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터미널역 (r32판)

편집일시 :

高速터미널驛 /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고속터미널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중앙보훈병원 방면
사 평
1.1 ㎞ →
중앙보훈병원 방면
신논현
2.0 ㎞ →



다국어 표기
영어
Express Bus Terminal
한자
高速터미널
중국어
高速巴士客运站
일본어
コソクターミナル
주소
3호선
7호선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지하 188 (반포1동 162번지)
9호선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지하 188 (반포3동 110번지)
운영 기관
3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7호선
9호선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주식회사_CI_가로형.png
개업일
3호선
1985년 10월 18일
7호선
2000년 8월 1일
9호선
2009년 7월 24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3호선)
지하 4층 (7호선)
지하 5층 (9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3호선, 7호선 (발빠짐주의), 9호선)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기타
7. 사건.사고
8. 연계버스
9.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김포공항역과 같이 지번주소는 전부 다른데 도로명주소는 똑같은 역이다. 그리고 각 개통된 노선들간의 환승연계로는 서로가 하나 뿐인 지하철역이다.


2. 역 정보[편집]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과 센트럴시티(호남선) 아래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터미널 이용객을 연계하기 위해 건설된 역이다. 3호선, 7호선은 서울교통공사, 9호선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운영한다.


2.1.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3호선 역사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센트럴시티 사이에 있다. 3호선 대합실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및 센트럴시티 사이에 연결통로가 있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센트럴시티는 1976년 개통 이후 연계교통수단이 버스밖에 없었기 때문에 3호선을 만들 당시 강남을 일직선으로 지나지 않고 고속터미널로 우회하게 하였다.

3호선 개찰구는 7호선이나 9호선에 비해 압도적으로 이용객이 많다. 백화점과 지하상가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과 연결되어 있고 고속터미널과 센트럴시티 등 각종 주요시설과 연계가 되기 때문이다. 9호선은 환승통로 게이트와 7호선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어서 3호선 쪽으로 직접적으로 빠져나가는 수요는 적다.[2] 그리고 3호선의 헬게이트로 엄청 악명높은 구간이 고속터미널~양재 구간인지라 수서/오금행 열차가 이 역에서부터 양재역까지 열차에 사람들로 꽉 드러차며 특히 교대역까진 9호선 이상의 헬게이트가 열린다.[3]


2.2. 서울 지하철 7호선[편집]


7호선 역사는 센트럴시티 남쪽 파미에 스테이션과 반포천 복개구간 사이에 있다. 선형 문제로 승강장 곡선이 매우 심하다.

7호선은 엘리베이터 문제로 유모차 이용이 불가능하다. 7호선 역사는 3개 층으로 되어 있는데, 승강장이 있는 지하 3층에서 지하 2층까지만 엘리베이터가 있고, 유모차를 이용해 지하 2층에서 지하 1층 및 지상 또는 3호선이나 9호선 역사로 연결되있지 않기에 나갈 방법이 전혀 없다. 휠체어 이용자도 휠체어리프트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더불어 이러한 구조에 백화점과 지하상가, 고속터미널과 센트럴터미널등 유동인구가 많은곳이랑 연결되있지도 않기에 7호선 이용객이 3호선 쪽으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다.[4] 9호선은 환승통로 게이트와 7호선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어서 3호선 쪽으로 직접적으로 빠져나가는 수요는 적다.


2.3. 서울 지하철 9호선[편집]


9호선 고속터미널역은 고속터미널 북쪽, 고투몰(강남터미널지하쇼핑몰) 바로 아래애 있다.

파일:attachment/subway23_con1.gif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은 한국에서 CAM 공법을 쓴 첫 사례이다.(터널 참조)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은 터널 단면이 21m이다. 개착식 공법을 채택했던 3호선 고속터미널역, NATM 방식을 채택했던 7호선 고속터미널역은 좁아서 복잡한데 9호선 고속터미널역은 역 자체가 엄청 넓어서 분위기가 완전히 대조적이다. 9호선 시공사는 쌍용건설로 서울시의 환승역 요청에 따라 3호선 역 구조물 15cm 밑에 9호선 구조물을 건설했다. 이 덕분에 2009 올해의 토목구조물 공모전 대상 등 다수의 토목 관련 상도 받았다.[5][6]

상당한 공사비를 들여서 이렇게 만든 이유는 고속터미널역 일대가 연약지반이었기 때문이다. 연약지반에다가 위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가 들어서 있어 개착식으로 만들기도 힘들 뿐더러, NATM공법을 쓰자니 옆에는 지하상가가 있고 3호선 구조물은 지은 지가 20년이 넘은지라 지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7] 그래서 9호선은 CAM, TRcM공법을 조합한 신개념 공법을 통해 최대한 3호선과 근처 지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공법을 채택했고, 단면이 커지는 CAM 공법 특성상 역 단면이 21m나 되는 거대한 터널을 지을 수 있었다. 역 단면이 커졌으니 9호선에서 7호선까지 이어지는 별도의 환승통로도 뚫었다.

9호선 쪽에 새로 만든 두 출구의 번호는 일반적인 규칙을 따른 9, 10번이 아니라 8-1, 8-2로 정해졌다. 이는 지하상가인 고투몰에 있는 9, 10번 출구와의 혼동을 막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투몰의 8번 출구가 지하철역의 8-1, 8-2번 출구로 이어진다.

9호선 고속터미널역의 남자 화장실에는 소변기가 1개밖에 없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같은 주변 시설의 화장실을 써야 한다. 이 화장실은 9호선 개찰구를 찍고 들어가서 바로 그 앞에 있는 화장실이다. 개찰구 전의 고속터미널 지하상가 곳곳에 화장실이 있기 때문에 이용객이 적어 그런 것으로 보인다. 흔적을 잘 보면 원래 2개였는데 둘 다 뜯고 가운데에 1개를 새로 설치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최고 혼잡도로 유명한 9호선의 출근시간 중앙보훈병원 방면 급행 지옥철은 고속터미널역에서 절정을 찍고 끝난다고 봐도 된다. 그 이전까지 사람이 더해지거나 또는 등가교환만 이루어지다가 고속터미널역에 이르러서 3호선과 7호선[8]으로 갈아타려는 승객들이 대거 하차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부 기관사들은 보통 문이 열리자마자 나오는 출입문이 닫힙니다라는 방송을 막고 하차하는 승객이 많아 문을 충분히 열도록 하겠으니 안전하게 하차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육성으로 방송을 대체하기도 한다. 고속터미널역 이후로는 발을 바닥에 딛고 서서 가는 게 가능하다. 사람 많이 내리는 걸 받아들이지 못하고 지옥에서 하차하는 승객들을 문이 열리자마자 온몸으로 받으며 탑승하려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반대로 9호선 김포공항행 급행열차는 이 역 지나면 엄청난 헬게이트가 된다. 특히 퇴근시간 때 되면 줄이 엄청나게 길다. 거의 승강장 벽까지 채우는 수준이다. 만일 신논현역까지 좀 승객이 찼다면 이 역에서는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꽉꽉 채우다 못해 거의 밀면서까지 탑승하고 동작역에 가서 최대 절정을 이루거나 승차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한다.


2.4. 환승[편집]


7호선 역과 9호선 역 사이에 3호선 역과 터미널 전체를 낀 모양의 지하철 역으로, 종로3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과 동일한 '장인 공(工)'자 형태의 환승역이다.

9호선이 3호선, 7호선 밑으로 다니기 때문에 3호선은 플랫폼이 지하 3층, 7호선은 지하 4층인데[9] 9호선은 지하 5층에 있어서 한참 에스컬레이터를 타야 한다.

특이한 점은 7-9호선 간의 환승은 3호선 맞이방이나 승강장을 이용하지 않고 맞이방 옆에 평행하게 만들어진 별도의 통로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10] 환승통로 길이는 3호선 역을 완전히 횡단할만큼 매우 길다. 어찌나 긴지 무빙워크가 중간에 한 번 나눠져 있다. 과거 무빙워크의 통행 방향을 좌측통행에서 우측통행으로 바꾸면서 벽에 붙어있는 화살표는 그대로 놔두는 실수를 저질렀지만 현재는 제대로 되어 있다.

7호선 - 9호선 환승통로를 따로 만들지 않으려면 3호선 맞이방과 승강장을 환승통로로 써야 하는데 그러려면 맞이방 중앙에 가로막고 있는 개찰구를 밖으로 통하는 계단 바로 앞으로 옮겨야 한다. 그럴 경우 그 넓지 않은 공간으로 출퇴근 시간 등 혼잡한 시간에는 환승하려는 사람과 나가고 들어오려는 사람이 엉켜서 혼잡해지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3호선 이용객만 하루에 10만 명 이상이며 출퇴근 시간에는 승강장이 가득 차는 경우도 자주 있는 것을 보면 엄청난 인파로 인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내린 결정으로 예상된다.

3호선 - 7호선 환승 또한 9호선 개통 이전에도 막장환승으로 거론될 정도였다. 엄밀히 말하자면 지하철 간의 막장환승이 아니라 고속터미널 버스와 지하철간의 막장환승으로 3호선 - 7호선 환승통로의 구조 자체는 심플한 편인데, 문제는 이 역을 끼고 있는 지하상가였다. 기업에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통로 질 자체는 쾌적한 편이지만,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이 동네가 초행길이라면 고속터미널역에서 반디앤루니스를 찾아가는 길이 만만치 않다. 반대 방향도 예외가 아니어서, 고속터미널에서 버스 내린 뒤에 지하철 타러 찾아 들어가는 것도 꽤나 힘들다. 또한 환승통로도 구조가 심플할 뿐이지 높이 차가 꽤 있고,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높기 때문에, 막장환승의 반열에 오를 정도는 된다. 3호선 - 9호선을 환승할때 그나마 괜찮은 편이지만, 그마저도 에스컬레이터 높이가 상당한 편이다.

2019년 기준 도시철도역 중 환승객이 두 번째로 많다.[11] 현재 주요 환승역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개 노선 모두 승하차나 환승객이 고루 많지만,[12] 특히 3호선과 7호선 사이의 환승객과 승하차가 9호선보다 압도적으로 많다.[13] 이 역은 7호선의 정중앙에 있기 때문에, 7호선의 양쪽에서 오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14] 강남 쪽으로 출근하기 위해 7호선을 이용하는 서울 동북부와 경기 북부에서 오는 사람들과 인천, 부천과 서울 서남부 지역에서 오는 사람들이, 강남 주요 지역[15]을 위 아래로 연결하는 3호선으로 대부분 몰린다. 특히, 석남역과 온수역을 출발한 전철에서는 강남으로 바로 빠질 수 있는 첫 번째 역이 고속터미널역이라 이 역에서 절반 가까이 하차해서 혼잡도라 극에 달한다. 반면 서울 동북부에서 오는 전철은 강남으로 빠질 수 있는 건대입구역강남구청역이 있어서 그나마 혼잡도가 덜하다. 3호선 잠원역 방향은 그래도 버틸만 하지만, 3호선 교대역 방향이 정말로 헬게이트다. 7호선 이용객이든 9호선 이용객이든 죄다 3호선 교대역 방향 승강장으로 몰려서 언제나 아침마다 엄청난 인파가 승강장에 가득 차 있다. 심지어 첫차와 막차시간대에도 승강장에 사람들이 꽤 있다. 반대 쪽 잠원역 방면 승강장은 교대역 방면과 비교해 상당히 한산하다. 퇴근 시간대에는 반대의 역효과가 난다지만 3호선 고속터미널~양재구간이 항상 엄청나게 붐비는지라 붐비는건 마찬가지다. 다만 출근시간대보다 조금 덜 붐비는것 뿐이다. 사실상 이 역의 환승객 중 80%는 3호선 교대역 방향으로 몰린다. 교대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려는 승객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 역에서 교대역 방향으로 3호선을 탄 사람들은 교대역에서 절반 이상이 빠진다. 덕분에 가뜩이나 혼잡한 교대역 2호선 구간도 배로 터져나간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명 그대로 영동선과 경부선을 담당하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그리고 호남선을 담당하는 센트럴시티와 연계하기 위해 만든 역이다.

그 이외에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16]이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지방조달청, 뉴코아아울렛 강남점[17] 등을 가기 위해서도 이 역을 이용하며, 특히 3번 출구 앞 버스정류장에서는 강남성모병원 구내로 들어가는 무료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가서 걸어가는 게 더 가깝다. 특히 서울성모병원이 개원되고 나서는 육교 하나만 건너면 된다. 이 셔틀버스는 사실 일반인이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나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신세계백화점 강남점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메이저 브랜드의 영화관들, 스타벅스 파미에파크R점래미안 퍼스티지, 신반포 한신아파트[18], 반포센트럴자이[19] 등 대단지 아파트들이 모여있기에 상당히 혼잡하다 거의 미로 수준이다. 지하와 건물 내에서만 돌아다녀도 신세계 백화점, 센트럴시티, 파미에파크, 메가박스, 지하철역, 지하철상가, 반포지하상가, 고속버스터미널이 사방팔방으로 얽혀 있어서 처음 온 사람들이 멋모르고 여기서 만날 약속을 하면 몇 번을 헤매야 한다. 심지어 경부선 승하차홈 기준으로 7호선은 반포역이나 이 역이나 걷는 거리가 비슷하다.[20]

메가박스메가박스 센트럴점이 있는데 이곳은 메가박스에 인수당하기 전 씨너스 영화관의 1호점이었다.

이 역에는 강매, 다단계, 앵벌이 그리고 사이비 종교 전도꾼이 출몰하는 곳이기도 하니 주의를 요한다.[21]

9호선 고속터미널역 바로 위에는 지하상가가 있는데, 1980년에 조성된 지하상가로, 현재는 고투몰이라는 쇼핑몰로 되어 있다. 2016년 초까지만 해도 고속터미널 지하통로에는 재래시장 분위기의 소규모 점포들이 입점해있었으나, 리모델링을 거쳐 2017년 초에는 깔끔하고 현대적인 상점가로 바뀌면서 분위기가 일신되었다. 엔터식스도 이 역에서 영업 중이다.

이 역에서 반포역까지 지하로 걸어갈 수 있다. 강남터미널지하상가 고투몰을 거쳐 반포역 방면으로 쭉 가거나, 한가람문구 옆으로 나있는 통로를 따라가면 된다. 후자의 통로는 원래 지하상가였으나 유동인구가 괴멸적으로 없어서 상점이 모두 철수해버리고 통로까지 폐쇄된 적이 있다. 2016년 말에 여기에 다이소가 입점하면서 다시 통로가 열리게 되었다.

  • 1번 출구: 반포지구대, 고속터미널(영동.경부선)
  • 2번 출구: 반포미도아파트
  • 3번 출구: 고속터미널(영동.경부선), 센트럴시티(호남선), JW 메리어트호텔 서울, 삼호가든아파트, 반포리체아파트, 사평대로, 반포미도아파트
  • 4번 출구: 서울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5번 출구: 반포4동주민센터, 국립중앙도서관, 서울지방조달청,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
  • 6번 출구: 반포2동, 반포래미안퍼스티지, 반포힐스테이트아파트, 잠원초등학교
  • 7번 출구: JW 메리어트호텔 서울, 신세계백화점
  • 8번 출구: 센트럴시티(호남선), 신세계백화점, 반포래미안퍼스티지
  • 8-1번 출구: 반포한강공원, 반포대교 방면
  • 8-2번 출구: 반포3동주민센터, 반원초등학교


4. 일평균 이용객[편집]


고속터미널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93,959명
115,939명
122,237명
122,484명
125,651명
126,199명
126,863명
122,107명
116,699명
115,646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15,888명
113,515명
114,568명
121,933명
124,528명
116,010명
116,670명
119,212명
120,887명
121,246명
2020년
72,852명
서울 지하철 7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18,319명
21,091명
21,839명
23,629명
24,596명
26,120명
26,538명
29,496명
32,386명
33,342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34,055명
35,362명
37,218명
38,996명
38,929명
40,648명
41,339명
39,773명
39,528명
39,252명
2020년
24,667명
서울 지하철 9호선

[ 2009년 ]

2009년
15,394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9,564명
20,700명
21,822명
25,422명
28,162명
33,036명
37,334명
34,552명
34,428명
36,217명
2020년
23,100명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C8%AF%BD%C2%BF%AA_%B8%B6%C5%A9.png 환승객 수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파일:Seoulmetro9_icon.svg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54,584명
71,031명
81,497명
91,643명
95,421명
97,517명
89,712명
89,995명
93,937명
97,106명
2019년
2020년
103,544명
74,058명

  • 2019년 기준 일 평균 196,715명이 타고 내리는 역으로서, 수도권 전철 전체 4위를 기록하고 있다. 강남역-잠실역-홍대입구역-고속터미널역-서울역 순으로 서울교통공사의 수입을 책임지는 주요 역 중 한 역이다. 위 표를 보면 알겠지만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센트럴시티 그리고 백화점과 지하상가 등 유동인구가 많은곳들만 연계된 3호선 게이트의 이용률이 70%가량 되어 압도적으로 높은 편이다.

  • 3호선은 꾸준히 11~12만 명을 유지하며 일산선을 포함한 3호선 전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3호선뿐만 아니라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제외한 모든 지하철 단일 노선 승하차량 1위라는 타이틀도 보유 중이다.

  • 7호선의 경우 8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개통 당시 1만 명 후반대로 시작해 꾸준히 이용객이 증가하다가 2008~09년에 약 4천 명 정도가 갑자기 증가했는데 7호선 측 출구인 5·6번 출구 앞에 래미안 퍼스티지가 입주를 시작하면서 신축 아파트 주민들이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꾸준히 승하차객이 늘면서 4만 명에 육박하는 인원이 7호선 승하차객으로 집계된다. 하지만 7호선 개찰구를 이용하는 승객은 의외로, 특정시간이 아닌이상 보기 많이 힘든데, 고속터미널역 주 수요처라고 할 수 있는 고속터미널, 센트럴시티, 신세계백화점 가운데 7호선의 경우 고속터미널과의 연계는 반포역과 비슷한 정도로 걸어야 할 정도로 멀고,[22] 센트럴시티나 신세계백화점은 사정이 좀 낫지만 더 가까운 3호선 출구가 있다보니 7호선을 타고 와서 3호선 개찰구를 이용하는 사람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23] 수요가 많고 이 때문에 유동인구도 워낙 많다보니 승강장은 상당히 혼잡하지만, 이것도 3호선이나 9호선에 비해 양호한 편이다.[24] 즉 7호선은 스타벅스 파미에파크점, 텍사스 데 브라질, 모던눌랑, 데블스도어 등 소수의 점포를 제외한다면 터미널, 상가, 백화점 등 메인 시설의 이용객수는 별로 없는 대신 인근의 아파트단지(반래퍼, 한신서래, 반포미도), 서래마을, 서울지방조달청, 서울성모병원, 국립중앙도서관, 서초역 방향 버스환승 등으로 확실히 용도가 갈린다.

  • 9호선 역시 3호선 게이트의 존재로 비교적 승하차량은 적은 편이다. 그래도 이쪽은 1번 출구가 고속터미널 북쪽 입구와 아주 가깝다. 7호선과 비슷하게 인근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고정 수요가 어느 정도 있는데, 이쪽은 고속터미널역 이북에 위치한 주거지구를 담당한다. 신반포센트럴자이의 입주가 있었지만 코로나 영향으로 그 효과가 확실하게 드러나지는 않은 편이다. 향후 르엘신반포센트럴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 이쪽 주민들을 통한 수요가 어느 정도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반포래미안원베일리 입주시에도 신반포역과 함께 주민 수요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덕지구 방면 4차 연장이 완료되면 해당 지역 연선 수요도 끌어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환승객 규모 역시 어마어마해서 서울교통공사 소속 환승역 중 환승객이 두 번째로 많은 역이며, 3호선 환승역 중에서도 교대역 다음으로 환승객이 많다. 환승객만 따져도 22만 명이 넘는 환승역으로 RH시간대엔 승강장이 굉장히 혼잡하다. 여기에 3호선에서 7호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옆에 있는 또다른 헬게이트보다는 환승통로가 넓은 편이라서 혼잡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다.[25]

  • 고속터미널 역 수요에서 한가지 특이한 점이라면 보통 역들은 다른 노선 개통에 따라 환승역이 되면 해당 노선쪽으로 승하차객이 넘어가면서 한 개 노선의 역 승하차량 자체는 줄어드는 경우가 많지만 고속터미널은 정반대다. 7호선 개통 당시에는 3호선 쪽 이용객수는 오히려 3만 명이 더 증가하는 효과를 누렸으며 9호선 개통 시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는 7호선과 9호선 개통으로 해당 노선의 연선 주거 인구로부터 고속터미널역 일대의 신규 수요를 대거 뽑아낸 것도 한 가지 이유이며, 여기에 앞서 말했듯 3호선 게이트가 워낙 핵심 수요처 방향으로 잘 나있다보니 기존 이용객들이 다른 노선 게이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었던 점도 추가적인 이유로 꼽힌다. 때문에 앞서 언급했듯 7호선을 타고 와서 3호선 게이트로 나가는 사람이 많으며, 9호선 출입구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정문, 버스전용차로, 택시 정류장과 붙어있음에도 세 노선 중 승하차객 숫자가 가장 적게 나온 점에서도 이런 부분이 입증된다.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지방으로의 이동이 감소하여 2020년 승하차수가 줄어들었다. 고정인구라도 있는 7호선과 9호선은 덜 줄었지만 백화점과 지하상가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과 연결되있고 터미널 이용객수가 매우 많은 3호선 쪽은 대폭 줄어든 모양새.

  • 2019년 기준 2번째로 환승객이 많다. 평일 기준 226,153명이 환승한다.


5. 승강장[편집]


파일:고속터미널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5.1.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잠원




교대


이 역은 교대 방면으로 3퍼밀 상구배가 있다.


5.2. 서울 지하철 7호선[편집]



반포




내방


7호선 승강장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있기 때문에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은 편. 내리고 탈 때 발빠짐에 주의하시길..


5.3. 서울 지하철 9호선[편집]



일반: 신반포, 급행: 동작




↓ 일반: 사평, 급행: 신논현



6. 기타[편집]



  • 김포공항역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편의점(GS25, CU)이 입점해 있었는데, 이쪽은 미니스톱이 지하상가 내에 존재했었다. 이 외에 지하철역 내에 미니스톱이 입점해 있는 역은 서울 1, 2호선 시청역과 대구 2호선 대공원역이 있다. 신세계백화점이 입점해 있는 특성상 해당 업체가 운영하는 편의점인 이마트24도 이 역에 있다. 현 시점에서는 계약과 이해 관계가 얽히게 되다보니 그 브랜드들이 많이 정리되어 7호선과 9호선에 GS25가 있고, CU와 미니스톱은 없어졌다.

  • 일본어 표기로 'Terminal'은 '타미나루(ターミナル)'인데, 일본어 안내방송에서는 일본어식 발음이 아니라 한국어식 발음대로 읽어 "코소쿠 토미노루 에끼데스"라고 발음한다. 그러나 일부 차량의 개편된 안내방송에서는 일본어식(高速ターミナル) 발음대로 읽어주는 걸 들을 수 있다. 참고로 인천터미널역은 '타미나루(ターミナル)'라고 한다.

  • 2019년 9월 15일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불법촬영 등 성범죄가 231건으로 신도림역을 제치고 4년 연속 가장 많은 역으로 조사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 8번 출구 폴사인은 고속터미널역이 아닌 고속버스터미널역으로 되어 있다. 고속터미널역 자체가 고속버스터미널 근처에 있고, 영어로 'Express bus terminal' 이므로 고속버스터미널역으로도 종종 불린다.


7. 사건.사고[편집]


  • 2001년에 집중호우로 인해 7호선 승강장이 물에 잠기는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이 역부터 강남구청역까지의 구간의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 9호선 강남 구간은 개통 직후부터 원인 모를 악취가 났는데, 그 진원지가 고속터미널역이라는 의혹이 있다.[27] 원래 9호선 환승통로 자리가 정화조였던 것이 이유이다.

  • 2018년 초에는 3호선 승강장과 3호선-7호선 환승통로에서 심각한 악취가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의 설명에 따르면 3호선 잠원 방면 방향 7-3 지점 승강장 하부에 생활 하수관이 있는데, 거기에 슬러지가 쌓여 있다고 한다. 이 문제로 서울교통공사에서는 두 차례 슬러지 제거 작업을 했으며, 악취 관련 안내문을 환승통로에다가 부착했다.


8. 연계버스[편집]


신반포로
  • 고속터미널(22019)
사당역, 이수교, 여의도, 반포대교 방향
서울 버스 142(방배동래미안리버빌)
서울 버스 143(정릉북한산)
서울 버스 148(이수중학교)
서울 버스 360(여의도환승센터)
서울 버스 362(국회의사당역)
서울 버스 401(세종문화회관)
서울 버스 452(중앙대학교)
서울 버스 540(군포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640(신월동)
서울 버스 643(양천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3012(이촌2동)
서울 버스 4212(전원마을)
서울 버스 4318(전원마을)
서울 버스 6411(구로동)
서울 버스 8541(호압사)[28]
서울 버스 9408(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인천 버스 9500(부평역)
인천 버스 9501(마전1차풍림아이원)
인천 버스 9802(공단사거리)
김포 버스 6427(한가람마을)
김포 버스 이음2(구래역)
광역급행버스 M6427(한가람마을)
공항버스 6000(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고속터미널호남선(22855)
서울 버스 서초10(서초구민체육센터)
서울 버스 서초14(이수역)

반포대교 방향
성남 버스 9007(서울역버스환승센터)

  • 강남고속버스터미널(22793)
인천국제공항 방향
공항버스 6020(인천공항2터미널)
공항버스 6020-1(인천공항1터미널)
공항버스 N6000(인천공항1터미널)
공항버스 N6002(인천공항2터미널)

  • 고속터미널(22020)
논현역, 압구정, 서울교대, 청담역 방향
서울 버스 142(도봉산)
서울 버스 143(개포중학교)
서울 버스 148(번동차고지)
서울 버스 360(복정역환승센터)
서울 버스 362(복정역환승센터)
서울 버스 401(장지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452(복정역환승센터)
서울 버스 540(서울성모병원)
서울 버스 640(강남역사거리)
서울 버스 643(강남역)
서울 버스 3012(복정역환승센터)
서울 버스 3414(송파레미니스후문)
서울 버스 4212(용마산빌라)
서울 버스 4318(풍납1동동아한가람아파트)
서울 버스 6411(개포중학교)
서울 버스 8541(강남역)
서울 버스 9408(오리역)
인천 버스 9500(양재시민의숲)
인천 버스 9501(양재시민의숲)
인천 버스 9802(양재시민의숲)
김포 버스 6427(강남역)
김포 버스 이음2(강남역)
광역급행버스 M6427(강남역)
성남 버스 9007(운중동)
공항버스 6000(잠실역)
공항버스 6020(역삼역)
공항버스 6020-1(역삼역)

  • 고속터미널호남선(22220)
서울 버스 5413(범일운수종점)

  • 고속터미널호남선(22505)
서울 버스 서초10(강남역)
서울 버스 서초14(경원중학교)

  • 고속터미널경부선(22219)
서울 버스 서초10(강남역)

반포대로
  • 고속터미널(22943)
서울 버스 TOUR03(서래마을방향)

  • 반포래미안퍼스티지(22570)
서울 버스 서초13(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
서울 버스 서초13(이수역)
서울 버스 서초21(서초구민센터)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22563)
서울 버스 서초13(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
서울 버스 서초21(염곡동차고지)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22212)
서초역, 예술의전당 방향
서울 버스 405(염곡동차고지)
서울 버스 740(한국무역센터.삼성역)
서울 버스 5413(범일운수종점)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22214)
반포대교 방향
서울 버스 405(을지로입구.시청광장)
서울 버스 740(덕은동)
서울 버스 5413(고속터미널)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22993)
서울 버스 서초13(이수역)
서울 버스 서초14(경원중학교)
서울 버스 서초21(서초구민센터)

사평대로
  • 센트럴시티(22213)
이수교차로 방향
서울 버스 3414(송파레미니스후문)
서울 버스 5413(범일운수종점)

  • 서울성모병원(22217)
서울 버스 540(군포공영차고지)

잠원로
  • 고속터미널(22211)
서울교대 방향
서울 버스 3414(고속터미널)
서울 버스 5413(범일운수종점)

  • 반포자이아파트(22533)
서울 버스 서초01(반포고교)
서울 버스 서초10(강남역)
공항버스 6020(역삼역)
공항버스 6020-1(역삼역)

  • 반포자이아파트(22534)
서울 버스 서초01(잠원역)
서울 버스 서초10(서초구민체육센터)
공항버스 6020(인천공항2터미널)
공항버스 6020-1(인천공항1터미널)

  • 뉴코아아울렛(22207)
서울 버스 143(정릉북한산)
서울 버스 362(국회의사당역)
서울 버스 4318(전원마을)
서울 버스 서초01(반포고교)

  • 신반포자이아파트(22208)
서울 버스 143(개포중학교)
서울 버스 362(복정역환승센터)
서울 버스 4318(풍납1동동아한가람아파트)
서울 버스 서초01(잠원역)
서울 버스 서초14(경원중학교)


9. 대중매체에서[편집]




[1] 개정 전 29번[2] 특히 7호선 게이트는 어느 곳과 연결 돼 있지 않고 3, 9호선과 붙어있지도 않고 혼자 동떨어져있기 때문에 특정시간 외에는 대합실이 조용하고 모든 시설과 연계되는 3호선으로 많이 빠진다.[3] 반대로 대화/구파발행은 헬게이트를 여기서 끝낸다.[4] 다만 9호선과는 3호선보다 더 떨어져있기 때문에 9호선 쪽으로 빠지는 수요는 0에 가깝다.[5] 「대한민국 건설사 최첨단 공법에 세계가 입이 '쩍'」, 2009-04-27, 조선일보[6] 영상[7] 특히 3호선을 포함한 1기 지하철 노선들은 21세기 이후에 개통한 몇몇 역들을 빼면 내진설계가 전혀 안 되어있기 때문에 자연 지진에도 붕괴될 위험성이 큰데, 이런 환경에서 발파 작업을 하다가는 정말로 큰일나는 수가 있다.[8] 70% 이상이 여기서 하차한다. 그중 70%가 3호선으로, 30%가 7호선으로 갈아탄다.[9] 안내도 상에서는 7호선 승강장도 지하 4층으로 나와있겠지만 7호선의 지하 2층이 실제로는 지하 3층이라 엄밀히 따지자면 지하 4층이 맞다.[10] 그래도 3호선 승강장을 경유해서 갈 수도 있기는 하다.[11] 1위는 신도림역이다.[12] 승하차수는 3호선이 압도적으로 많다.[13] 9호선은 6량이고, 종점인 중앙보훈병원역에서 고속터미널역까지는 거리가 그리 길지 않아 중앙보훈병원쪽 방향에서 오는 수요는 그리 많지 않다.[14] 다만 석남역까지 연장된 지금은 이수역이 7호선의 정중앙이다.[15] 압구정, 신사, 잠원, 교대, 남부터미널, 양재, 대치, 도곡, 수서 등이다.[16] 구 강남성모병원[17] 단, 뉴코아아울렛은 7호선에서 갈 경우에는 반포역이 더 가깝다.[18] 대부분 재건축 중[19] 구 신반포 6차아파트[20] 7호선 대합실이 특정시간대 외엔 조용한 이유다. 조금이라도 쉽게 가고 싶다면 모든게 연결된 3호선 대합실 쪽으로 나오는게 편하다. 대신 수많은 인파는 감안해야 한다.[21]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라 당연히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일이다. 사실 치안이 좋은 동네라 자주 보이지도 않는다.[22] 오히려 체감상으로 반포역에서 걸어오는 것이 더 빠르게 느껴질 정도다.[23] 반대로 3호선을 타고와서 7호선 게이트로 나가는 사람은 상당히 드물다. 환승통로가 워낙 길어서 불편한 9호선은 말 할 것도 없다.[24] 고속터미널역에서 가장 혼잡한 곳이 3호선 오금방면 승강장과 9호선 승강장이라 그나마 덜 혼잡한 7호선 쪽이 한산하게 보이는 것이다. 특히 3호선은 모든 핵심 수요처와 연결되있어서 유동인구도 많고 7호선 이용객도 많이 흡수하는지라 대합실도 혼잡하기 때문에 체감상 3호선 쪽의 혼잡도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다만 어디까지나 덜 혼잡하다는 것이지 한산하다는 것은 절대 아니다.[25] 여기는 2개 노선만 만나는 환승역이니 환승객수 차이가 나더라도 당연히 혼잡도는 교대역이 높을 수밖에 없다.[26] 9호선 개통 전에는 3호선 라인만 그어져 있었으나 9호선 개통 후 3호선 라인과 9호선 라인을 혼용을 하게 되었다. 2호선 왕십리역의 5호선, 경의중앙선 환승띠가 분당선 연장 후 환승띠에서 기호로 표기하는 걸로 바뀐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27] 「지하철 9호선은 악취철?」, 2010-02-05, 한국경제신문[28] 행운동주민센터 정차한 다음 공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