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석(1937)

덤프버전 : r (♥ 0)

제11·제12대 국회의원
박경석
朴敬錫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chosun_400004020.jpg
화담(和潭)
출생1937년 2월 11일
경상북도 영일군 송라면 지경리
(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지경리)
사망2019년 4월 12일 (향년 82세)
직업언론인, 정치인
종교불교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 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호는 화담(和潭)이다. 종교불교이다.


2. 생애[편집]


1937년 2월 11일 경상북도 영일군 송라면(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지경리에서 태어났다. 포항중학교, 포항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59년 동아일보사에 입사하여 기자로 근무하였다. 정치부 기자를 거쳐 경제부차장, 논설위원, 주일본특파원, 정치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1980년 민주정의당 대변인 및 중앙집행위원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3월 치러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진우 대신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서종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8년 노태우전두환 색깔 지우기로 인하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이후 국정교과서 사장에 임명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통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대한지적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98년부터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객원교수로 근무하였다.

2019년 4월 12일 낮 12시20분, 향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종류소속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76,624 (35.6%)당선 (18번)초선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시-영일군-울릉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86,526 (38.62%)당선 (1위)재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영일군-울릉군)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30,630 (32.12%)낙선 (2위)


4. 둘러 보기[편집]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나길조김종경[A]이용훈김기철송지영[B]
정희택박동진정원민김정호윤석순김종호
최상업황병준류근환김용수박태준박경석
이우재[B]이춘구김현자정순덕[B]배성동김사용
이건호신상초오제도김윤환정희채김춘수
박현태이양우박종관고귀남나웅배[B]김집
지갑종허청일이상선손춘호정시채안교덕
최낙철김모임이헌기[B]이윤자이민섭이영희
김종인박원탁이상희이영일이경숙조남조
김행자[A]이낙훈김영구황설하순봉곽정현
전병우정창화[C]문용주[C]김유상[C]장경우[C]류수환[C]
김지호[C]이성재[1]강창희[C]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경석 문서의 r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박경석 문서의 r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7:30:13에 나무위키 박경석(193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