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부 제3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마에카와 키요시게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교토부 제3구>
京都府第3区
파일:shuinsen_Kyoto3.svg
선거인 수353,915명 (2021)
상위 도도부현교토부
하위 행정구역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이전 선거구(구) 교토부 제2구
국회의원
이즈미 겐타




1. 개요[편집]


교토부의 중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現 입헌민주당 대표인 이즈미 겐타.


2. 상세[편집]


후시미이나리타이샤 등이 이 지역구에 위치하고 있다.

야당 지지세가 강한 곳으로 교토부 제2구와 함께 주로 민주당 계열 정당이 우세를 보이는 곳이다. 교토시가 포함되어 있기에 공산당의 지지세도 매우 강하며, 실제로 1996년 제41회 총선에서는 일본공산당 후보가 소선거구 1위를 차지하며 당선된 적도 있다.

이후 자민당이 전국적으로 압승을 거둔 2012년 제46회 총선에서 자민당 미야자키 겐스케 후보가 신승하고 재선에서 성공하면서 이곳도 자민당 우세 선거구로 탈바꿈하는 듯 보였으나, 이후 미야자키 의원이 불륜이 발각되자 임기 중 의원직을 사퇴했다.[1] 그 후 보궐선거에서 이즈미 겐타 의원이 당선되면서 다시 야권우세 지역구로 돌아갔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교토부 제3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데라마에 이와오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오쿠야마 시게히코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이즈미 겐타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미야자키 겐스케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2016년이즈미 겐타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데라마에 이와오
(寺前巌)
58,4791위

34.6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쿠야마 시게히코
(奥山茂彦)
57,2412위

33.95%비례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야마나 야스히데
(山名靖英)
52,8842위

31.37%낙선
유효표 수168,604투표율
-%
선거인 수-인

고치현 제1구와 함께 일본공산당이 승리한 유이한 소선거구 중 한 곳이다. 이 선거 이후 2014년에 열린 제47회 중원선오키나와 1구에서 아카미네 세이켄이 승리할때까지 공산당은 소선거구 당선을 이뤄내지 못했다.

교토부 특성상 30%대 공산당 콘크리트 표가 있는 상황에서 보수성향 표가 자민당의 오쿠야마 시게히코와 신진당의 야마나 야스히데에게 적절하게 분산된 점, 당선한 데라마에 이와오 중의원이 원래 자민당의 국회대책위원회 소속 의원과 함께 식사하고 편하게 대화를 나눌만큼[2] 공산당 내에서 상당히 온건한 성향이었다는 점이 당선 요인으로 꼽힌다.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쿠야마 시게히코66,576표1위

36.50%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즈미 겐타57,536표2위

31.5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혼조 다카오44,816표3위

24.57%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오완 무네노리13,482표4위

7.39%낙선
유효표 수182,410표투표율
-%
선거인 수-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즈미 겐타84,052표1위

46.7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쿠야마 시게히코64,726표2위

36.0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무라 가즈코30,861표3위

17.18%낙선
유효표 수179,639표투표율
-%
선거인 수-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즈미 겐타[3]92,249표1위
42.7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미즈 고이치로[A]91,429표2위
42.3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무라 가즈코32,251표3위
14.94%낙선
유효표 수215,929표투표율
-%
선거인 수-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즈미 겐타[4]121,834표1위
54.5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미즈 고이치로[A]68,043표2위
30.4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무라 가즈코30,583표3위
13.70%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기시모토 고이치2,744표4위
1.23%낙선
유효표 수223,204표투표율
-%
선거인 수-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자키 겐스케[A]58,951표1위
31.6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즈미 겐타[5]58,735표2위
31.52%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야마우치 세이스케[6]41,996표3위
22.5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무라 가즈코26,674표4위
14.31%낙선
유효표 수186,374표투표율
55.66%
선거인 수344,013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자키 겐스케[A]59,437표1위
35.8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즈미 겐타[7]54,900표2위
33.1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무라 가즈코26,655표3위
16.07%낙선
파일:유신당 로고.png시미즈 고이치로24,840표4위
14.98%낙선
유효표 수165,742표투표율
49.22%
선거인 수343,926인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진당 로고 하얀색.svg이즈미 겐타65,0511위
[8]65.43%당선
파일:오사카 유신회 로고.png모리 나츠에20,7102위
20.83%낙선
파일:일본의 마음 심볼.svg오노 유키코6,4493위
[9]6.49%낙선
타부치 마사후미4,5994위
4.6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오야기 미츠코2,2475위
2.26%낙선
코오리 아키히로3706위
0.37%낙선
유효표 수99,426투표율
30.12%
선거인 수344,172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이즈미 겐타
(泉健太)
63,0131위
38.3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무라 야요이
(木村弥生)
56,5342위
[10]34.3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나모리 도루
(金森亨)
26,4203위
16.06%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모리 나쓰에
(森夏枝)
16,5114위
10.03%비례당선
오다기리 신이치로
(小田切新一郎)
2,0595위
1.25%낙선
유효표 수164,537투표율
47.42%
선거인 수354,836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교토부 제3구
교토시 후시미구,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토쿠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이즈미 겐타
(泉健太)
89,2591위
48.1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무라 야요이
(木村弥生)
61,6742위
[11]33.30%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이노우에 히로아키
(井上博明)
34,2883위
18.51%낙선
유효표 수185,221투표율
53.52%
선거인 수353,915

49회 중원선 교토부 제3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격차투표율
후보이즈미 겐타
(泉健太)
기무라 야요이
(木村弥生)
이노우에 히로아키
(井上博明)
(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9,259
(48.19%)
61,674
(33.30%)
34,288
(18.51%)
+ 27,585
(△14.89)
185,221
(53.52%)
교토시 후시미구48.78%33.23%17.99%△15.5450.63
무코시46.16%34.92%18.92%△11.2457.26
나가오카쿄시48.55%32.56%18.88%△15.9958.39
오토쿠니군45.16%32.40%22.44%△12.7664.75


입헌민주당 이즈미 겐타 의원과 자민당 기무라 야요이 의원이 재대결한다. 이즈미 의원은 희망의 당이 사실상 해체되자 국민민주당을 거쳐 야권통합때 입헌민주당에 합류했다. 일본공산당은 후보를 내지 않으며 이즈미 겐타 의원으로 야권 단일화를 했다. 일본 유신회는 이노우에 히로아키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입헌민주당 이즈미 겐타 후보가 14.9%차로 압승했다. 일본 유신회가 출마한 3파전임에도 과반에 육박하는 득표를 했다. 자민당 기무라 야요이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부활하는데도 실패하고 낙선하였으며, 2022년 아버지의 지역구였던 도쿄도 고토구으로 이동해 2023년 열린 제20회 통일지방선거에서 치러진 구장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입헌민주당이 자민당은 물론이고 유신회에도 치이면서 간사이 지역에서 대패하는 와중에도, 이즈미 겐타 의원은 압승하는 덕분에 위상이 커졌다. 이후 2021년 입헌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입헌민주당의 제2대 당대표가 되었다.

당선 확정 후 소감을 말하는 이즈미 겐타

낙선 소감을 말하는 기무라 야요이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입헌민주당에서는 현역 이즈미 겐타 대표가 재출마한다.

자유민주당에서는 고토구장에 당선된 기무라 전 의원을 대신해 무코시에서 소방단원 등을 역임한 모리 칸세이를 지부장으로 선임했다.

일본유신회에서도 저번 선거와 다르게 공인회계,세무사인 기무라 모토키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에서는 니시야마 노부히데 전 교토부의원을 공천했다.
[1] 동료인 가네코 메구미 중의원의원과 결혼했는데, 하필 아내가 임신중일때 불륜을 저질러 더 비판받았다.[2] 웃긴건 이랬다고 중대선거구 시절이었던 1983년 제37회 중원선에서는 공산당 내에 저격수가 나서는 바람에 동반 낙선당한 경험도 있다. 공산당이 지금 수준으로 온건화된건 1990년대 초반에 이르러 해체된 舊 사회당 지지층을 흡수하기 위해 기존의 초강경 태도를 가라앉히면서 부터다.[3] 추천:
[A] A B C D 추천: [4] 추천: [5] 추천: [6] 추천: [7] 추천: [8] 추천: [9] 추천: [10] 추천: [11]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