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무라 기시로

덤프버전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이바라키 7구)
선거제도 개편제41~42대
나카무라 기시로
제42~43대[1]
나가오카 요지
제42~43대
나가오카 요지
제44~48대
나카무라 기시로
제49대
나가오카 게이코

일본국 제34-42·44-49대 중의원 의원
나카무라 기시로
中村喜四郎 | Nakamura Kishirō
파일:나카무라 기시로 이바리키 7구.jpg
출생1949년 4월 10일 (75세)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사카이마치
현직제49대 중의원 의원
재임기간제43대 과학기술청장관
1989년 6월 3일 ~ 1989년 8월 10일
제58대 건설대신
1992년 12월 12일 ~ 1993년 8월 9일
링크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상하조합.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가족아버지 나카무라 기시로[1], 어머니 나카무라 도미[2]
배우자, 아들 나카무라 하야토[3]
학력케이메이가쿠인 고등학교 (졸업)
니혼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소속 정당
지역구기타칸토 광역 비례대표 (이바라키 7구)
의원선수15 (중)
의원대수34, 35, 36, 37, 38, 39, 40, 41, 42, 44, 45, 46, 47, 48, 49
경력다나카 가쿠에이 중의원 의원 비서
중의원 의원
건설대신 정무차관
과학기술청장관
자민당 총무국장
건설대신
[1] 전 참의원 의원, 이바라키현의원.[2] 전 참의원 의원.[3] 세이케이대학을 졸업한 후 현재 이바라키현의원.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정치인. 현 중의원 의원이다.


2. 생애[편집]


이바라키현 사카이마치 출생이다. 학교법인 케이메이 학원, 니혼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후 다나카 가쿠에이의 비서가 되었다.

1976년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구 이바라키현 제3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최연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출마할 즈음 호적 이름을 아버지 이름인 기시로로 고쳤고, 당선 후 자유민주당에 입당했다. 자민당 입당 후 다나카 가쿠에이가 이끄는 파벌에 소속되었다. 1982년 12월 제1차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에서 건설 정무차관에 임명되었다. 1988년 다나카파의 분열 시기에 다케시타 노보루 파벌로 이적했다. 1989년 6월 23일, 우노 소스케 내각에서 과학기술청 장관에 임명되었다.[2] 우노의 사임에 따라 퇴임하고 후임 가이후 도시키 총재 아래 자민당 총무국장에 취임했다.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에서 건설대신에 임명되었다.

1994년 종합건설 부패 사건에 관련되어, 알선수뢰죄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체포되기 2일 전 자민당을 탈당했으나 의원직은 사퇴하지 않았다. 강력한 지반 덕에 수사 중이던 41, 42회 총선에서도 당선되었으나 2003년 대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에 벌금 1000만엔 형이 결정되며 중의원 의원 직을 상실했다. 나카무라의 실직에 따른 보궐선거에는 42회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나가오카 요지가 자민당 공천으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2004년 2월 10일 쿠로바네 형무소에서 가석방되어 출소했다.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무소속으로 이바라키 7구에서 당선되었다.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추진하는 우정민영화를 지지했으며, 당시 의원이었던 나가오카 의원은 우정민영화에 반대하던 가메이 시즈카 파벌 소속이면서 우정민영화에 찬성하여 그 비난으로 자살, 대신에 나가오카 의원의 아내인 나가오카 게이코씨가 출마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당선된 뒤 같은 해 10월 개혁 클럽에 입당했다.

2010년 4월 23일 자민당을 탈당한 마스조에 요이치가 개혁 클럽에 입당해 당 대표가 되어 신당 개혁으로 당명을 변경하려 하자 오에 야스히로 의원과 함께 개혁 클럽을 탈당, 나카무라는 자민당 회파로 이동했다.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공명당에서도 추천을 받아 출마해 당선되었다.[3]

제47회 총선 후 니카이 도시히로에게 입당을 요청했으나 불발되었다.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당선된 뒤 총리 지명 투표에서 민진당오쓰카 고헤이에게 투표했다. 2018년 1월 오카다 가쓰야가 대표인 중의원 회파 '무소속 모임'에 가입, 2019년 1월에는 오카다 등과 함께 입헌민주당 계파에 가입했다.

2020년 국민민주당과 입헌민주당이 합당해 창당된 입헌민주당에 합류했고, 9월 16일 총리 지명 선거에서 에다노 유키오에게 투표했다.

제49회 총선에서는 세대 교체 물결에 따라 수십 년간 지켜오던 지역구에서 나가오카 후보에게 2.2%p 차이로 낙선하고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구제받았다. 세대 교체론과 더불어 나카무라 본인이 입헌민주당에 입당하면서, 무소속 신분에서 얻어 온 공명당 조직 표를 잃은 것도 원인으로 보인다.

나가오카 후보는 이후 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에서 문부과학대신으로 임명되면서 체급이 커진만큼 다음 선거에서 나가오카 후보는 만만치 않은 상대로 나타날것으로 보인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76정계 입문

1976 - 1994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94 - 2009알선수재 혐의로 탈당

2009 - 2010입당

[[무소속|
무소속
]]
2010 - 2020당명 변경에 반발하여 탈당

2020 -창당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6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바라키 3구
[[무소속|
무소속
]]
93,210 (21.0%)당선 (1위)초선
1979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1.672 (19.6%)당선 (2위)재선
1980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7,446 (19.2%)당선 (1위)3선
1983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98,485 (21.1%)4선
1986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24,880 (25.2%)5선
1990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21,300 (22.3%)6선
1993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29,982 (25.2%)7선[4]
1996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바라키 7구
[[무소속|
무소속
]]
100,175 (53.64%)8선
2000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8,095 (44.15%)9선[5]
2005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9,099 (42.14%)10선
2009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78,999 (36.99%)11선
2012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1,157 (42.69%)12선
2014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8,393 (51.12%)13선
2017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77,719 (48.99%)14선
202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0,843 (44.31%)낙선 (2위)
석패율제 당선
15선[6]



5. 기타[편집]


  • 언론을 싫어하는 걸로 유명하며 선거 전의 강연회나 집회를 제외하면 기자회견을 하지 않는다.


6.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입헌민주당
제49대 중의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에미가마타 사유리가미야 히로시가이에다 반리간 나오토
겐마 겐타로겐바 고이치로고미야마 야스코고야마 노부히로고즈 다케시
고토 유이치곤도 가즈야곤도 쇼이치기이 다카시기쿠타 마키코
나가츠마 아키라나카가와 마사하루나카무라 기시로나카지마 가쓰히토나카타니 가즈마
노다 요시히코노마 다케시니시무라 지나미다지마 가나메데라타 마나부
데즈카 요시오도쿠나가 히사시류 히로후미마부치 스미오마쓰바라 진
마쓰키 겐코마키 요시오모리야마 히로유키모리타 도시카즈미도리카와 다카시
미치시타 다이키바바 유키반노 유타카시라이시 요이치사카모토 유노스케
사쿠라이 슈사토 고지스에마쓰 요시노리스에쓰구 세이이치스즈키 요스케
시게토쿠 가즈히코시나 다케시시노하라 고시노하라 다카시시모조 미쓰
쓰쓰미 가나메아라이 유타카아베 도모코아오야기 요이치로아오야마 야마토
아즈미 준야마기시 잇세이야마노이 가즈노리야마다 가쓰히코야마오카 다쓰마루
야마자키 마코토야타가와 하지메에다 겐지에다노 유키오오가와 준야
오카와라 마사코오구마 신지오구시 히로시오니시 겐스케오사카 세이지
오시마 아쓰시오쓰키 구레하오자와 이치로오치아이 다카유키오카다 가쓰야
오카모토 아키코오쿠노 소이치로와세다 유키와타나베 소와타나베 슈
요네야마 류이치요시다 쓰네히코요시다 하루미요시카와 하지메우메타니 마모루
유노키 미치요시유하라 슌지이나토미 슈지이사카 노부히코이시카와 가오리
이즈미 겐타이토 슌스케하라구치 가즈히로혼조 사토시후지오카 다카오
후쿠다 아키오후토리 히데시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입헌민주당
제48대 중의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에미가메이 아키코가미야 히로시가와우치 히로시가이에다 반리
간 나오토겐마 겐타로겐바 고이치로고미야마 야스코고토 유이치
곤도 쇼이치곤도 카즈야구로이와 다카히로기이 다카시기쿠타 마키코
나가오 히데키나가츠마 아키라나카가와 마사하루나카무라 기시로나카지마 가즈히토
나카타니 카즈마노다 요시히코니시무라 지나미다지마 가나메다카기 렌타로
다케우치 노리오데라타 마나부데즈카 요시오류 히로후미마부치 스미오
마쓰다 이사오마쓰다이라 고이치마쓰바라 진마쓰오 아키히로마쓰키 겐코
마키 요시오모리야마 히로유키모리타 도시카즈무라카미 후미요시미도리카와 다카시
미야카와 신미치시타 다이키사사키 다카히로사이키 다케시사쿠라이 슈
사토 고지세키 겐이치로스에마쓰 요시노리시게토쿠 가즈히코시나 다케시
시노하라 고시노하라 다카시시라이시 요우이치시모죠 미쓰아라이 사토시
아베 도모코아오야기 요이치로아오야마 야마토아즈미 준아카마츠 히로타카
아쿠쓰 유키히코야가미 마사요시야라 도모히로야마노이 가즈노리야마모토 와카코
야마오카 다쓰마루야마우치 고이치야마자키 마코토야마카와 유리코야마하나 이쿠오
야타가와 하지메에다 켄지에다노 유키오오가와 준야오구마 신지
오구시 히로시오사카 세이지오시마 아쓰시오니시 겐스케오자와 이치로
오쓰지 가나코오치아이 다카유키오카다 가쓰야오카모토 미쓰노리오카모토 아키코
오카와라 마사코오카지마 가즈마사오쿠노 소이치로와세다 유키와타나베 슈
요시다 쓰네히코야타가와 하지메요코미쓰 가쓰히코우후카타 유키오유노키 미치요시
이나토미 슈지이마이 마사토이시카와 가오리이즈미 겐타이케다 마키
이토 슌스케하라구치 가즈히로하세가와 가이치호리코시 게닌후쿠다 아키오
히라노 히로후미히로타 하지메히요시 유타쓰무라 게이스케쓰지모토 기요미



파일:logo_w.svg 입헌민주당(2020년)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호헌파중립개헌파
생추어리
곤도 쇼이치
에다노 유키오
사사키 다카히로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요코미치 다카히로
하치로 요시오
군지 아키라
오사카 세이지
미치시타 다이키
아카마츠 히로타카
오가와 준야
다시로 가오루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사사키 다카히로
아라이 사토시
오가와 도시오
니시무라 지나미
에다노 유키오
하쿠 신쿤
구로이와 다카히로
나가츠마 아키라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사이토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아즈미 준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신정권연구회
이즈미 겐타
오구마 신지
마부치 스미오
가네코 에미
후쿠다 아키오
시모조 미쓰
오니시 겐스케
모리야마 히로유키
하타 지로
사회민주주의 포럼
요시다 다다토모
요시카와 하지메
오자와 그룹
오자와 이치로
고미야마 야스코
모리 유코
아오키 아이
기쿠타 마키코
사토 고지
지세이카이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다나부 마사요
마키 요시오
고토 유이치
세키 겐이치로
보수파
에다 겐지
하라구치 가즈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와타나베 슈
겐바 고이치로
류 히로후미
마쓰바라 진
마부치 스미오
소승회
오카다 가쓰야
나카무라 기시로
야마노이 가즈노리
에다 겐지
기쿠타 마키코
이마이 마사토
오가와 준야
가네코 에미
다지마 카나메
직간회
시게토쿠 가즈히코
야오야기 요이치로
오구마 신지
나카지마 가쓰히토
시노하라 고
겐마 겐타로
브릿지 모임
에다 겐지
오치아이 다카유키
오구마 신지
시오무라 아야카
일심회
마부치 스미오
마쓰키 겐코
다나가와 하지메
다카야마 사토시
나가야스 사토시
일본 정당별 계파 (기타 일본 혁신정당 · 입헌 · 국민 · 자민)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9:02:28에 나무위키 나카무라 기시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나카무라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한 보궐선거 실시.[2] 여담으로 전후 태생의 각료는 나카무라가 처음이었다.[3] 또한 나카무라의 요청에 따라 모리 요시로 전 총리가 선거구를 방문해 응원 연설을 했는데, 이에 대해 자민당 후보 나가오카가 모리에게 항의한 적이 있다.[4]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5] 2003.01.16 의원직 상실 (알선수뢰죄 최고재판소 징역 1년 6개월형 확정)[6] 15번의 선거 중 첫 선거구 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