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아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진한 6부 촌장 | 개국공신
문열왕
고허촌 촌장
은열왕
양산촌 촌장
감문왕
진지촌 촌장
문의왕
대수촌 촌장
장무왕
고야촌 촌장
장렬왕
가리촌 촌장

갈문왕
사요 갈문왕허루 갈문왕마제 갈문왕일지 갈문왕
지소례 갈문왕아도 갈문왕세신 갈문왕구도 갈문왕
이칠 갈문왕내음 갈문왕파호 갈문왕습보 갈문왕
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입종 갈문왕복승 갈문왕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진정 갈문왕국반 갈문왕만천 갈문왕
추존 국왕
세조왕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문흥왕
문흥 갈문왕
흥무왕
비 왕족
개성왕현성왕신영왕흥평왕
명덕왕혜충왕
태자
익성왕선강왕
태자 / 갈문왕
혜강왕성덕왕의공왕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선성왕흥렴왕성무왕성희왕
의흥왕신흥왕
왕태자
우로태자동륜태자
동륜왕
효상태자헌평태자
태자
헌덕왕의 아들
태자
문성왕의 아들
마의태자
제후 및 비정통 국왕
김인문
괴뢰왕
김주원
명주군왕
김헌창
장안국왕
박언창
후사벌왕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신라의 갈문왕
아도 갈문왕 | 阿道 葛文王
출생
(음력)
연대 미상
신라
사망
(음력)
연대 미상
신라
재위기간
(음력)
신라의 갈문왕
148년 전후
[ 펼치기 · 접기 ]
본관밀양 박씨
아도(阿道)
가계후술
1. 개요



1. 개요[편집]


朴阿道 (? ~ ?).

신라 초기의 왕족. 박아도 본인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없고, 오늘날 남아있는 그에 관한 기록은 딱 두 줄이다.

十五年, 封朴阿道爲葛文王.新羅追封王皆稱葛文王, 其義未詳

15년 박아도(朴阿道)갈문왕(葛文王)으로 삼았다.신라에서는 후대에 추봉(追封)한 왕을 모두 갈문왕이라 칭했는데 그 의미는 알 수 없다.

삼국사기 권1 신라본기 제1 일성 이사금 조


朴堤上或云毛末, 始祖赫居世之後, 婆娑尼師今五丗孫. 祖阿道葛文王, 父勿品波珍湌. 堤上仕爲歃良州干.

박제상(朴堤上)혹은 모말(毛末)이라고 한다.은 시조(始祖) 혁거세(赫居世)의 후손이고 파사 이사금(婆娑尼師今)의 5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아도(阿道) 갈문왕(葛文王)이고, 아버지는 파진찬(波珍湌) 물품(勿品)이다. 제상은 삽량주간(歃良州干)으로 임금을 섬겼다.

삼국사기 권45 열전 제5 박제상 조

기록을 신뢰한다면 '파사 - 지마[1] - 아도 - 물품 - 제상'이 될 것이다.

갈문왕으로 추봉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파사 이사금의 손자이자 후사가 없는 지마 이사금의 아들로서 지마 이사금을 이을 유력한 이사금 후보였지만 일성 이사금의 귀국으로 인해 이사금이 되지 못하자 이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갈문왕으로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

박제상은 4세기에 활동했던 인물이기에 시대 차가 너무 많이 나며, 이런 점들은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연대가 부정확하다는 근거로 언급되기도 한다. 박아도가 조금 장수했다고 보면 말이 안 되는 정도는 아닐 수도 있지만, 비슷한 시기 고구려 태조왕은 백몇십 살을 살았다는 등 더 심하다. 문제는 이걸로 끝나지 않는다. 일성 이사금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일성은 삼국사기 기록으로는 유리 이사금의 장남이나 유리 이사금의 차남인 파사 이사금보다 늦게 왕이 되는 등 이상한 점이 많은 인물이기 때문이다.

이 기록이 맞다면 최소로 계산하더라도 8~90세까지 장수한 것이 되기 때문에, 유리 이사금의 아들이 박아도고 박아도의 아들이 일성 이사금이고, 왕을 못 한 박아도를 아들 일성이 갈문왕으로 봉한 것이 아니냐는 설이 있다.[출처] 이렇게 왕을 못 한 아버지를 갈문왕으로 올린 사례가 신라 제12대 첨해 이사금과 제13대 미추 이사금 때도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설은 관련 기록 대부분을 억지로 부정하여 문제가 있다. 일성 이사금과 파사 이사금 둘 다 유리 이사금이 아닌 다른 사람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서 박아도는 거론되지 않는다. 게다가 박아도가 갈문왕이 된 것은 박일성이 이사금위에 오른 지 15년째 되는 해라서 아버지로 추정하기엔 여러모로 문제가 있다.

한편 이름으로 쓰인 아도(阿道)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와 신라본기에서 공통적으로 승려로 등장하는 인물이라, 지마 이사금 사후 왕위를 물려받지 않은 것이 그가 출가했기 때문이 아닌가 추정되기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2:15:29에 나무위키 박아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파사 이사금의 후손이라고만 했지 지마 이사금의 후손이라고 하지는 않았으므로, 파사 이사금의 아들 중 지마 이사금이 아닌 다른 왕자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지마 외의 다른 왕자는 기록이 없다.[출처] 이기백, 「신라시대의 갈문왕」,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20