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시인

덤프버전 :

만시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러시아 국장.svg 러시아의 민족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인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모르드바인카자흐
아제르바이잔인다르긴인우드무르트인마리인오세트인
벨라루스인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쿠미크인야쿠트인레즈긴인
부랴트인독일계 러시아인우즈벡투바인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페르시아인, 타지크
이란계 러시아인
칼미크인라크인
조지아인아슈케나짐몰도바인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터키인노가이인키르기스코미인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하카스인카렐인폴란드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야지디에벤키, 에벤족투르크멘사미족루툴인
아굴인리투아니아인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라트비아인에스토니아인
벱스인
축치인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쇼르인케레크압하스인나나이족
아시리아인아랍인나가이바크돌간인러시아 흑인
파슈툰인니브흐우디인인도계 러시아인샵수그인
위구르인케트인세르비아인이텔멘족몽골인
몽골계 러시아인
쿠만딘인헝가리인울치족텔레우트인탈리시인
체코인유카기르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타트인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슬로바키아인







파일:Mansi.jpg
스베르들롭스크 주 북쪽에서 촬영된 3명의 러시아인(좌)과 2명의 만시인(우)
  • 만시어: Мāньси, Мяньчи[1]
  • 러시아어: Манси[2]

러시아 우랄 연방관구에 위치한 한티-만시 자치구핀우그리아계 소수민족으로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2,228명이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의 조상들은 우랄 산맥 서쪽 지역에 살고 있었으며, 페름 근처에서 이들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후 기원전 1천년대에 서시베리아 지역으로 이동하여 그곳에 살던 사람들에 동화되었다고 한다.[3]

16세기쯤 러시아가 시베리아 지역으로 진출하게 되면서 만시족들은 한티족들과 함께 이에 저항하기 시작했는데, 러시아인과 러시아 측에 붙어있는 코미인들을 표적삼아 단순 게릴라가 아닌 체계적으로 여러 차례 공격을 시도했다. 펠름 공국은 만시인의 전투기지 역할을 하였으며, 1455년에는 만시인들이 우랄 북서부 지역의 러시아 정교회 전도를 맡았던 피티림 페름 주교를 살해하며, 러시아를 더욱 긴장시키기도 했다. 이 사건 후 우랄 동부에 대한 러시아의 압박은 더욱 강해졌으며, 러시아의 지배를 받긴 했으나 저항이 거센 탓에 러시아가 이 지역에 세력을 뿌리내리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4][5]

지역 전설에 따르면 이들은 대신 이 빨갛게 칠해진 무스를 타고 전투에 나선다고 전해지나 역사적 증거는 없다고 한다.

러시아의 라이트웰터급 복서 루슬란 프로보드니코프(Руслан Проводников)가 만시인 출신이다.[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6:24:30에 나무위키 만시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시 우고르어에서 "남성"를 뜻하는 mańćɜ에서 유래했다.[2] 오브 강 우안의 보굴카 강에서 유래한 ‘보굴’(Вогулы)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졌으며, 소련 시절까지 만시인이라는 이름보다는 ‘보굴인’으로 불리거나 한티인과 함께 ‘유그라’(Югра)로 통칭되었다.[3] 또다른 주장으로는 우랄 남쪽 스텝 지역에서 기원하여 6세기쯤에 현재 위치로 이동했단 설도 있다.[4] 18세기가 되어서야 만시인에 대한 정교회 전도가 시작됐으나 이는 표면적인 것에 불과했으며, 러시아화 과정이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만시인의 전통적인 씨족 및 부족 사회의 잔재는 1930년대까지 남아 있었다.[5] 그러나 만시인 측의 피해도 만만치 않았고 분포지의 위치가 러시아/소련에 더 많이 노출되었던지라 북쪽 한티인들보다 더 많은 수의 이들이 러시아에 동화되었다.[6] 정확히는 러시아인 아버지와 만시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지만, 스스로를 만시인이라고 인터뷰에서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