)’인 사정기비각(四井記碑閣)인 것이다.
현재 남은 우물[2]


3. 구조[편집]


  • 1층[3] 목조 건물이다. 칸 수는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총 1칸이다. 기단은 장대석으로 쌓았으며 기둥은 원기둥이다.

  • 건물 주위를 으로 둘렀고, 정면(동쪽 면) 앞에 작은 을 두었다.하지만 문 바로 앞에 연못이 있다. 왜 만든거야 문은 일각문으로, 문짝 하단부는 초록색 나무이고 중간부와 상단부는 초록색 나무 살을 세워놓은 형태이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로,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며 도리 사이에 소로를 두었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그 위에 용두를 두었다. 단청은 모로단청[4]으로 칠했다.

  • 정면(동쪽 면)은 비각 실내로 들어갈 수 있게 출입문을 두었다. 문 양 옆에는 을 두었다. 문짝과 벽의 하단부는 초록색 나무이며 중간부와 상단부, 그리고 문상방 위에는 초록색 나무 살을 세워놓았다. 하지만 측면과 후면은 다르다. 벽의 하단부를 벽돌로 쌓았고, 중인방 위에 초록색 나무 살을 세운 형태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용지 용머리.png}}} ||
용머리 조각
비각 북쪽에 돌로 만든 용머리 조각이 있다. 근처 우물계곡에서 흐르는 이 용머리 입을 통해 부용지로 흘러든다. 용 머리 조각 양 옆에는 네모난 돌이 있다. 대한제국 황실을 상징하는 문장 이화문이 새겨진 것을 보아 순종 이어 이후에 설치한 듯 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14:03에 나무위키 창덕궁 사정기비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임영대군장남 오산군, 광평대군의 장남 영순군.[2] 사진 출처 - 문화유산채널.[3]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4] 가칠단청 위에 선 만 그어 마무리한 단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