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김포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김포시 갑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1. 기본 정보[편집]



1.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김포시 CI.svg 경기도 김포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김포시 갑김포시1고촌읍, 사우동, 풍무동
김포시2김포본동, 장기동
김포시 을김포시3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구래동
김포시4장기본동, 마산동, 운양동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포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7석, 시장 소속 정당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6석
]]
재적

13석



2. 지역 특성[편집]


전방 +농촌이라는 특성 때문에 2000년대까지는 보수 정당이 강세였다가, 풍무지구 및 한강신도시 입주로 2010년대 들어 민주당 우위로 굳어졌다. 이는 이웃한 파주시와 동일하다. 김포 지역 정치인들 중 인천광역시에 연고를 둔 인물이 많은데, 이는 김포가 오랫동안 인천의 영향권에 있었음을 증명한다. 대표적으로 유영록 김포시장, 홍철호 전 국회의원은 모두 인천 부평고등학교 출신이다. 또한 역으로 인천 정치인 중에도 김포에 연고가 있는 경우가 있다. 정반대 사례로는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관선 및 민선 김포군수, 초대 김포시장을 거쳐 김포시에서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한 바 있으며, 최기선 전 인천광역시장 역시 김포시 출신이다. 1998년 시 승격 당시의 마지막 김포군수가 한나라당 소속의 유정복[1]이었다.

보수 정당 우위가 경합세로 바뀐 시점은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였다. 민주당 소속 유영록 후보가 시장에 당선된 것이다. 당시의 지역 중요 현안은 김포 골드라인였는데, 한나라당 소속의 강경구 당시 시장의 공약은 경전철 지하화였고, 유영록 후보의 공약은 서울 지하철 9호선과 직결되는 지하 중전철로의 변경이라서 유 후보는 강 후보를 여유롭게 따돌리고 당선될 수 있었다. 한나라당 소속이었던 김동식 전 시장의 무소속 출마로 보수표가 분산된 것도 유 후보의 당선에 한 몫 했다. 그러나 재정 부족으로 9호선 연장 공약이 파기되고 결국 경전철 신설이 확정되었다. 항상 형식적으로만 진행되던 시민 의견 수렴행사가 9호선 백지화에 분노한 시민들의 항의 공세로 난장판이 됐다. 그럼에도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서 유영록 시장은 새누리당 신광철 후보를 이겼다. 한나라당 출신인 김동식 전 시장은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컷오프되어 무소속으로 나오면서 중도 표를 잠식했기 때문이다.

인천광역시장이 된 유정복을 대신하여 남은 임기를 채울 지역구 국회의원을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선출했는데, 새누리당은 홍철호 크레치코 회장을, 새정치민주연합은 김두관 전 경상남도지사를 공천했다. 김두관 후보는 김포와 아무런 연고도 없는 반면, 굽네치킨 창업자와 형제 관계로 김포시에서 닭 가공업체를 운영하고 있었던 홍철호 후보가 굽네치킨 신화와 지역 의원론을 앞세워 당선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김포시 선거구의 지속적인 도시개발로 인해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구 상한(28만명) 초과로 갑을로 분리되었다.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경쟁했던 홍철호 의원(새누리당)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더불어민주당)는 각각 을구, 갑구에 공천되어 리턴매치는 무산되었으며, 갑구의 새누리당 후보로 김동식 전 김포시장, 을구의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정하영 전 김포시의원(더불어민주당)이, 그리고 국민의당 후보로 하금성 전 미창개발 대표[2]가 출마하였다. 선거 결과 갑구는 김두관 후보가 당선되었고, 을구는 홍철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75%를 얻어 자유한국당 홍준표를 20%가 넘는 큰 격차로 누르고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한강신도시 4개동에서는 전 지역에서 45%를 넘어섰고, 2000년대 초반에 개발된 사우동, 풍무동에서는 40% 초반, 김포본동 및 3개읍에선 30% 후반대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반면에 농촌 3개면에서는 홍준표가 약 10%의 큰 격차로 이기면서, 도농간의 민심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동과 읍에선 문재인, 면에선 홍준표의 결과가 나온 것은 화성시와 완전히 동일하였는데, 안철수의 경우도 모든 7개 동에서는 2위를, 모든 읍면 지역에서 3위를 차지했다. 즉 쉽게 말하면 안철수가 동에서, 홍준표가 읍에서, 문재인이 면에서 예외없이 2위를 차지했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이래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의 강남 미경유 논란, 즉 일명 김부선 논란이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던 한강신도시를 강타했다.[3] 거기에 2020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김주영, 박상혁 두 김포 국회의원, 정하영 김포시장 여론도 좋지 않았다. 더군다나 21대 대선 토론 중 이재명 김포 집값 발언 논란이 터지고, 장릉 검단신도시 아파트 불법건축 논란으로 김포 정가가 시끄러워지면서 2022년 대선 국면은 어둠 속으로 빠졌으나... 제20대 대통령 선거 결과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를 16,392표, 5.46%표차로 이겼다. 여당에 터진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거두었는데, 한강신도시를 포함한 김포시내 전 지역에서 민주당의 손을 들어준 것이 결정적이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부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까지 모든 전국 단위 선거에서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기 때문에[4] 언론에서도 김포를 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분류했지만,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김포시 CI.svg 역대 김포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김포군·강화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정해남,(초선),
14대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김두섭,(초선),
김포군[5]
15대
[[무소속|
무소속
]]
박종우,(초선),
김포시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종우,(재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정복,(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정복,(재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정복,(3선)[6],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홍철호,(초선)[7],
김포시 갑김포시 을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두관,(초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홍철호,(재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주영,(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상혁,(초선),

파일:김포시 CI.svg 역대 김포시장 선거 결과
김포군수김포시장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민주당
유정복김동식강경구유영록
2014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유영록정하영김병수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김포군수
1995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유정복 38.00%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임순기 22.32%
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이준택 15.12%
4위:
[[무소속|
무소속
]]
조한승 11.53%
김포시장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유정복 63.89%

2위:
[[국민신당(대한민국)|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동식 36.10%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동식 54.64%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정복 45.35%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경구 45.90%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유영록 25.63%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동식 22.14%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유영록 46.5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경구 38.45%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동식 14.94%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유영록 48.28%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신광철 42.46%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하영 65.84%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영근 30.65%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병수 52.42%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하영 44.79%
[1] 원래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소속이었다가 1998년에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한 후 새천년민주당 창당에도 합류했으나 2002년 탈당해 한나라당에 복당했다.[2] 웹툰작가 하일권의 아버지라고 한다. 하 후보가 사장으로 있던 (주)미창개발은 원래 평범한 도매업체였다가 지금은 하일권이 물려받아 만화 수출 및 만화 관련 부가가치 사업으로 업종이 바뀌었다고 한다.[3] 실제로 김포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국가철도망 계획 확대 시에는 "차기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49.5%로 크게 앞서는 반면, 국가철도망 계획 축소 시에는 "차기 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41.3%로 크게 앞섰다.#[4] 특히 3기 신도시골병라인 논란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의 김주영박상혁을 국회의원으로 만들어줬고, 이재명 김포 집값 발언 논란에도 불구하고 대선 투표자 과반이 이재명을 찍었다.[5] 1995년 인천직할시가 인천광역시로 바뀌며 강화군이 그리로 옮겨졌다.[6] 14.3.31. 의원직 사퇴 (인천광역시장 출마)[7] 14.7.30. 재보궐선거


3.1. 지선[편집]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기도지사[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김포]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101,72462,0597,5694,5531,283
득표율57.41%35.02%4.27%2.56%0.72%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316,246
투표 수180,079
무효표 수2,891
투표율56.94%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김포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1,724
(57.41%)
62,059
(35.02%)
7,569
(4.27%)
4,553
(2.56%)
1,283
(0.72%)
+39,665
(△22.39)
56.94%
통진읍50.81%41.63%4.27%2.0%1.29%△9.1846.12
고촌읍50.69%40.95%4.88%2.61%0.87%△9.7457.60
양촌읍52.60%40.65%3.76%2.15%0.84%△11.9546.51
대곶면41.71%51.62%3.55%2.05%1.06%9.9143.26
월곶면42.17%51.27%3.77%1.68%1.11%▼9.1050.68
하성면42.75%51.11%3.44%1.73%0.97%▼8.3648.86
김포본동53.54%38.68%4.38%2.59%0.80%△14.8654.49
장기본동60.14%32.35%4.14%2.95%0.41%△27.7956.18
사우동54.19%37.68%4.90%2.37%0.86%△16.5151.66
풍무동57.98%34.23%4.25%3.01%0.53%△23.7558.06
장기동60.99%31.06%4.36%2.68%0.90%△29.9356.41
구래동64.96%28.04%3.82%2.61%0.57%36.9255.05
운양동61.35%31.26%4.34%2.55%0.50%△30.0959.70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격차
거소·선상투표52.40%33.21%9.22%4.06%1.11%△19.19
관외사전투표63.80%28.49%4.48%2.58%0.65%35.31


3.1.1.2. 김포시장[편집]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기도지사[편집]

8회 지선 김포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2,596
(47.67%)
98,054
(50.48%)
- 5,458
(▼2.81)
195,865
(49.88%)
김포본동[A]46.31%51.99%▼5.6850.15
장기본동48.87%49.26%▼0.3948.19
사우동47.22%50.82%▼3.6049.04
풍무동[B]49.11%49.06%△0.0549.51
장기동48.61%49.81%▼1.2047.24
구래동52.49%45.52%△6.9740.79
마산동52.34%45.79%△6.5545.07
운양동49.96%48.45%△1.5147.87
통진읍41.81%56.28%▼14.4741.24
고촌읍45.61%52.70%▼7.0952.57
양촌읍45.07%52.85%▼7.7841.37
대곶면34.80%63.75%▼28.9544.25
월곶면[C]33.69%64.07%▼30.3850.84
하성면34.33%64.08%▼29.7548.87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투표44.57%48.19%▼3.61
관외사전투표50.90%46.76%△4.14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47.36%50.90%▼3.5449.86
47.24%50.92%▼3.6744.60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동 지역(김포)[F]47.63%50.57%▼2.9449.69
한강신도시[G]50.38%47.85%△2.5345.76
읍 지역[H]44.50%53.66%▼9.1646.11
면 지역[I]34.35%63.95%▼29.6047.40

3.1.2.2. 김포시장[편집]

김포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정하영김병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6,798
(44.79%)
101,566
(52.42%)
- 14,768
(▼7.62)
195,837
(49.88%)
김포본동[*A ]43.99%53.74%▼9.7550.13
장기본동44.26%51.58%▼7.3248.17
사우동44.95%52.80%▼7.8549.02
풍무동[*B ]46.31%51.74%▼5.4249.49
장기동43.07%53.26%▼10.1947.21
구래동48.20%48.09%△0.1040.76
마산동48.73%47.31%△1.4245.07
운양동44.46%51.29%▼6.8347.86
통진읍45.95%52.40%▼6.4541.23
고촌읍40.48%56.96%▼16.4852.56
양촌읍44.81%53.24%▼8.4341.37
대곶면35.37%63.18%▼27.8044.26
월곶면[*C ]35.77%62.73%▼26.9650.87
하성면38.16%60.61%▼22.4448.88
후보정하영김병수격차
거소투표44.75%48.45%▼3.70
관외사전투표48.63%49.07%▼0.44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김포군
김포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4,38018,43611,1253,900
득표율50.54%27.10%16.35%5.73%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78,126
투표 수69,517
무효표 수1,494
투표율91.39%

강화군
강화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29,43811,6656,0321,651
득표율60.13%23.82%12.32%3.37%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55,084
투표 수50,091
무효표 수1,135
투표율92.53%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김포군
김포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21,07914,93818,6093,760
득표율35.45%25.12%31.29%6.32%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74,988
투표 수60,479
무효표 수1,022
투표율82.68%

강화군
강화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18,2038,84410,7762,535
득표율44.27%21.51%26.21%6.16%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50,771
투표 수42,017
무효표 수908
투표율81.29%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김포군
김포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23,65221,79220,763
득표율35.22%32.45%30.92%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86,552
투표 수68,245
무효표 수1,101
투표율80.79%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44,53845,3023,879
득표율47.20%48.01%4.1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36,023
투표 수95,124
무효표 수771
투표율69.36%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20,34254,0782,4395,76213,554
득표율21.22%56.41%2.54%6.01%11.61%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190,910
투표 수117,051
무효표 수347
투표율61.31%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76,99769,572
득표율52.33%47.28%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06,665
투표 수147,849
무효표 수715
투표율71.54%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김포]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93,69748,49051,08115,61414,517
득표율41.75%21.61%22.76%6.95%6.47%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290,415
투표 수225,075
무효표 수703
투표율77.50%

19대 대선 경기도 김포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93,697
(41.75%)
48,490
(21.61%)
51,081
(22.76%)
15,614
(6.95%)
14,517
(6.47%)
+42,616
(△18.99)
77.50%
통진읍32.37%30.17%24.18%6.45%6.30%△2.2065.63
고촌읍38.34%26.65%21.32%7.40%5.93%△11.6977.99
양촌읍36.71%26.25%24.76%5.91%5.81%△10.4666.61
대곶면27.37%36.03%24.98%5.97%4.92%▼8.6663.92
월곶면26.49%37.88%22.88%6.77%4.86%11.3966.90
하성면26.72%37.34%24.95%5.13%5.33%▼10.6266.99
김포본동39.39%23.02%23.60%6.98%6.63%△15.7975.71
장기본동45.32%18.47%22.27%7.43%6.19%△23.0578.63
사우동41.15%21.15%22.67%7.27%7.28%△18.4876.11
풍무동43.42%20.22%22.69%6.85%6.39%△20.7380.50
장기동46.69%17.46%21.90%7.30%6.37%24.7978.96
구래동47.14%16.71%22.97%6.34%6.46%△24.1776.95
운양동47.03%16.13%22.84%7.93%5.76%△24.1982.71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6.21%18.68%31.61%7.47%4.31%△4.60
관외사전투표45.52%17.13%21.40%7.45%7.92%△24.12
재외투표60.19%7.54%15.27%4.28%12.27%44.92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김포시 갑[8][9]42.15%21.31%22.55%7.11%6.50%19.6078.0%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김포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3,206
(51.07%)
136,814
(45.61%)
+ 16,392
(△5.46)
302,170
(77.10%)
김포본동[*A ]49.11%47.45%△1.6576.21
장기본동51.54%45.46%△6.0776.24
사우동51.85%44.78%△7.0777.72
풍무동[*B ]51.24%45.70%△5.5476.64
장기동53.96%42.83%△11.1377.41
구래동55.58%40.92%△14.6672.05
마산동56.16%40.49%△15.6775.39
운양동52.02%44.87%△7.1676.57
통진읍47.93%48.21%▼0.2967.20
고촌읍48.18%48.69%▼0.5280.09
양촌읍51.00%45.59%△5.4269.38
대곶면39.79%57.39%▼17.6069.92
월곶면[C]39.89%56.12%▼16.2373.06
하성면41.62%55.40%▼13.7973.5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7.18%46.75%△0.43
관외사전투표51.45%44.91%△6.54
재외투표65.40%30.58%△34.81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50.65%46.12%△4.5377.48
51.27%45.41%△5.8672.98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김포)[*F ]50.52%46.20%△4.3276.68
한강신도시[*G ]53.80%42.96%△10.8475.48
읍 지역[*H ]48.87%47.73%△1.1473.33
면 지역[*I ]40.47%56.36%▼15.8971.96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김포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김포시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김주영박진호유영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8,613
(52.88%)
42,660
(38.49%)
8,972
(8.09%)
+ 15,953
(△14.39)
111,816
(67.43%)
[ 펼치기 · 접기 ]
김포본동[*A ]47.79%41.42%10.24%△6.3663.35
사우동51.71%37.38%10.39%△14.3366.03
풍무동54.89%38.12%6.55%△16.7766.91
장기동57.64%35.60%6.25%△22.0564.06
고촌읍49.44%43.23%6.80%△6.2168.24
후보김주영박진호유영록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5.19%32.21%22.11%△12.98
관외사전투표57.27%32.13%9.65%△25.14
재외투표66.28%29.14%3.42%△37.14
국회의원 선거 (김포시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박상혁홍철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3,193
(53.83%)
52,200
(44.46%)
+ 10,993
(△9.36)
118,595
(63.31%)
[ 펼치기 · 접기 ]
장기본동56.94%41.60%△15.3465.31
구래동61.37%36.98%△24.3960.63
운양동58.28%40.28%△18.0065.14
마산동61.57%36.73%△24.8462.75
통진읍41.69%56.27%▼14.5854.51
양촌읍47.35%50.66%▼3.3156.31
대곶면35.07%63.39%▼28.3357.24
월곶면[*B ]33.97%64.28%▼30.3163.36
하성면33.99%64.59%▼30.6160.87
후보박상혁홍철호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4.39%50.24%▼5.85
관외사전투표60.17%37.55%△22.61
재외투표72.45%27.54%△44.91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69,655
(31.38%)
78,528
(35.38%)
21,904
(9.87%)
16,434
(7.40%)
13,878
(6.25%)
- 8,873
(▼4.00)
230,414
(65.23%)
[ 펼치기 · 접기 ]
김포본동[*A ]34.06%33.73%9.32%7.28%4.94%△0.3363.34
장기본동28.87%37.12%10.36%8.23%6.49%▼8.2465.32
사우동30.40%35.67%10.40%7.14%6.13%▼5.2766.04
풍무동30.15%35.62%10.53%8.17%6.29%▼5.4766.91
장기동27.92%36.97%10.93%8.25%7.06%▼9.0564.07
구래동25.56%39.86%10.80%7.90%6.95%▼14.3060.63
운양동27.88%37.48%10.19%8.68%7.37%▼9.6065.16
마산동24.93%39.97%10.51%7.55%7.48%▼15.0462.75
통진읍41.34%30.30%7.66%4.96%3.96%△11.0454.49
고촌읍35.70%31.97%9.65%7.96%6.39%△3.7468.23
양촌읍36.94%32.99%8.25%5.47%4.76%△3.9656.31
대곶면50.33%26.84%5.98%3.96%3.43%△23.4857.24
월곶면[*B ]48.39%25.60%6.59%4.19%3.70%△22.7963.36
하성면47.79%25.24%6.88%4.90%3.27%△22.5560.87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8.57%29.08%10.96%10.96%2.80%▼0.51
관외사전투표26.66%37.31%10.56%7.02%7.88%▼10.65
재외투표20.24%35.88%11.04%6.13%17.48%▼15.64





[김포] A B 통진읍, 고촌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김포본동, 장기본동, 사우동, 풍무동, 장기동, 구래동, 운양동[A] 법정동 북변동 · 걸포동 · 감정동(일부)[B] 장릉 검단신도시 아파트 불법건축 논란의 당사지[C] A B 해병대 제2사단이 있는 동네[F] 김포본동, 사우동, 풍무동[G] 장기본동, 장기동, 구래동, 마산동, 운양동[H] 통진읍, 고촌읍, 양촌읍[I]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8]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김두관[9] 관할 동 : 고촌읍, 김포본동, 사우동, 풍무동, 장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