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협양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405년 (창건 추정)
1608년 (중건)
1647년 (중건)
1908년 (철훼 추정)
1. 개요
2. 역사
3. 구조
4. 여담



1. 개요[편집]


창덕궁편전 희정당 권역의 정문이다.

다만, 단순히 희정당의 정문만이 아닌, 창덕궁 내 합문(閤門) 역할을 했다. 합문이란 궁궐에서 공적 공간사적 공간의 경계로 설정한 문을 말하며, 보통 편전 영역에 있었다. 왜냐하면 정전은 명실상부한 공적 공간이고 내전은 확실한 사적 공간인데 그 사이에 있는 편전은 일상적으로 이 머물며 정사를 돌보는, 즉, 공적 · 사적 역할이 섞인 곳이기 때문이었다.#

협양문으로 들어가면 바로 희정당이 나오는 게 아니었고, 중간에 선화문(宣化門)과 희인문(熙仁門)을 지나야 비로소 희정당이 보였다.


2. 역사[편집]


정확한 건립 연대는 모르지만 1405년(태종 5년) 창덕궁 창건 때 지은 듯 하다. 1608년(광해군 원년)에 복구했으나, 이괄의 난 때 다시 화재를 입어 이후 재건했다.

현재는 없다. 훼철 시기 역시 정확히 모르나 대한제국 순종이 창덕궁으로 이어[A]한 이후 헌 것으로 보인다.


3. 구조[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협양문.png}}} ||
《동궐도》 협양문
동궐도》에 따르면, 1칸짜리 문으로 지붕은 맞배지붕에 솟을대문 형식이며 용마루에 용두를 놓았다. 양쪽 칸은 으로 마감했으며 기단계단은 없다.


4. 여담[편집]


  • 합문은 고정된 게 아니라 때에 따라 바뀌었기 때문에 현직 관료가 아니면 합문이 어딘지를 잘 몰랐다. 이와 관련한 에피소드가 있다. 정조 시기에 한 신입 사관창덕궁의 합문인 이 곳에서 을 기다렸다. 그런데 그 때 정조는 창경궁에 머물고 있어서 당시 합문은 창경궁 빈양문이었다.[1] 뒤늦게 이를 안 사관은 땀을 뻘뻘 흘리며 부랴부랴 빈양문으로 건너갔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16:29에 나무위키 창덕궁 협양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移御. 임금이 이사하는 것.[1] 창경궁 명정전숭문당 사이에 있는 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