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종류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황/국가별/대한민국|{{{#000,#666

현황
]]
집단감염 사례 / 6차 대유행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대한민국|{{{#000,#666

대응
]]
2023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대한민국|{{{#000,#666

백신
]]
현황 / 평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대한민국의 법률과 정책|{{{#000,#666

법률 · 정책
]]
단계적 일상회복 / 과학방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경과|{{{#000,#666

경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반응/대한민국 여론|{{{#000,#666

반응
]]
[[: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사건 사고|{{{#000,#666

사건 사고
]]
주요 국가 (2023년 5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공통
개요
경과 / 현황
경과 · 발생 국가 · 전 세계 현황 · 국가별 현황
사회적 영향
대응아시아(대만, 북한, 인도, 일본, 중국(본토(경과), 홍콩),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이란,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 유럽(영국, 튀르키예, 러시아,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 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 · 아프리카(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기구 · 출입국 현황 · 중국 책임론 · 대중국 소송
반응아시아인 혐오 · 논란 · 루머
영향경제 · 교육(등교 관련) · 문화 · 물류 · 시험 · 스포츠 · 종교 · 환경
마스크 착용 의무화 · 코로나 세대 · 코로나 블루 · 코로나 학번 · 완치 이후 · 포스트 코로나 · 단계적 일상회복 · 방역 부조리 및 형평성 문제 · 손실보상 문제 · 사생활 침해 논란 · 코로나 버블 · 물류 대란 · 식량·에너지 대란 · 단백질 식품 대란
사건 사고군대 · 병원 · 종교 · 기타
의학 정보
질병SARS-CoV-2(원인 · 전염성 · 예방)
변이 및 변종(α 알파 · β 베타 · γ 감마 · δ 델타 · δ + 델타 플러스 · ε 엡실론 · η 에타 · κ 카파 · λ 람다 · μ · ο 오미크론 · 델타크론 · A.VOI.V2 · AV.1 · π 파이 · ω 오메가 · B.1.640.2 · BA.2 · XE · XJ · XL · XM · BA.2.12.1 · BA.2.75 · BA.5)
증상· 털곰팡이증
진단 및 검사(신속항원키트) · 완치 및 후유증
치료치료제 종류 · 대증요법 · 음압병실 · 인공호흡기 · 에크모
알약(팍스로비드 · 라게브리오) · 주사(렘데시비르 · 악템라주 · 렉키로나주항체 · 이부실드항체) *
백신종류 · 논란 · 백신 음모론 · 온실 면역(방역의 역설) / 혼합 면역(하이브리드 면역) · 집단 면역 · 돌파감염 · 코백스 퍼실리티 · 부스터샷 · 항원 결정기 / 항원 결합부 / 항원의 원죄
Ad26.COV2-S(존슨앤드존슨 / 얀센) · Vaxzevria(AZD1222)(아스트라제네카 / 옥스퍼드대) · Comirnaty(BNT162) (화이자 / 바이온테크) · Spikevax(mRNA-1273)(모더나) · Nuvaxovid(NVX-CoV2373)(노바백스) · SKYCovione(GBP510)(SK바이오사이언스) *
그 밖의 정보
인물
단체
인물(T. A. 거브러여수스, 권덕철, 백경란, 앤서니 파우치) · 사망자
파일:세계보건기구기.svg 세계보건기구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의약품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로스포트레브나드조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식품의약품안전처 · 국립보건연구원 · 씨젠 · 셀트리온 · SK바이오사이언스 · 파일:북한 국기.svg 국가비상방역사령부 ·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앤드존슨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FDA · 화이자 · 모더나 · 파일:중국 국기.svg 국가위생건강위원회 · 국가질병예방공제국 · 파일:일본 국기.svg 후생노동성 · 파일:영국 국기.svg 아스트라제네카 · MHRA · 파일:대만 국기.svg 위생복리부 · 파일:벨기에 국기.svg 얀센
의료시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선별진료소 · 생활치료센터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콥 K. 재비츠 컨벤션센터 · 매코믹 플레이스 · 파일:중국 국기.svg 훠선산 병원 · 파일:일본 국기.svg 마쿠하리 멧세 · 오다이바 · 파일:영국 국기.svg ExCeL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라 밀라노
기타마스크 불량 착용 · 마기꾼 · 예스마스크 · 정보감염증 · 포스트 코로나 · 다함께 이겨내요 · 덕분에 챌린지 · 관련 웹사이트 · 엄격성 지수 · 창작물 · 학생 건강상태 자가진단 · 신속항원키트
* 최종 서술 시점 기준 대한민국에서 유통 중인 백신 및 치료제만 표기함.


1. 개요
2. 종류
3. 해외, 대한민국 모두 사용 승인
3.3. BNT162 (미국 화이자 · 독일 바이온테크)
3.4. Ad26.COV2-S (미국 존슨앤드존슨 · 벨기에 얀센)
3.6. SKYCOVIONE (대한민국 SK바이오사이언스)
4. 대한민국 사용 승인
5. 대한민국 사용 미승인, 해외 사용 승인
5.1. Convidecia (중국 캔시노)
5.4. Gam-COVID-Vac (러시아 가말레야)
5.4.1. 스푸트니크 라이트
5.4.2. 스푸트니크 M
5.5. EpiVacCorona (러시아 벡토르)
5.6. Covaxin (인도 바라트 바이오텍)
5.7. CoviVac (러시아 추마코프)
5.8. MVC-COV1901 (대만 가오돤)
5.9. ZyCoV-D (인도 카딜라)
5.10. FINLAY-FR-2 (쿠바 핀라이 연구소)
5.11. CIGB-66 (쿠바 CIGB)
5.12. CORBEVAX (미국 베이어대학)
5.13. Covifenz (캐나다 메디카고)
5.14. VLA2001 (프랑스 발네바)
5.15. Indovac (인도네시아 바이오파르마)
5.16. VidPrevtyn Beta (프랑스 사노피)
5.17. DS-5670 (일본 다이이찌산쿄)
6. 임상 3상 이상 완료, 사용승인 이전
7. 중도 중단, 폐기 또는 실패
7.1. 확정은 아니지만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백신
8. 연구 단계
8.1. 알약
8.2. 비강형 백신
8.3. 패치형 백신
8.4. 기타


1. 개요[편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백신의 종류를 정리한 문서.


2. 종류[편집]


파일:N5VQIE5O2FGFXGN3OGPD3FFVQE.jpg

임상 3상 시험 또는 접종에 도입 중인 백신만 정리한다.

또한 각 규제기관 및 WHO에서 승인받은 백신도 아직 임상 3상 및 안전성 평가가 진행 중에 있음을 유념한다. 완전히 끝났다면 해당 백신은 임상 4상(다른 말로는 영원한 임상)[1]으로 분류한다.

백신명주요 개발사종류주요 개발국
BNT162화이자·바이온테크mRNA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RNA-1273모더나mRNA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NVX-CoV2373노바백스단백질재조합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Ad26.COV2-S존슨앤드존슨·얀센비복제바이러스벡터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AZD1222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 대학교비복제바이러스벡터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Ad5-nCoV캔시노 바이오로직스비복제바이러스벡터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BBIBP-CorV [2]시노팜비활성바이러스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CoronaVac시노백비활성바이러스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Gam-COVID-Vac가말레야 연구소비복제바이러스벡터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EpiVacCorona벡토르 센터단백질재조합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CoviVac추마코프 연구소비활성바이러스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Covaxin바라트 바이오텍비활성바이러스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FINLAY-FR-2핀라이 연구소단백질재조합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CIGB-66CIGB단백질재조합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GBP510SK바이오사이언스·글락소스미스클라인·워싱턴 대학교유전자재조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ZyCoV-D카딜라DNA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VLA2001발네바비활성바이러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3. 해외, 대한민국 모두 사용 승인[편집]



3.1. AZD1222 (영국/스웨덴 아스트라제네카 · 옥스퍼드대)[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영국2020년 12월 30일2021년 1월 4일긴급승인
아르헨티나2020년 12월 30일-긴급승인
엘살바도르2020년 12월 30일-긴급승인
인도2021년 1월 3일2021년 1월 16일긴급승인
방글라데시2021년 1월 4일2021년 1월 28일긴급승인
모로코2021년 1월 6일2021년 1월 28일긴급승인
네팔2021년 1월 15일2021년 1월 28일긴급승인
파키스탄2021년 1월 16일-긴급승인
브라질2021년 1월 17일-긴급승인
헝가리2021년 1월 21일-긴급승인
태국2021년 1월 22일-긴급승인
바레인2021년 1월 25일-긴급승인
미얀마2021년 1월 27일2021년 1월 27일긴급승인
남아공2021년 1월 27일-긴급승인
칠레2021년 1월 27일-긴급승인
필리핀2021년 1월 28일-긴급승인
유럽연합2021년 1월 29일-긴급승인
베트남2021년 1월 30일2021년 3월 8일긴급승인
몰디브2021년 2월 1일2021년 2월 1일긴급승인
대한민국2021년 2월 10일2021년 2월 26일조건부 허가[3]
캄보디아2021년 2월 12일-긴급승인
호주2021년 2월 16일-긴급승인
사우디아라비아2021년 2월 18일-긴급승인
나이지리아2021년 2월 18일-긴급승인
이란2021년 2월 18일-긴급승인
대만2021년 2월 20일-긴급승인
우크라이나2021년 2월 22일2021년 2월 24일긴급승인
아프가니스탄2021년 2월 23일2021년 2월 23일긴급승인
캐나다2021년 2월 26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인도네시아2021년 3월 9일-긴급승인
파푸아뉴기니2021년 3월 10일-긴급승인
일본2021년 5월 21일-특례승인[4]
우루과이2021년 8월 23일-긴급승인
아르메니아2021년 8월 일-긴급승인
뉴질랜드2021년 월 일-긴급승인
시에라리온--긴급승인


3.2. mRNA-1273 (미국 모더나)[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미국2020년 12월 18일2020년 12월 21일정식승인
캐나다2020년 12월 23일-긴급승인
이스라엘2021년 1월 5일-정식승인
유럽연합2021년 1월 6일-긴급승인
팔라우2021년 1월 7일2021년 1월 7일최종승인
영국2021년 1월 8일-긴급승인
스위스2021년 1월 12일-임시승인
베트남2021년 2월 26일-긴급승인
필리핀2021년 5월 5일-긴급승인
대한민국2021년 5월 21일2021년 6월 15일조건부 허가
일본2021년 5월 21일-특례승인
인도네시아2021년 7월 2일-긴급승인
사우디아라비아2021년 7월 9일-긴급승인
호주2021년 8월 9일-임시승인
케냐2021년 8월 19일-긴급승인
페로 제도2021년 8월 21일-긴급승인
피지2021년 8월 23일-긴급승인
아이티--긴급승인
콜롬비아2021년 12월 2일-긴급승인

3.3. BNT162 (미국 화이자 · 독일 바이온테크)[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영국2020년 12월 2일2020년 12월 8일긴급승인
바레인2020년 12월 4일-긴급승인
캐나다2020년 12월 9일2020년 12월 13일긴급승인
사우디아라비아2020년 12월 10일2020년 12월 17일조건부 허가
멕시코2020년 12월 11일2020년 12월 24일긴급승인
미국2021년 8월 24일2020년 12월 14일허가
쿠웨이트2020년 12월 13일2020년 12월 24일긴급승인
싱가포르2020년 12월 14일2020년 12월 30일긴급승인
오만2020년 12월 15일2020년 12월 27일긴급승인
요르단2020년 12월 15일-긴급승인
코스타리카2020년 12월 15일2020년 12월 24일긴급승인
파나마2020년 12월 15일2021년 1월 20일긴급승인
칠레2020년 12월 16일2020년 12월 24일긴급승인
에콰도르2020년 12월 16일-긴급승인
스위스2020년 12월 19일2020년 12월 23일조건부 허가
이스라엘2020년 12월 19일2020년 12월 19일긴급승인
카타르2020년 12월 20일2020년 12월 23일긴급승인
유럽연합2020년 12월 21일2020년 12월 27일조건부 허가
세르비아2020년 12월 24일2020년 12월 24일조건부 허가
아르헨티나2020년 12월 24일-조건부 허가
말레이시아2021년 1월 9일2021년 2월 24일조건부 허가
필리핀2021년 1월 14일-긴급승인
호주2021년 1월 25일2021년 2월 21일조건부 허가
홍콩[5]2021년 1월 25일-긴급승인
뉴질랜드2021년 2월 3일2021년 2월 19일잠정승인
일본2021년 2월 14일2021년 2월 17일특례승인
레바논2021년 2월 14일2021년 2월 14일긴급승인
브라질2021년 2월 23일2021년 월 일최종승인
대한민국2021년 3월 5일2021년 4월 일조건부 허가[6]
몰디브2021년 3월 15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남아공2021년 3월 16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스리랑카2021년 5월 8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방글라데시2021년 5월 28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베트남2021년 6월 12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대만2021년 월 일2021년 9월 2일긴급승인
페로 제도2021년 월 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아르메니아2021년 월 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웨스트뱅크2021년 8월 23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라오스긴급승인
바티칸긴급승인
중국2022년 12월 21일긴급승인
  • 튀니지, 알바니아에서도 승인받았으나, 자세한 자료는 없다.


3.4. Ad26.COV2-S (미국 존슨앤드존슨 · 벨기에 얀센)[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바레인2021년 2월 25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미국2021년 2월 27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요르단2021년 3월 1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캐나다2021년 3월 5일2021년 월 일정식승인
유럽연합2021년 3월 11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스위스2021년 3월 22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태국2021년 3월 26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브라질2021년 3월 30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남아공2021년 4월 1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대한민국2021년 4월 7일2021년 6월 10일조건부 허가
튀니지2021년 4월 8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영국2021년 5월 28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쿠웨이트2021년 6월 8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우크라이나2021년 7월 5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베트남2021년 7월 15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짐바브웨2021년 7월 28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인도2021년 8월 7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이란2021년 9월 16일2021년 월 일공식승인
라오스긴급승인
쿠웨이트긴급승인
잠비아긴급승인
카메룬긴급승인
일본2022년 5월 30일긴급승인

3.5. Nuvaxovid (미국 노바백스)[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인도네시아2021년 11월 1일2021년 12월 1일긴급승인
필리핀2021년 11월 17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유럽연합2021년 12월 20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인도2021년 12월 28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대한민국2022년 1월 12일2022년 2월 9일긴급승인
프랑스2022년 1월 14일2022년 2월 21일긴급승인
호주2022년 1월 20일2022년 2월 8일긴급승인
이스라엘2022년 1월 28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영국2022년 2월 3일긴급승인
뉴질랜드2022년 2월 4일긴급승인
싱가포르2022년 2월 14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캐나다2022년 2월 17일2022년 월 일정식승인
태국2022년 4월 8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스위스2022년 4월 14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일본2022년 4월 18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미얀마2022년 5월 1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방글라데시2022년 5월 14일긴급승인
대만2022년 6월 17일2022년 6월 30일긴급승인
미국2022년 7월 13일2022년 8월 3일긴급승인
남아공긴급승인


3.6. SKYCOVIONE (대한민국 SK바이오사이언스)[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대한민국2022년 6월 29일2022년 8월 30일품목허가
영국2023년 5월 30일품목허가

4. 대한민국 사용 승인[편집]



5. 대한민국 사용 미승인, 해외 사용 승인[편집]



5.1. Convidecia (중국 캔시노)[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중국2020년 6월 25일2020년 6월 25일정식승인
인도네시아심사 중-구매계약
말레이시아2021년 6월 15일2021년 8월 21일긴급승인
멕시코2021년 2월 10일2021년 2월 15일제한승인
파키스탄2021년 2월 12일비상승인
헝가리2021년 3월 22일비상승인
몰도바2021년 월 일긴급승인
칠레긴급승인
에콰도르긴급승인
아르헨티나2021년 월 일긴급승인
태국2022년 8월 9일긴급승인
미얀마2022년 월 일긴급승인

5.2. CoronaVac (중국 시노백)[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중국2020년 7월 7일 [7]2021년 1월 1일긴급승인
인도네시아2021년 1월 11일2021년 1월 13일긴급승인
터키2021년 1월 13일2021년 1월 14일긴급승인
브라질2021년 1월 17일2021년 1월 17일긴급승인
칠레2021년 1월 20일-긴급승인
홍콩2021년 2월 18일2021년 2월 26일긴급승인
필리핀2021년 2월 22일2021년 3월 1일긴급승인
태국2021년 2월 22일2021년 2월 28일긴급승인
우크라이나2021년 3월 9일긴급승인
짐바브웨2021년 3월 9일-긴급승인
이집트2021년 4월 26일-긴급승인
방글라데시2021년 6월 6일-긴급승인
남아공2021년 7월 3일-긴급승인
아르메니아2021년 8월 일-긴급승인
사우디아라비아-2021년 8월 25일긴급승인
베네수엘라--긴급승인
말레이시아--긴급승인
조지아--긴급승인
파나마--긴급승인
튀니지--긴급승인
트리니다드토바고--긴급승인

5.3. BBIBP-CorV (중국 시노팜)[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아랍에미리트2020년 12월 9일2020년 12월 15일긴급승인
바레인2020년 12월 14일-긴급승인
중국2020년 12월 31일2021년 1월 1일조건부승인
라오스2020년 12월 일2021년 1월 일긴급승인
이집트2021년 1월 2일2021년 1월 24일긴급승인
세르비아2021년 1월 19일2021년 1월 19일긴급승인
파키스탄2021년 1월 19일-긴급승인
헝가리2021년 1월 29일2021년 2월 24일긴급승인
캄보디아2021년 2월 4일2021년 2월 10일긴급승인
네팔2021년 2월 18일2021년 월 일조건부승인
세네갈2021년 2월 23일2021년 2월 23일긴급승인
이라크2021년 3월 1일2021년 3월 1일긴급승인
짐바브웨2021년 3월 9일-긴급승인
몰디브2021년 3월 15일-긴급승인
방글라데시2021년 4월 29일-긴급승인
솔로몬 제도-2021년 5월 21일긴급승인
태국2021년 5월 28일-긴급승인
베트남2021년 6월 4일-긴급승인
필리핀2021년 6월 7일-긴급승인
탄자니아-2021년 7월 24일긴급승인
케냐2021년 8월 19일2021년 9월 18일긴급승인
사우디아라비아-2021년 8월 25일긴급승인
니카라과--긴급승인
부르키나파소--긴급승인
적도기니--긴급승인
아제르바이잔--긴급승인
코모로스--긴급승인
마다가스카르--긴급승인


5.4. Gam-COVID-Vac (러시아 가말레야)[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러시아2020년 8월 11일2020년 12월 5일최종승인
벨라루스2020년 12월 21일2020년 12월 29일최종승인
아르헨티나2020년 12월 23일2020년 12월 29일최종승인
라오스2020년 12월 일2021년 1월 2일긴급승인
볼리비아2021년 1월 6일2021년 1월 28일최종승인
알제리2021년 1월 10일2021년 1월 30일긴급승인
팔레스타인2021년 1월 11일2021년 1월 19일긴급승인
베네수엘라2021년 1월 13일2021년 2월 18일긴급승인
파라과이2021년 1월 15일2021년 2월 22일긴급승인
투르크메니스탄2021년 1월 18일-최종승인
헝가리2021년 1월 21일2021년 2월 12일긴급승인
아랍에미리트2021년 1월 21일-긴급승인
파키스탄2021년 1월 24일-긴급승인
이란2021년 1월 26일2021년 2월 9일최종승인
튀니지2021년 1월 30일2021년 3월 13일1년 승인
아르메니아2021년 2월 1일-최종승인
멕시코2021년 2월 2일-긴급승인
미얀마2021년 2월 6일-긴급승인
몽골2021년 2월 9일-긴급승인
바레인2021년 2월 9일-긴급승인
우즈베키스탄2021년 2월 17일-최종승인
산마리노2021년 2월 19일2021년 2월 25일긴급승인
시리아2021년 2월 22일2021년 3월 1일최종승인
이집트2021년 2월 24일-비상용승인
과테말라2021년 2월 25일-긴급승인
몰도바2021년 2월 26일-긴급승인
베트남2021년 2월 26일2021년 3월 23일긴급승인
스리랑카2021년 3월 5일-긴급승인
북마케도니아2021년 3월 7일-비상승인
짐바브웨2021년 3월 9일-긴급승인
케냐2021년 3월 10일-긴급승인
요르단2021년 3월 10일-긴급승인
아제르바이잔2021년 3월 12일-공식승인
필리핀2021년 3월 19일-긴급승인
세이셸2021년 3월 19일-긴급승인
인도2021년 4월 12일2021년 5월 1일긴급승인
네팔2021년 4월 20일-긴급승인
방글라데시2021년 4월 27일-긴급승인
터키2021년 4월 30일-긴급승인
알바니아2021년 4월 30일-긴급승인
에콰도르2021년 5월 15일-공식승인
슬로바키아2021년 5월 26일-공식승인
브라질2021년 6월 4일-임시승인
칠레2021년 7월 21일-임시승인
인도네시아2021년 8월 25일-임시승인
바레인2021년 9월 4일-임시승인
캄보디아2021년 10월 29일-긴급승인
호주2022년 1월 17일-긴급승인

5.4.1. 스푸트니크 라이트[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러시아2021년 3월 29일최종승인
베네수엘라2021년 5월 16일최종승인
니카라과2021년 5월 20일긴급승인
모리셔스2021년 6월 2일긴급승인
몽골2021년 6월 11일공식승인
키르기스스탄2021년 6월 26일공식승인
필리핀2021년 8월 23일긴급승인
아르메니아2021년 9월 6일공식승인
이란2021년 9월 16일공식승인
아랍에미리트2021년 10월 6일공식승인
캄보디아2021년 10월 31일공식승인
라오스2021년 11월 23일공식승인
인도2022년 2월 7일공식승인
웨스트뱅크2022년 월 일긴급승인

5.4.2. 스푸트니크 M[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러시아2021년 11월 24일2022년 1월 일긴급승인

5.5. EpiVacCorona (러시아 벡토르)[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러시아2020년 10월 15일2020년 11월 30일[8]최종승인
투르크메니스탄2021년 월 일2021년 월 일공식승인
캄보디아긴급승인
베네수엘라긴급승인

5.6. Covaxin (인도 바라트 바이오텍)[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인도2021년 1월 3일2021년 1월 16일긴급승인
이란2021년 2월 18일-긴급승인
모리셔스--긴급승인
짐바브웨2021년 3월 4일-긴급승인
네팔2021년 3월 19일-비상승인
브라질2021년 6월 4일-임시승인
파라과이-2021년 3월 30일긴급승인
멕시코2021년 4월 일-긴급승인
니카라과2021년 월 일-긴급승인
필리핀--긴급승인
베네수엘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가이아나--긴급승인
보츠와나--긴급승인
과테말라--긴급승인
홍콩2021년 11월 10일-긴급승인
베트남2021년 11월 10일-긴급승인
트리니다드토바고--긴급승인
말레이시아--긴급승인
호주--긴급승인

5.7. CoviVac (러시아 추마코프)[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러시아2021년 2월 20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캄보디아2021년 11월 1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벨라루스--긴급승인

5.8. MVC-COV1901 (대만 가오돤)[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대만2021년 7월 19일2021년 8월 일긴급승인
소말릴랜드2022년 1월 17일긴급승인
파라과이2022년 월 일긴급승인

5.9. ZyCoV-D (인도 카딜라)[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인도2021년 8월 20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5.10. FINLAY-FR-2 (쿠바 핀라이 연구소)[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쿠바2021년 5월 일2021년 6월 3일긴급승인
이란2021년 월 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베네수엘라2021년 월 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니카라과2021년 월 일2021년 월 일긴급승인

5.11. CIGB-66 (쿠바 CIGB)[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쿠바--긴급승인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긴급승인
베네수엘라--긴급승인
베트남--긴급승인
니카라과--긴급승인
멕시코--긴급승인

5.12. CORBEVAX (미국 베이어대학)[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인도2021년 12월 28일2022년 2월 15일긴급승인
보츠와나2022년 월 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미얀마2022년 월 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5.13. Covifenz (캐나다 메디카고)[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캐나다2022년 2월 25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5.14. VLA2001 (프랑스 발네바)[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바레인2022년 3월 1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영국2022년 4월 14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아랍에미리트2022년 5월 17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유럽연합2022년 6월 27일2022년 월 일정식승인

5.15. Indovac (인도네시아 바이오파르마)[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인도네시아2022년 9월 29일2022년 월 일긴급승인

5.16. VidPrevtyn Beta (프랑스 사노피)[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유럽연합2022년 11월 10일정식승인

5.17. DS-5670 (일본 다이이찌산쿄)[편집]


승인국가승인일배포일비고
일본2023년 10월 31일정식승인

6. 임상 3상 이상 완료, 사용승인 이전[편집]


백신명개발국가제약사사용승인 예상 시기
NanoCovax베트남나노젠2022년 예정
코빅실-V미국바이오로그디바이스2022년 예정
DS-5670일본다이이찌산쿄2023년 예정

7. 중도 중단, 폐기 또는 실패[편집]


백신명개발국가제약사임상 단계중단일중단 사유최종 결과
V451호주CSL/퀸즐랜드대학교1상2020년 12월 11일HIV 위양성 반응폐기[9]#
V590
V591
미국머크[10]1상2021년 1월 25일면역 반응 부족둘 모두 폐기#
LNP-nCoVsaRNA영국임페리얼 칼리지 런던1상2021년 3월?폐기[11]
COVID-19-101프랑스파스퇴르연구소1상2021년 3월?폐기
CVnCoV독일큐어백3상2021년 6월?낮은 예방률사실상 실패[12]
GX-19N대한민국제넥신 컨소시엄2/3상2022년 3월 11일대상자 모집과 운영의 어려움
윤리적 이슈
사실상 개발중단#


7.1. 확정은 아니지만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백신[편집]


백신명제약사국가유형임상 단계사유비고
INO-4800이노비오미국DNA?너무 낮은 중화항체 역가부스터샷용으로 전환


8. 연구 단계[편집]



8.1. 알약[편집]


현재 머크, 화이자 등 외국 제약 업체가 앞서 있다고 한다.#

8.2. 비강형 백신[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 문서의 r8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 문서의 r8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흡입형 백신, 스프레이형 백신, 비강형 치료제라고도 한다. 기존의 치료제나 소독제 등을 사용하더라도, 제품의 목적이 '감염예방'이란 측면에서 '백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사기로 투입되는 기존 백신과 달리 비강에서 점막 면역 반응을 일으켜 면역글로불린 A 항체를 만들어 내므로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훨씬 크다. 항체 유지 기간은 짧지만 스프레이를 자주 뿌리면 면역 보완이 가능하고, 보관 및 주입이 쉬워서 (여러모로 사용이 불편하고 거부감이 많은) 마스크를 대신할 가능성이 높다. 전 세계의 20여개 팀이 비강형 백신이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며 멈추지 않고 연구 중이다. #

수개월~1년 단위 - 주사기나 약병의 부족 및 주사기 공포증 인구 문제, 개도국 보급 및 인구밀집지역 확산방지효과 등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주사 방식보다 선호될 궁극의 백신이 될 수 있다. 2013~2015 계절독감(인플루엔자) 때 1년 단위로 접종하는 비강형 백신이 이미 출시된 바 있다. #
  • 한국 서상희 충남대 교수팀[13] - 2020년 10월 5일, 임상 전 동물실험 완료. 임상 및 상용화로 넘어가기 위해 기업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
  • 한국 제넥신 - 2020년 8월 19일 임상 전 동물실험 단계. "5~35일 예방효과" 기대. #
  •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대 - 2020년 9월 15일 개발 시작. #

수시간~수일 단위 - 개인이 소지하고 다니며 자주 뿌리면서, 소독제-마스크-비누처럼 필수재가 될 수 있다.
  • 한국 진원생명과학 - 2020년 5월 4일 GLS-1200[14] 미국에서 임상 2상 시작. "일 3회 코에 투여" #
  • 홍콩 홍콩대 위안궈융(袁國勇) 연구팀 - 2020년 1월 29일 개발 시작 #, 2020년 8월 4일 동물 실험 시작 #, 2020년 9월 10일 임상 시작 # 중국 샤먼대, 베이징 완타이 생명제약과 협업.
  • 인도 바라트 바이오텍 - 2021년 2월 16일 BBV154 임상 1상 시작. # 2021년 8월 12일 임상 2/3상 시작. 2022년 9월 6일 승인. #
  • 인도 코다제닉스, 혈청연구소(SII) - 2021년 1월 12일 임상 1상 시작. #
  • 인도 세럼 연구소 - 2020년 9월 23일 기준 동물 실험 완료, 임상중. 2020년 9월 23일 미국 코다제닉스와 협업 발표. #
  • 한국 케이젠 - 2020년 12월 17일 임상 전 동물 실험 완료. "24시간 예방효과" 발표. #
  • 러시아 가말레야 연구소 - 2020년 5월 31일 개발 시작.# 2021년 10월 중순 분무형 스푸트니크 V 임상 2상 시작.#
  • 미국 알티뮨 - 2020년 10월 12일 개발 시작 # 항체 형성률이 낮아서 개발이 취소됐다.
  • 영국 버밍엄대 - 2020년 12월 19일 "48시간 예방효과" 발표. #
  • 미국 바이오로그디바이스 - 2021년 11월 24일 임상 3상 완료. 현재 품목 대기 중.
  • 브라질 인코르 병원 - 임상시험 승인 #
  • 한국 후니즈 - FDA 제품 등록 완료
  • 한국 나노젠 - 2022년 1월 나노코박스 베트남 긴급승인 임박.
  • 중국 칸시노바이오 - 2022년 9월 흡입형 콘비데시아 사용승인 완료. #

8.3. 패치형 백신[편집]


2022년 1월 19일, 스위스는 영국 제약회사 이머젝스가 개발한 패치형 백신후보 '펩GNP(PepGNP)'에 대한 임상시험에 착수했다. 현재 임상 1상. # #

8.4. 기타[편집]


  • 세계 비영리단체 PATH는 NDV-HXP-S라는 차세대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이 백신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변이를 막는 프롤린이 기존 백신보다 많아[15] 항체 효과가 10배 더 크다. 백신 생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란을 이용하여 만들며, 계란 1개로 5~10개의 백신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 운송, 보관, 변이 대응 모두 기존 백신보다 편리하다. 현재 임상 3상. #


  • 모더나의 2세대 코로나-19 백신 제품군인 mRNA-1283이 임상 2상 실험 중에 있다.

  • 노바백스의 오미크론 범용 백신 제품군인 NVX-CoV2515가 임상 3상 실험 중에 있다.

  • 다이이치산쿄가 개발중인 코로나19 백신 제품군인 DS-5670이 후생노동성에 제조판매 승인을 신청했다. #

  • 시노팜의 mRNA 코로나19 백신 제품이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

  • 스야오제약그룹의 mRNA 코로나19 백신 제품이 긴급사용승인을 완료했다. #

  • 미국 아크투루스 테라퓨틱스에서 개발중인 코로나19 백신이 일본에서 승인신청됐다. #
  • 다이이치산쿄가 개발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DS-5670이 지난달 31일에 후생노동성 승인을 통과했다. #
  • 후생노동성은 17일 다이이치산쿄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DS-5670 140만 회분을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 문서의 r8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 문서의 r8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6:36:43에 나무위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종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Phase IV: 상용화 후 장기감시 단계. 여기서 문제 발생 시 해당 백신의 승인은 취소된다.[2] 시노팜은 두 가지 비활성바이러스 백신을 시험하고 있는데 BBIBP-CorV는 그중 하나이다. 제품명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3] 미국 등지에서 진행되는 추가 임상시험 결과 제출을 조건으로 허가됨[4] 접종대상에서는 제외[5] 푸싱그룹과 바이온테크 공동[6]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도입되는 11만 7천 도즈 분량은 2021년 2월 3일 승인되어 같은 달 27일에 배포되기 시작했다.[7] 브라질 임상3상 개시를 승인일 또는 배포일로 혼용해서 부른다#[8] 11월 17일, 임상 3상 대상으로 18세 이상 성인 3000명을 선정하고, 11월 30일부터 접종을 시작했고, 임상3상 개시를 곧 배포라고 명명했다. #[9] 이로 인해 호주에서 자체적으로 개발 중인 자국산 백신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개발 시 확보하고자 했던 5100만 도즈(1인당 1회 접종분) 분량의 계획은 물거품이 되었다. 폐기된 이유는 해당 백신이 효과가 있더라도, 백신을 맞은 사람은 에이즈 감염으로 (거짓)판정되기 때문에 기존의 에이즈 진단에 커다란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에이즈 환자 전용백스으로 만들면 안되나? 호주 정부는 5100만 도즈 분을 다른 제약회사 것을 수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이후 노바백스 백신을 5100만 도즈 주문했다. 그러나 노바백스 백신 특성상 5100만 도즈에 대응하는 인구는 2550만 명분으로 본래 5100만 명분에서 반토막이 나 버렸다.[10] 머크는 본래 AZD1222의 개발 파트너로 유력 협상 대상이었으나 옥스포드의 비영리 이념에 찬동하지 않아 최종 계약이 무산되었다.[11] 임상에 실패한 최초의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이다.[12] 큐어백의 낮은 "예방률"은 전문가들 사이에선 어느 정도 예견되었는데, 왜냐하면 화이자, 모더나가 임상시험을 했을 때는 변이 바이러스 비율이 낮았지만, 오리지널 바이러스를 타깃으로 개발된 큐어백이 임상을 시작한 2021년에는 변이 바이러스가 확진자의 대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이다.[13]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항원을 세포 배양을 통해 대량으로 만들어 동물에 접종하는 방식을 세계에 제시했던 바 있다. #[14] 콧속에 뿌려서 쓴맛을 느끼는 수용체(혀뿐만 아니라 콧속 점막 상피세포에도 존재)를 자극해 산화질소를 형성, 이 산화질소가 효과를 내는 원리라고 한다.[15] NDV-HXP-S 6개, 기존 백신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