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문식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제2대 국회|{{{-2 {{{#FFF 제2대

전·후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전·후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승만 신익희
신익희
이기붕
이기붕 곽상훈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전·후
]]·[[제7대 국회|{{{-2 {{{#FFF 제7대

전·후
]]
곽상훈
백낙준
이효상
제8대
[[제9대 국회|{{{-2 {{{#FFF 제9대

전·후
]]
제10대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백두진
정일권
백두진
정래혁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전·후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채문식
이재형
김재순
박준규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박준규 이만섭
황낙주
김수한
박준규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이만섭
박관용
김원기
임채정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김형오
박희태
강창희
정의화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정세균
문희상
박병석
김진표

국회부의장 · 임시의정원 의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1대 후반기 국회의장
채문식
蔡汶植 | Chae Mun-shik


파일:채문식 의장.jpg

출생
1925년 1월 16일[1]
경상북도 문경군 산양면 현동
(現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현리)[2]
사망
2010년 6월 26일 (향년 85세)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자택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24호
본관
인천 채씨[3]

화방(華邦)

우치(又痴)·금아(琴娥)
재임기간
제11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81년 4월 11일 ~ 1983년 4월 10일
제11대 후반기 국회의장
1983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채홍희, 어머니 인동 장씨
형제자매
5남 2녀 중 장남
배우자
김성숙[1]
자녀
장남 채경철[2], 차남 채경호[3], 3남 채경탁[4]
딸 채경원[5]
학력
산북공립보통학교 (졸업)
중앙중학교 (졸업 / 34회)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 / 수료)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정치학 / 학사)
아메리칸 대학교 대학원 (공공행정학 / 석사)
의원 선수
6
의원 대수
8, 9, 10, 11, 12, 13
약력
중앙고등학교 교사
신흥전문학교 강사
한성일보 기자
경상북도 문경군수
경상북도 선산군수
내무부 재정과장
명지대학교 교수
민국일보 도쿄 특파원
국민당 재정부장
국민당 총무부장
신민당 사무처장
제8대 국회의원 (전국구 / 신민당)
제9대 국회의원 (경북 제11선거구[6] / 신민당)
제10대 국회의원 (경북 제11선거구[7] / 신민당)
국가보위입법회의 부의장
제11대 국회의원 (경북 제13선거구[8] / 민주정의당)
제11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11대 후반기 국회의장
한국·네덜란드 의원친선협회 회장
IPU 한국대표단장
민주정의당 전당대회 의장
제70차 IPU 총회 의장
제12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당대회 의장
한국·중국 의원친섭협회 회장
제12대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위원장
민주정의당 개헌특별위원회 위원장
민주정의당 대표위원
제13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상임고문
새한국당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
통일국민당 공동대표 최고의원
한국정치발전연구회 고문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제11대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편집]


1925년 1월 16일 경상북도 문경군(現 문경시) 산양면 현리에서 아버지 채홍희(蔡鴻僖, 1894. 11. 27 ~ 1976. 1. 12)와 어머니 인동 장씨(1903. 5. 30 ~ 1990. 4. 24)[4] 사이의 5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산북공립보통학교(현 산북초등학교), 사립 중앙중학교(현 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제19회, 문과)에 입학했다.

경성제국대학에서 대학예과 과정을 수료한 1944년 10월, 좌익 서적을 탐독한 혐의를 받고 사상범으로 체포되어 함흥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었고, 이후 1년 후배들(예과 20회[5])과 함께 1945년 4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로 진학하여 재학하던 중에 해방을 맞았다.

해방 후인 1948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당시 같은 정치학과 학생이었던 박준규[6]와 함께 반탁 우익 운동을 하였다.

서울대학교 졸업 이후인 1950년 영남일보 논설위원, 1952년 문경군수, 선산군수, 1953년 경산군수, 1960년 명지대학교 교수 등을 지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이병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동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당시 고흥문 계보에 속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군-예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황재홍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4년까지 신민당 대변인을 역임했고 같은해인 1974년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구범모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그러나 1980년 신군부가 집권한 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으로 신군부에 협력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국국민당 김기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83년까지 국회부의장을, 1983년부터 1985년까지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한민주당 반형식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8년 초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이 되었고, 같은 해 치러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과반수 의석 확보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표위원직을 사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 때는 민주자유당 내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김영삼 후보가 선출되자 불만을 품고 탈당하여 이종찬새한국당 창당에 참가했다. 선거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고려중앙학원(고려대학교 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녹조 · 소성훈장과 수교훈장 광화대장, 국민훈장 모란장 등 다수의 상훈을 받았다.

2010년 6월 26일 향년 86세의 나이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자택에서 별세했다. 빈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영결식은 29일 오전 국회 잔디광장에서 국회장으로 거행됐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34[7]

[[무소속|
무소속
]]

10,454 (18.88%)
낙선 (3위)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18[8]

[[국민의당(1963년)|
파일:국민의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

15,971 (32.57%)
낙선 (2위)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6,120 (26.05%)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4,969,050 (44.28%)
당선 (12번)
초선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11[9]
49,933 (47.09%)
당선 (1위)
재선[10]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43,237 (35.14%)
3선[11]
1981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13[12]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6,857 (45.69%)
4선[13][14]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10[15]
62,435 (49.23%)
5선[16]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6,670,494 (33.96%)
당선 (1번)
6선

역대 선거 벽보[17]


4.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60 - 1963
정계 입문

[[국민의당(1963년)|
파일:국민의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63 - 1964
창당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4 - 1965
합당 [18]

[[민중당(1965년)|
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65 - 1967
합당 [19]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7 - 1969
합당 [20]

[[무소속|
무소속
]]

1969
자진 정당 해산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9 - 1980
정당 재등록

[[무소속|
무소속
]]

1980 - 1981
정당 해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 - 1990
창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0 - 1992
합당 [21]

[[무소속|
무소속
]]

1992
당 내 의견 차이로 탈당

파일:새한국당 글자.svg

1992 - 1993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93 - 2010
탈당
정계은퇴
사망


5. 둘러보기[편집]













[1] 인천채씨대동보 권6 227쪽에는 5월 26일생으로 오기되어 있다.[2] #[3] 소감공파(少監公派)-졸재공파(拙齋公派) 30세 식(植) 항렬.[4] 장한탁(張漢卓)의 딸이다.[5] 1943년 4월 입학, 1945년 3월 수료 후 학부 진학.[6]국회의장인 그 분 맞다.[7] 문경군[8] 문경군[9] 문경군, 예천군[10] 민주공화당 황재홍 후보와 동반 당선[11] 민주공화당 구범모 후보와 동반 당선[12] 문경군, 예천군[13] 한국국민당 김기수 후보와 동반 당선[14] 후반기 국회의장[15] 문경군, 예천군[16] 신한민주당 반형식 후보와 동반 당선[17] 제5~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18] 국민의당(1963년)과 합당[19] 민정당과 신설 합당[20] 신한당과 신설 합당[21] 3당 합당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